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ry crisis highlights daily danger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erry crisis highlights daily dangers

The tragic sinking of the Sewol ferry and the loss of hundreds of teenage lives served as a rude awakening, shining a light on our poor safety awareness. This disaster begs us to turn our eyes toward the potential risks and dangers all around us.

The government must first of all assuage public jitters about the reliability of ferryboats, many of which are overused and unsafe. According to 2013 data, out of 173 car ferries in operation, 50, or 29 percent, are older than the 20-year-old Sewol.

In documents secured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y Saenuri Party Representative Joo Young-soon, 63.2 percent of ferryboats bought from overseas since the government eased the limit on ship age (from 20 years to 30 years) were more than 15 years old.

In South Korea, which regards itself a shipbuilding powerhouse, 21 percent of registered ferries are overage, imported vessels. They mostly carry large holiday groups and run on popular routes between the mainland and the southern and eastern islands of Jeju and Ulleung.

Schools are another unsafe place. According to one report, 13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uildings were classified last year as risky, danger-prone facilities after failing in safety standard tests. Some are no longer in use or preparing to move out, but some still accommodate students due to poor budgeting.

There are many worn-down commercial buildings where children have music or academic lessons or where consumers frequently shop. Many of these facilities are not equipped with emergency exits or fire extinguishers. Some youth training centers that accommodate large groups of children do not have any safety infrastructure. We live in a society brimming with potential dangers and risks.

Before the government gets itself all riled up about creating a new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public safety, it should use its current administrative resources to go across the nation to thoroughly examine and supervise safety levels. What the government must provide is public service on foot and in action.

It should sweat to atone and make amends for its follies and its dismal inaction in response to the Sewol ferry crisis, which enraged and disappointed the entire nation, and try to recover its credibility and reputation among the people.

JoongAng Ilbo, May 2, Page 30.



세월호 충격을 계기로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에 온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우리 주변 곳곳에는 세월호 말고도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들이 여전히 상존하거나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정부는 연안 여객선 중 낡은 배가 많아 타고다니기가 겁난다는 국민의 걱정에 답해야 한다. 2013년 말 기준으로 국내 여객선 173척 중 세월호(선령 20년)보다 더 오래된 노후선이 전체의 28.9%인 50척이나 된다고 한다. 국토해양부가 새누리당 주영순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여객선 선령 제한이 20년에서 최장 30년으로 풀린 2009년 이후 수입된 여객선의 63.2%가 선령 15년이 넘는 낡은 배라고 한다. 조선강국 한국에서 등록 여객선의 20.8%가 노후 수입 여객선이며, 이 낡은 배들이 제주·울릉도 등 단체 여객 수요가 많은 노선에 투입되고 있는 현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학생들을 낡은 시설에 수용하기는 학교도 마찬가지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시설물 안전관리 특별법상 건축물 안전등급 D(미흡)·E(불량)를 받아 재난위험시설물로 분류된 건물이 전국 초·중·고교에 133개 동이나 된다. 일부 사용 중지나 철거 준비가 이뤄지고 있다지만 예산 타령 속에 계속 사용하는 건물도 적지 않다고 하니 아찔할 따름이다.
사람들이 몰리는 학원·마트·시장 등 다중이용업소의 안전도 우려되기는 마찬가지다. 대피로안내·비상구·소화전 등에서 속시원한 안전대비를 찾기가 힘든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청소년이 단체로 체험학습을 하는 수련원의 모험시설에는 안전규정이 아예 없다는 지적도 있는 등 우리 사회에 상존하는 안전 위해요소는 끝이 없어 보인다.
정부는 안전 전담 부처 신설에 앞서 전 행정력을 동원하고 민간의 지식과 의견을 다양하게 수집해 전국 곳곳의 생활안전 빈틈을 낱낱이 찾아 이를 메우는 작업부터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그런 국민중심형·생활밀착형 대국민 서비스가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첫 걸음이지 않을까. 아울러 이번에 충격받은 국민의 가슴을 어루만지는 길도 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