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not only SK’s problem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t’s not only SK’s problem

Millions of Koreans were disconnected when SK Telecom’s network, which provides service for half of the country’s mobile phone users, broke down for nearly six hours starting Thursday evening. Phone lines were dead, and Internet data and navigation services were unavailable. Phone payments on public transportation were also disrupted.

SK Telecom sited that a technical glitch had occurred at its main database, Home Local Registration. Phone connections are not possible if the home registration does not function because the network cannot identify if the caller is a subscriber. The equipment was fixed in 24 minutes. But because of the overload from a sudden rush of traffic, telecommunications lines were unstable and down for nearly six hours. SK Telecom’s website also broke down because of the massive number of users clicking to complain. SK Telecom promised to compensate its subscribers 10 times the phone charges as well as for damages sustained by clients driving taxis and operating delivery services, who rely primarily on mobile phones for their businesses.

As the country’s main mobile services carrier, it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amages it caused and take actions to prevent such problems from happening again. The company must take more aggressive actions to satisfy its customers.

But the disruption in mobile services should not end with reimbursement and corrective actions. Mobile communications and smart devices have become indispensable to Korean people. A great part of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re based on mobile services. National administrative operations, disaster control and security systems rely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Korean society practically runs on mobile services. A large-scale disruption and disconnection for a lengthy period could be catastrophic. Damage control should not be left entirely up to the operators.

The government, however, kept mostly to the sidelines, underscoring its lack of awareness of the potential gravity of such incidents. The government should not wait until network malfunctions recur to take action. The government and mobile carriers should come up with joint contingency plans to stave off disasters due to network problems. They must not only be attentive to maintenance but also map out joint emergency plans.

JoongAng Ilbo, March 22, Page 30




국내 최대의 이동통신 가입자를 가진 SK텔레콤의 통신망이 20일 저녁 장애를 일으켜 수백만명의 가입자가 거의 6시간 동안 통신이 두절되는 불편을 겪었다.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데이터의 송수신과 내비게이션 기능이 중단됐고, 이 통신사의 통신망을 통한 교통카드 결제서비스도 마비됐다. 사실상 이동전화라는 통신수단에 의존하는 모든 작업과 경제활동이 정지된 것이다.
사고 원인은 가입자를 확인해 연결해주는 장치(HLR)의 부품이 고장을 일으켰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통화연결이 불가능하다. SKT측은 사고 발생 이후 24분만에 해당 장비를 복구했다고 하지만 이후 누적된 통화량이 폭주하면서 5시간40분 동안 통신 두절이 이어졌고, SKT의 인터넷 홈페이지도 접속이 몰리면서 이날 밤늦게까지 다운됐다고 한다.
SKT는 21일 가입자에 대한 요금 감면과 콜택시ㆍ택배ㆍ대리 기사 등 생계형 피해자에 대한 손해 배상을 포함한 피해 보상방안을 내놓고, 이같은 사고의 재발 방지를 다짐했다. 영리를 목적으로 한 이동통신 사업자가 통신 장애로 가입자에게 피해를 주었다면 이를 보상하고, 유사 사고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점에서 SKT는 보다 적극적으로 가입자에 대한 피해구제에 나서고 더욱 철저한 사고방지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 사고와 같은 이동통신 두절 사태를 개별 통신사업자의 손해 배상이나 자구조치만으로 끝내서는 곤란하다고 본다. 이동통신은 이미 국민 개개인의 일상생활에 필요불가결한 요소가 되었고, 수많은 경제활동이 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 상당수 정부의 행정업무와 재난대비 시스템, 일부 국가안보제도가 이동통신을 이용한 국민들의 참여를 전제로 운용되고 있다. 우리 사회 전체가 사실상 이동통신에 기반한 구조로 전환됐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이동통신의 장애나 두절이 대규모로 장기간 발생한다면, 국가적인 위기나 재앙이 아닐 수 없다. 단순히 개별 통신사업자의 사고 대처에 맡겨서는 안되는 이유다.
이 점에서 정부가 이번 사고에 아무런 반응조차 보이지 않은 것은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안이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사고는 언제든지 또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적 재난에 가까운 사고가 일어날 때까지 손을 놓고 기다리는 것은 책임있는 정부가 할 일이 아니다. 정부와 이통사들은 우선 이동통신망의 장애나 두절이 국가적 재난이나 비상사태에 준하는 위기라는 인식을 가지고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통신망의 점검과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것은 물론,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복구와 즉각적인 대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차제에 이동통신망이 마비된 상황을 상정한 비상계획을 세우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