Zero tolerance for evidence forger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Zero tolerance for evidence forgery

테스트

Seventeen years ago, I had just started my career as a reporter. When I was working a night shift, a car accident that killed an entire family occurred. I was immediately ordered to procure a family photo. Back then, accident reports had to have a photo of the victims.

In order to meet the deadline, I took a taxi and went to the residence of the victims.

However, since all members of the family were killed, no one was home. The house was locked, and I was sure to get rebuked by my boss if I failed in my mission. So I called a locksmith. But as he was trying to open the door a neighbor spotted us, and my entry attempt failed.

In retrospect, it was a shameless act that deserved to be punished. But, in the old days, a certain level of housebreaking, theft and misrepresentation by the media were tolerated in the name of protecting people’s right to know. Each newspaper company had its own legendary stories of unlawful reporting methods. That’s why I recklessly attempted to break in as an ambitious novice reporter.

Times have changed, and even a scoop for the greater good of the public cannot be exempt from legal action when laws are broken in the course of gathering news. No one would praise such a reporter. No editor would ask for laws to be disregarded, and no writer would use illegal means.

As a society, we now share a consensus that the core of democracy lies on legitimate procedures. While the media gets plenty of criticism for other reasons these days, when it comes to ethics in reporting it has improved tremendousl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s spy evidence fabrication case reminded me of that incident 17 years ago. It is regrettable that some organizations still haven’t realized that things have changed. Has the NIS not noticed because it is working “in the shadow?”

Circumstanti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anti-Communist investigation team submitted forged entry and exit records from China to the court as evidence to support a charge of espionage against North Korean defector Yu Wu-seong, and some NIS agents were aware the records were faked.

It is a serious breach of national ethics and a terror against the legal order of Korea that is inconceivable in a democratic nation. Not just the opposition, but also members of the ruling party say they cannot understand how the NIS even came up with the idea.

What makes Korean citizens more concerned is the suspicion that this may not be the only case. It is my personal presumption that the practice of manipulating evidence may have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within the anti-Communism unit when they were pressured by “those high up.”

Under the grand cause of cracking down on “spies,” unlawful and illegal acts may have been tolerated to a certain level. President Park Geun-hye needs to strictly investigate the case and punish those responsible. Only then can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understand how times have changed.

JoongAng Ilbo, March 12, Page 34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JUNG-HA



















17년전 수습기자 때다. 야근중이었는데 일가족이 교통 사고를 당해 모두 사망하는 사고가 터졌다. 빨리 가족 사진을 구해오라는 지시가 떨어졌다. 사건ㆍ사고기사에 얼굴 사진을 넣는 게 필수였던 시절이다.
마감 시간이 얼마남지 않아 재빨리 모범택시를 잡아타고 사고 가족집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가족 전체가 참변을 당했으니 집에 사람이 있을리 없었고 문은 굳게 잠겨있었다. 마감 내에 사진을 못 구하면 ‘상부’로부터 무슨 소리를 들을지 생각만해도 아찔했다. 할 수 없이 열쇠수리공을 불러 문을 열기로 마음먹었다. 곧바로 수리공이 오긴 왔는데 귀가하던 옆집 주민에게 들키는 바람에 주거침입은 미수로 끝났다.
지금 생각하면 처벌당해도 할 말 없는 몰지각한 짓이었다. 그러나 당시 언론계엔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서라면 ‘적당한 수위’의 주거침입이나 절도ㆍ신분사칭 등은 눈감아주는 분위기가 만연했다. 각 언론사마다 비합법적 루트를 동원한 전설적인 특종 무용담이 차고 넘쳤다. 그런 시절이다 보니 새파란 수습이 겁도 없이 빈 집 문을 따겠다고 덤빈거다.
지금은 세상이 달라졌다. 아무리 공익적 목적의 특종 보도라 해도 취재 과정에 불법이 개입된 사실이 드러나면 법적 제재를 면키 힘들다. 아무도 해당 기자에게 잘했다고 하지 않는다. 불법적 취재를 시키는 선배도 없고, 시킨다고 따를 후배도 없다.
사회 전반적으로 민주주의의 핵심은 절차적 정당성에 있다는 인식이 뿌리내린 덕분이다. 지금도 언론이 이래저래 욕을 많이 먹긴 하지만 최소한 취재 윤리규범이란 측면에선 과거보다 크게 나아졌다고 믿는다.
이번 국정원의 간첩 증거조작 사건 파문을 접하면서 문득 머릿속에 17년전 일이 오버랩됐다. 그러면서 아직도 세상 달라진 줄 모르는 조직이 있다는 사실에 한숨이 저절로 나왔다. 국정원이 음지에서 일하다보니 바깥 세상의 달라진 공기를 아직 호흡하지 못한 걸까.
지금까지의 정황을 종합하면 국정원 대공수사팀은 탈북자 유우성 씨의 간첩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조작된 중국측 출입경 기록을 재판부에 제출했으며, 일부 요원들은 제출전에 이미 서류 위조 사실을 알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건 민주국가에선 있을 수 없는 중대한 국기문란이자 대한민국 사법질서에 대한 테러나 마찬가지다. 야당은 물론이고 여당 의원들조차 “어떻게 그런 발상이 가능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며 고개를 절래절래 흔든다.
게다가 이런 식의 증거 조작이 과연 이번 한 번 뿐만이었을까 하는 의심마저 들어 더욱 심란해진다. 전적으로 개인적 추측이지만 혹시 대공수사팀엔 ‘상부’의 독촉이 심해지면 적당히 물증을 위조하는 관행이 오래전부터 내려왔던 건 아닐까?
‘간첩’을 때려잡자는 대의명분을 내세워 ‘적당한 수위’의 불ㆍ탈법은 용인하는 분위기 말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 국기문란 사건의 진상을 철저히 파헤쳐 관련자들을 엄벌에 처해야 한다. 그래야 국정원도 세상이 달라졌다는 걸 깨닫는다.
김정하 정치국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