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nteers bring hope after Cheona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Volunteers bring hope after Cheonan

테스트

I have wanted to visit Baengnyeong Island, the northernmost island in the Yellow Sea, since the naval vessel Cheonan sank close to there four years ago. Finally, last weekend, I was able to go there. After I arrived, following a four-hour boat ride from Incheon Harbor, I first went to the Memorial Tower for the 46 Warriors of Cheonan on the western tip of the island. The soldiers were cleaning the faces engraved on the tower for the approaching anniversary on March 26. I set up 47 glasses in front of the tower and dedicated a drink to each soldier. “I will never forget your service,” I mourned for the 46 crew members and for Navy Warrant Officer Han Ju-ho, the legendary underwater demolitions expert who died during the rescue mission. After a moment of silence, I gazed at the sea. The site of the sinking was 2.5 kilometers, or 1.5 miles, away from the memorial tower, and the water was calm.

Four years after the sinking of the Cheonan, not much has changed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my two-day stay on the island, a series of news stories about North Korea’s rocket launches was reported. They never apologized or repented. Internal discord has not improved. We have learned nothing.

But a young Marine I met during the trip gave me a glimpse of hope. Shin Tae-su is a 22-year-old, second-generation overseas Korean. He was born in England, grew up in Japan and completed high school in the United Kingdom. He is a foreign residency holder, and his father, who was a researcher in the United Kingdom, is now a university professor in Japan. In his case, according to the Military Service Law that was revised in 2004, he would have been exempt from military duty when he turned 38. He was admitted to a college in the United Kingdom, but he chose to study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at Korea University “to find his identity as a Korean.” Then the Cheonan was sunk during his first year in college. “The incident made me look at the solemn security reality on the Korean Peninsula,” he said. “That was the main reason I wanted to volunteer for the Marin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Defense, more than 1,440 overseas Koreans who were exempt from military duty voluntarily joined the armed forces since 2004. Of those, 1,300 were in active service and 140 were social service personnel. Every year, more and more young Koreans find their identities as Korean citizens by defending the nation, especially since the sinking of the Cheonan in 2010.

“I want to defend my family and my country from the most challenging site,” said Shin. He assured me that the future of Korea is promising. From the northern coast of Baengnyeong Island, I could see Hwanghae Province. “Solid security” is the best way to remember the crew of the Cheonan.

JoongAng Ilbo, March 25,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IN-TAEK














그 섬에 꼭 가고 싶었다. 서해 최북단 백령도. 4년 전 그 앞바다에서 우리 해군 천안함이 폭침하면서부터다. 지난 주말 드디어 다녀왔다. 인천 연안부두를 떠나 4시간의 항해 끝에 도착하자마자 가장 먼저 섬 서쪽의 ‘천안함 46용사 위령탑’부터 찾았다. 4주기(26일)를 앞두고 해병들이 탑에 조각된 46용사의 금속 얼굴 상을 닦고 있었다. 그 앞에 47개의 잔을 놓고 헌주했다.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말로 46용사와 당시 구조작전 중 서해에서 스러진 ‘UDT의 전설’ 한주호 준위를 함께 추모했다. 묵념에 이어 한동안 빈 바다를 응시했다. 2.5km떨어진 ‘현장’이 추모탑에서 빤히 보였다. 바다는 고요하기만 했다. 그렇게 4년이 지났어도 한반도는 변한 게 없어 보인다. 백령도에 머무는 이틀 동안에도 스마트폰을 통해 북한의 로켓 발사 소식이 계속 전해졌다. 그들은 어떠한 사과도, 반성도 없다. 내부 분열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우리는 정녕 배운 게 없단 말인가.
하지만 이번 추모여행에서 만난 한 젊은 해병의 눈빛에서 희망을 엿볼 수 있었다. 재외동포 2세인 신태수 병장(22)이 주인공이다. 신 병장은 영국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성장하다 영국에서 고교 과정을 마친 국외영주권자 2세다. 영국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던 그의 부친은 현재 일본에서 대학교수로 활동 중이다. 이런 경우 2004년 바뀐 병역법에 따라 38세가 되면 병역의무가 자동 면제된다. 본인이 원하면 입영희망원을 내고 입대할 순 있다. 영국 대학의 입학허가를 받아놓고서도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고 싶다”며 고려대 정외과에 진학한 신 병장은 1학년 때 천안함 폭침 사건을 접했다. 그는 “이 사건으로 한반도의 냉혹한 안보 현실을 직시하게 됐다”며 “이 사건은 재학중 휴학하고 해병에 자원입대를 결심한 가장 큰 이유가 됐다”고 말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2004년 이후 신 병장처럼 병역의무가 사실상 없어진 재외동포 2세 중 자원입대자가 1440여 명에 이른다. 현역병 1300여 명에 공익사회복무요원 140여 명이다. 대한민국을 지키며 국민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젊은이는 2010년 천안함 폭침 이후 매년 늘고 있다고 한다. 1970년대 중동전쟁이 터졌을 때 북미나 유럽의 공항들이 귀국해 싸우려는 이스라엘이나 유대계 젊은이들로 붐볐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백령도에서 해병 소총수로 복무하는 재외동포 출신 신 병장의 선택도 이들과 다를 바 없다. “가장 힘든 곳에서 우리 가족과 나라를 지키고 싶었다”라는 이 젊은이를 보면서 대한민국의 장래는 밝다고 확신하게 됐다. 백령도 북쪽 해안에선 황해도 장산곶이 한눈에 들어왔다. ‘튼튼한 안보’야말로 천안함 장병을 잊지 않는 최선의 길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채인택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