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ing care of the survivor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aking care of the survivors

테스트

“I know of course; it’s simply luck. That I’ve survived so many friends. But last night in a dream, I heard those friends say of m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I hated myself.” (“I, the Survivor” by Bertolt Brecht.)

In 1933, German poet and writer Brecht left Germany to avoid Nazi persecution. During his 10 years in exile, many of his friends were killed in the Holocaust. He survived and later went to the United States, but news of his friends and family members’ deaths continued. His poem “I, the Survivor” is about survivor’s guilt.

Survivor’s guilt, or survivor syndrome, was first identified in the 1960s in studies on Holocaust survivors. “My children died, but I survived.” “I helplessly watched my friends being killed.” “I turned away from a woman who was being raped.” “My mother was taken by German officers, and I never saw her again.” The survivors of the Holocaust struggled from an extreme form of guilt and depression and let themselves suffer instead of feeling sympathetic. Similar conditions are found in survivors of natural disasters, epidemics, sexual assault or large-scale restructuring.

Judith Herman discusses “chronic trauma” in her book, “Trauma and Recovery.” The survivors are subject to prolonged, repeated trauma and are aware that it could happen again. The stress and anxiety gradually reduce their mental health.

On April 18, Kang Min-gyu, vice principal of Danwon High School who survived the Sewol ferry incident, killed himself. He had escaped from the ferry before it sank. The tragedy left 250 of 325 students missing or dead. Out of 14 teachers, only three survived. Kang was in charge of the field trip, but he was helpless. Some mentioned the moral responsibility of the vice principal. He was exposed to trauma and knew it would continue to haunt him.

“In an effort to control her rage, the survivor may withdraw even further from other people, thus perpetuating her isolation. Finally, the survivor may direct her rage and hatred against herself.... Studies of returned prisoners of war consistently document increased mortality as a result of homicide, suicide and suspicious accidents. (“Trauma and Recovery” by Judith Herman.)

Only some people who experienced the accident survived. A miracle could happen, so the rescue operation must continue. But, at the same time, we have to care for the survivors. We should take care of them as they may be left alone amid unreasonable criticism and self-abuse. We have already lost a survivor. Survivor’s guilt can last a long time so long-term attention and care should be provided.

JoongAng Ilbo, April 21, Page 30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KANG IN-SIK


















물론 나는 알고 있었다/오직 운이 좋았던 덕택에/나는 그 많은 친구들보다/오래 살아남았다/…그러자 나는 자신이 미워졌다(브레히트 '살아남은 자의 슬픔')
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1933년 나치를 피해 고향 독일을 떠났다. 10년의 망명 기간, 그가 떠나온 곳에선 홀로코스트와 전쟁이 있었고 많은 이들이 죽어갔다. 반전주의 마르크스주의자였던 그는 살아남기 위해 러시아 공산주의와 함께 했고 심지어 미국에까지 망명했다. 그는 살아남았으나 가족과 친구의 사망 소식은 끊이지 않고 그에게 날아들었다. 시(詩) ‘살아남은 자의 슬픔’은 ‘생존자의 죄책감(survivor’s guilt)’이라고 써야 더 적확할지 모른다.
생존자 죄책감, 혹은 생존자 증후군(survivor syndrome). 이 단어는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심리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기 시작한 60년대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자식은 죽고 나만 살아돌아왔다”, “친구의 죽음을 무력하게 지켜봤다”, “강간당한 그녀의 눈을 나는 외면했다”, “어머니가 어젯밤 독일군 장교에게 끌려갔고, 다시는 만나지 못했다” … 홀로코스트 생존자는 극도의 죄책감과 우울증에 시달렸고, 자기를 연민하는 대신 학대했다. 이런 증상은 자연재해·대형사고·전염병·성폭행 혹은 대규모 정리해고 생존자들에게서도 같은 형태로 발현됐다.
주디스 허먼은 『트라우마』에서 ‘만성적인 외상’을 얘기한다. 정신적 외상이 한번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그것이 반복되리라는 걸 생존자가 알고 있는 상태. 그렇게 되면 상처는 계속 덧나서 곪아터진다.
18일 세월호의 생존자 강민규 안산단원고 교감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배가 침몰하기 전 그는 탈출했다. 그 시각 자기 학교 2학년 325명 중 250명은 실종되거나 죽어갔다. 교사 14명 중엔 자신을 포함해 3명만이 살아남았다. 강 교감은 책임자였지만 학생의 죽음에 무력했다. 누군가는 교감의 도덕성에 대해 얘기했다. 그는 반복적으로 외상에 노출됐고, 그 외상이 지속되리라는 걸 본인도 알고 있었다.
“생존자는 분노를 통제하려고 다른 사람을 더욱더 피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생존자의 고립은 영속된다. 결국 생존자는 분노와 혐오의 화살을 스스로에게 돌린다. 여러 연구는 살인, 자살, 의문의 사고로 인하여 생존자들의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일관된 기록을 남겼다(허먼, 트라우마).”
기억을 공유하는 이들이 함께 변을 당했지만 (아직은)일부만 살아남았다. 기적은 분명 일어날 것이기에 총력을 다한 구조작업은 계속 돼야 한다. 그와 동시에 우리는 생존자에게도 눈을 돌려야 한다. 그들이 어떻게 감정을 드러내고 혹은 숨기고 있는지, 혹시 불합리한 질책과 자기학대 속에 방치된 건 아닌지, 마땅히 누군가는 생존자를 위한 구호에 나서야 한다. 한 명을 구하는 게 기적인 상황에서 우리는 생존자 한 명을 잃었다. 생존자의 죄책감은 아주 오랜기간 남아 있기 때문에 우리의 관심은 매우 오랫동안 지속돼야 한다.
사회2부 강인식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