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ene to stop nuclear tests

Home > 영어학습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ntervene to stop nuclear tests

North Korea has once again played its infamous nuclear test wild card. It announced Sunday that it could conduct a “new form” of nuclear testing to protest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statement last week condemning Pyongyang’s recent bout of ballistic missile launches. In a statement released by its Foreign Ministry, Pyongyang said it was prepared to retaliate “for self-defense” should Washington continue to isolate and pressure North Korea through the UN Security Council. However, it remained silent on a package of dovish proposals for aid and cooperation to build a lasting framework for trust and peace from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during her visit to Germany last week.

The North’s Foreign Ministry condemned joint Seoul-Washington military exercises as a war drill designed to occupy Pyongyang and threatened to carry out nuclear deterrence in various forms. It said it was readying follow-up steps that could be “beyond our enemy’s imagination.” North Korea detonated a nuclear device in October 2006, another in May 2009 and a third in February last year. Intelligence sources in Seoul and Washington believe Pyongyang has completed the necessary procedures to carry out another nuclear test near its northern border.

Through its three earlier tests, North Korea claims it has made headway in securing a functioning atomic arsenal that would fit into rockets capable of reaching as far as the mainland United States. Expert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an no longer brush asid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ess as a mere bluff or its tests as exhibitionist stunts. The UN and international responses should not stop at rhetoric and economic sanctions. China responded strongly to last year’s nuclear test and may seriously reconsider its policy toward its traditional ally. North Korea would have to brace for international actions of an unprecedented level and even have a fallout with its only economic patron. If China turns away, the fragile Pyongyang regime could be in jeopardy. Pyongyang must be fully aware that it could be headed toward its doomsday if it pushes the red button on the fourth test. Washington should clearly articulate that it is done with “strategic patience” with Pyongyang. The members of the six-party nations for denuclearization should meet quickly to choose a course of action to stop North Korea from going through with another nuclear test.

JoongAng Ilbo, March 31, Page 30




북한이 또 다시 핵실험 카드를 꺼내 들었다. 4차 핵실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엔 안보리가 28일 북한의 노동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언론성명’을 발표한 것을 빌미로 내세웠다. 북한은 어제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미국이 유엔 안보리를 도용해 우리를 고립·압살하려는 책동에 계속 매달리는 한 우리도 정당방위할 권리가 있다”며 “핵 억제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이 드레스덴 연설을 통해 교류ㆍ협력을 통한 통일 기반 조성 의지를 천명했지만 북한은 이를 외면하고, 핵 카드를 집어든 모양새다. 외무성 성명은 한ㆍ미 합동군사연습을 ‘평양 점령을 노린 핵 전쟁연습’이라고 비난한 뒤 “그에 대처하기 위한 우리의 훈련에도 다종화 된 핵 억제력을, 각이(各異)한 중장거리 목표들에 대해 각이한 타격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훈련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적들이 상상하기도 힘든 다음 단계 조치들도 준비돼 있다”고도 했다. 2006년 10월 첫 핵실험을 한 북한은 2009년 5월과 2013년 2월 추가 핵실험을 했다. 한ㆍ미 정보 당국은 북한이 함북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추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판단하고 있다.
북한의 4차 핵실험은 북한 핵 능력의 다종화, 경량화, 실전화를 의미한다. 핵탄두를 미사일에 실어 목표를 타격할 수 있는 기술적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다고 봐야 한다. 그런만큼 안보리 등 국제사회의 대응도 전과는 차원이 다를 수밖에 없다. 중국도 더이상 용인하기 힘든 상황으로 판단하고, 대북정책의 근본적 변화를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이 결심하면 북한 체제의 존속은 어려워진다. 북한은 그럴 각오까지 돼 있는가. 4차 핵실험은 정권의 운명을 재촉하는 시한폭탄이 될 수 있음을 북한은 명심해야 한다. 미국도 ‘전략적 인내’에 기초한 북핵 대응이 한계에 봉착했음을 솔직히 인정해야 한다. 6자 회담 당사국들이 모여 북한의 추가 핵실험을 막을 수 있는 방도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What’s Popular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