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ting for no one versus not voting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Voting for no one versus not voting

테스트

I have to confess that I once refused to vote when I was young. It was my way of expressing resistance against irrational politicians and was done out of frustration that my vote wouldn’t change a thing. I believed that it was irresponsible to choose the lesser of two evils. Now that I think about it, it was a childish, immature idea. After the passion of my young years faded, I realized that giving up could never be a form of resistance.

Of course, when I cast my vote now, I still have doubts. Whenever I vote for someone, I never have the conviction that the candidate will work for the country and its citizens without self-interest. I just think that I am choosing the lesser evil. Pledges too often turn into empty promises and successful candidates into warriors to defend their party interests. So I often regret my vote. The sense of helplessness makes voters weigh the consequences of giving up a vote or regretting it later.

Then came the recent re-election of the Osaka mayor, where more than 60,000 blank ballots were cast. It was refreshingly shocking - 67,500 Osaka residents visited polling stations to cast invalid votes. They accounted for 13.53 percent of the total vote. The election was criticized as a political show for Mayor Toru Hashimoto. In the previous election campaign, he promised to merge the Osaka prefectu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But when the city council opposed it, he resigned last month and sought re-election. The election cost 600 million yen ($5.87 million). Other major parties did not produce a candidate because they wanted no part of Hashimoto’s show. With only a few independent candidates running against Hashimoto, the victory was clearly his.

But the spotlight is on those who cast invalid votes, not Hashimoto. There were about 45,000 blank ballots, nearly double the next highest total of 24,004. About 20,000 ballots were invalid as the voters wrote, “Don’t stage a show” or “Spend taxpayers’ money wisely.” The Japanese media was stirred. Even the rightist-inclined Sankei Shimbun, which favors Hashimoto, whose reckless remarks please the ultraconservatives, called the re-election “too violent.”

The election turnout was 23.59 percent. More than three-quarters of Osaka voters didn’t participate. But nothing can be learned from non-participation. Those who went to the polling stations to cast invalid votes sent a warning to Hashimoto that what he was doing was wrong. They gave new meaning to the phrase “vote for a change.” The June 4 local elections are approaching. Korean voters need to ponder ways to change the world with our votes.

JoongAng Ilbo, March 27,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고백하자면, 젊어 한 때 투표를 거부한 적이 있다. 투표로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는 답답함과 부조리한 정치권에 대한 저항의 표시였다. 투표로 최선(最善)이 아닌 차악(次惡)을 뽑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믿었다. 돌이켜보면 허접하고 유치한 발상이었다. 포기는 어떤 경우에도 저항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은 건 젊은 열기가 한풀 꺾인 후였다.
물론 투표에 참여하는 지금도 의구심이 없는 건 아니다. '이 사람이라면 나라와 국민을 위해 사심없이 일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한 표를 행사한 적이 없다. 차악을 골랐다고 믿었는데, 그가 정치인의 공약(公約)은 공약(空約)임을 증명하고 당리당략의 투사가 되는 모습을 지켜보는 일은 흔했다. 그래서 투표 후엔 '손가락을 뽑아버리고 싶다'는 후회가 밀려오곤 했다. 이런 '투표의 무력감'이 유권자들을 투표의 포기와 후회 사이에서 서성이게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다 이번에 6만여 표의 무효표가 나온 일본 오사카(大阪)시장 재선거 투표 결과를 봤다. 신선한 충격이었다. 무효표를 던지기 위해 투표장을 찾은 오사카 시민은 6만7500여 명, 전체 투표수의 13.53%나 됐다. 이번 재선거는 애초 하시모토 도루 시장의 정치쇼라는 비판이 무성했다. 그는 지난 선거에서 오사카시(市)와 오사카부(府)를 통합해 도(都)로 만들겠다고 했으나 시의회가 반대하자 지난달 초 민의를 묻겠다며 사임하고 재출마했다. 이에 들어간 선거비용만 6억 엔(약 63억원). 다른 주요 정당은 “하시모토의 정치쇼에 놀아날 수 없다”며 아예 후보를 내지 않았고, 이름 없는 무소속 후보들만 출마했다. 그러니 결과는 하시모토의 승리로 끝났다.
하나 이 선거의 주인공은 다시 돌아온 하시모토가 아니라 투표에 참여해 무효표를 던진 유권자들이 됐다. 백지투표(4만5098표)는 2위 후보 득표(2만4004표)보다 많았고, 나머지 2만여 표엔 '쇼하지 마라' '세금을 소중히 쓰라'는 등의 글이 적혀 있었다. 이에 일본 언론들도 시쳇말로 뒤집어졌다. 위안부 망언 등으로 일본 우익의 구미를 당긴 하시모토에게 우호적이었던 우익 성향의 산케이(産經)신문마저 사설에서 “이번 재선거는 너무 난폭했다”고 비난했을 정도다.
이번 선거는 인기가 없었다. 투표율 자체가 23.59%로 시민 4분의 3 이상이 투표하지 않았다. 그러나 투표 거부 자체는 아무런 교훈도 남기지 못했다. '당신의 행동이 틀렸다'고 경고를 한 건 무효표를 던지기 위해 투표를 한 시민들이었다.'사회를 바꾸고 싶다면 투표를 하라'는 말의 의미를 그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보여줬다. 곧 지방선거가 다가온다. 우리 유권자들도 투표를 통해 세상을 바꾸는 방식에 대해 고민해볼 때인 듯하다.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