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ama’s straightforward warning
Published: 27 Apr. 2014, 18:56
In this context, U.S. President Barack Obama had some unexpected responses in our interview. He said that while he welcomes President Park Geun-hye reinforc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the United States is the foundation of Korea’s security and prosperity. He was surprisingly straightforward. Since the launch of the Park administration, Washington has been dissatisfied with Korea-U.S. relations. Considering the traditional alliance with America, Korea is too close to China. However, neither the White House nor the U.S. Department of State expressed it out loud. But the day before his fourth visit to Korea, President Obama explicitly said it.
And he didn’t stop there. While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ivot to Asia” and the Korea-U.S. alliance, he underscored that America was the only superpower in the world. Connecting the two sentences, it effectively means the United States is the most powerful country, so Korea should not completely be on China’s side, though it may be friendly with Beijing.
Since the Ukraine crisis, Obama’s diplomacy has been under fire. The Republican Party criticized Obama for his feckless diplomacy, so he is making up for the loss in his Asia tour.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cannot afford to overlook the direct speech of the U.S. president. We want to avoid having to choose sides between America and China. The Obama administration has two objectives in its Asian tour. The first is to make progress i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alks, and the other is to complete the frame of alliance in Asia to check on China’s expansion. The Seoul-Washington-Tokyo security alliance is a good example, as America is wary of Korea being too close to China.
We felt secure by the traditional alliance because it was a constant in security. But if the United States grows discontent and the alliance becomes a variable, Korea’s diplomacy will become far more complicated.
America’s perspective hasn’t changed in the past 20 years. When U.S. President Bill Clinton visited Japan in May 1996, Joseph Nye, then the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international security affairs, said the U.S. Forces in Asia provide the oxygen for the East Asian economy to breathe. We can take a peek into the root of Washington’s discontent over the Seoul-Beijing ties.
*The author is the JoongAng Ilbo Washington bureau chief.
BY PARK SUNG-HEE
JoongAng Ilbo, April 26, Page 26
외교는 어렵다. 말을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 외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첸치천(錢其琛) 전 중국 부총리는 “외교 투쟁에서 어떤 말은 반드시 공식석상에서 해야 하지만 어떤 말은 무대 아래에서 하는 게 좋다”(『열 가지 외교이야기』중에서)고도 했다. 이런 기준에서 볼 때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인터뷰 답변서는 의외였다. 한ㆍ중 관계에서 그는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과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걸 환영한다. 다만 한국 안보와 번영의 기초(foundation)는 미국”이라고 했다. 놀랍도록 직설적이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워싱턴에선 한미관계에 대한 불만이 소리없이 쌓여왔다. 전통적인 한미동맹 관계에 비춰볼 때 한국이 중국과 너무 가깝게 지낸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백악관도, 국무부도 대놓고 입 밖으로 표현하진 않았다. 그걸 네번째 한국 방문을 하루 앞둔 오바마 대통령이 내뱉은 것이다. 워싱턴 사정을 잘 아는 지인은 이 얘기를 전해주자 “정말이냐”고 몇 차례나 물었다. “표현을 보니 백악관의 누가 조언했는지 짐작이 간다”고도 했다. 평소 사석에서 하던 말이라고 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방한하기 이틀 전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에게 전화를 건 박 대통령에 대한 불만도 작용한 것같다고 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화법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아시아 중시 전략과 한미동맹의 연관성을 설명하던 중 “세계에서 미국만이 유일한 초강대국”이라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두 문장을 연결하면 ‘내가 제일 힘이 세니 중국과 친하게 지내더라도 마음까지 주지는 말아라’는 의미였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오바마 대통령의 외교는 안방에서 난타당하고 있다. 야당인 공화당은 "역대 대통령 중 가장 허약한 외교"라고 비판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으로선 아시아 순방에서 어떻게든 실점을 만회해야 할 형편이다. 잇따른 중국 때리기는 그런 점에서 미국 국내용이기도 하다. 하지만 미국 대통령의 직설화법을 듣는 한국 정부로선 관전만 하고있을 여유가 없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어느 한 쪽을 편드는 상황이 생기는 건 피해야하기 때문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두 가지 목표를 내걸고 있다. 하나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의 진전이고, 또 하나가 중국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한 아시아 동맹 틀의 완성이다. 한미일 안보협력이 대표적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이 지나치게 중국으로 쏠리는 건 눈엣가시다. 한미동맹이 우리 입장에서 든든했던 건 늘 안보의 상수였기 때문이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미국의 불만 때문에 한미동맹이 변수로 바뀐다면 한국 외교는 지금보다 몇 배 더 바빠져야 한다. 미국의 시각은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다. 1996년 5월 빌 클린턴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조지프 나이 당시 미 국방차관보는 "아시아의 미군은 동아시아 경제가 호흡할 산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중관계를 지켜보는 불만의 뿌리가 어디에서 시작됐는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워싱턴총국장 박승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