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won requires vigilance
Published: 11 Apr. 2014, 18:48
On a fundamental level, the won’s gain is reasonable. Korea’s current-account surplus last year reached $80 billion won ($77.2 million) and has raked in handsome black figures in February for the 24th month in a row. Shockwaves from the U.S. Federal Reserve’s tapering of quantitative easing have eased, spawning a new rush of foreign investment into Korean equities and bonds.
But what’s worrying is the pace of appreciation of the won - the sole gainer among neighboring Asian neighbors that are rivals on the export front. The Japanese yen continues to weaken thanks to large-scale easing by Japanese monetary authorities. The Chinese yuan’s strengthening has reversed course this year.
The long-standing theory that a strong won can hurt exports and the overall economy has diminished. Korean companies have shifted large parts of manufacturing base overseas, and they now compete on quality and technology rather than solely on price. Still, the exchange rate can be a strong factor in an export-reliant economy. It is naive to believe foreign exchange rates are determined entirely by market supply and demand. If that were so, advanced nations like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wouldn’t have to resort to monetary means to devalue their currencies to make prices more competitive and increase hiring.
Exports are a strong driver in our economy as domestic demand remains stubbornly sluggish due to depressed private consumption and corporate investment. In the long run, Korea must strengthen its resilience to external factors by advancing technology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striking more free trade agreements. For now, authorities must keep a watch on excessive volatility so the won doesn’t decouple too much from rival currencies.
JoongAng Ilbo, April 11, Page 34
원화 환율이 심상찮다. 그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년8개월 만에 원-달러 환율의 심리적 저항선인 1050원이 깨졌으며, 어제는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에도 장중 한때 1031원까지 내려갔다. 길게 보면 원화 강세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우선 경상수지 흑자가 지난해 800억 달러에 육박했고, 올해도 24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정책의 점진적 축소) 충격이 완화되면서 한국 증시와 채권 시장에 다시 외국인 투자자금이 몰려들고 있다. 최근 환율변동은 하락속도가 빠른 데다 주변 경쟁국들과 비교해 ‘나홀로 급락’이란 점이 눈에 띈다. 일본은 아베노믹스로 엔 약세를 밀어붙이고, 중국 위안화도 지난해와 달리 연초부터 약세로 돌변했다. 더 큰 문제는 우리 외환당국이 쉽게 외환시장에 개입하지 못할 만큼 주변 환경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우선 국내 시선이 “수출 대기업만 편드느냐”는 쪽으로 싸늘하게 바뀌었다. 또 우리 정부가 2010년 G20 회의에서 경상수지 4% 이상의 흑자는 스스로 관리하자고 제안한 것이 자충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달 말 환율조작국을 지정하는 미 재무부의 환율보고서가 나올 예정이고, 25일의 오바마 대통령 방한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예전처럼 ‘환율 하락→수출 타격→경제 충격’이란 공식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시대는 아니다. 우리 기업들의 해외 생산비중이 늘어났고 기술·품질 등 비(非)가격경쟁력도 몰라보게 높아졌다. 그럼에도 여전히 환율은 예민하고 중요한 경제변수다. 환율이 시장에서 자동적으로 결정된다는 것도 순진한 생각이다. 그렇다면 미국·유럽·일본이 왜 경쟁적으로 통화가치를 하락시켜 수출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에 매달리겠는가. 소비와 투자가 좀체 되살아나지 않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에서 맡아야 할 역할은 여전히 막중하다. 중·장기적으로 꾸준한 연구개발(R&D)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통해 유연하게 대처하면서도 단기적으론 과도한 환율변동이나 ‘나홀로 원화 강세’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할 때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