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tainment, not interference
Published: 25 Jul. 2014, 18:40
Guests at the nuptial mass at Myeongdong Cathedral on June 12 sang the song together. The lyrics about the simple life were written by Park Yong-man, chairman of the Doosan Group and the Korean Chamber of Commerce. His second son was getting married. Compared to other CEOs, Park is a connoisseur of pleasant humor.
But at the Korcham forum in Jeju, he was serious. Hundreds of business leaders attended the forum, which also serves as a retreat. He personally rewrote the opening speech prepared by the staff. I had hoped his speech would not be the routine motivational talk, and he would maintain the spirit of a “chief entertainment officer.”
But I was wro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ality we face today doesn’t allow us to enjoy the vacation. We cannot afford to relax just for a moment,” he began. Of course, outdoor and leisure activities were for the participants to enjoy. However, their minds were not completely relaxed. The CEOs at the forum shared the concerns contained in the opening remark.
What stands in the way of a relaxed retreat for members of the Korean business community, of course, is the sta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At the same time, they are pressured to make more investments or release money. But these moves are easier said than done. Investment is not a matter of willingness, but of opportunity.
Nevertheless, the economic authorities are pressuring the private sector to act. They applaud ambitious moves to do anything. However, it is hard to agree with the idea of pushing companies to release the cash reserves they saved up after paying all their taxes.
The key is not whether or not to tax the reserve fund. Companies agree with the goal, but are reluctant. The purpose of the policy is to encourage companies to release cash to boost domestic consumption. But the government’s order of business is wrong. First, the benchmark interest rate should be lowered. Another intent is to urge businesses to release into the domestic market money earned from exports. But it is an outdated perspective. In the past, investments were outcomes of teamwork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Bu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vestment is a product of competit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governments.
At this juncture, money would be hidden if companies are urged to make investments. The authorities must not forget that companies will be more worried and frustrated about the future if they don’t see investment opportunities.
The government’s economic team needs to play the role of “chief entertainment officer” rather than offering carrots and sticks. They should make the exhausted companies reenergized, laugh and become bolder. That’s the core of Abenomics. When you feel comfortable and relaxed, you can make up your mind.
The government must strive to vitalize, not stiffen, the economy.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uly 25, Page 30
BY KIM YOUNG-HOON
“지지고 볶고 엎치락뒤치락…. 제 눈에 안경 아니겠니….” 지난달 12일 명동성당에서 열린 혼배미사에서 하객이 함께 부른 축가다. 소탈한 일상 언어가 담긴 가사는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었다. 미사는 그의 둘째 아들 결혼식이었다. 다른 최고경영자(Chief Executive Officer)에 비해 박 회장은 유쾌한 파격을 즐긴다. 그런데 그가 심각했다. 23일부터 제주에서 열리고 있는 대한상의 포럼에서다. 수백명 기업인이 휴가를 겸해 온 자리다. 실무진이 만든 개회사를 그가 다 뜯어고쳤다고 했다. 그래서 기대했다. 뻔한 회장님 말씀이 아니길. CEO로서 그의 장점은, 일은 매섭게 해도 최고오락책임자(Chief Entertainment Officer) 역할을 잊지 않는 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빗나갔다. “우리가 직면한 대내외 현실이 지금 저희에게 쉬게만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잠시의 휴식도 허락하지 않는 시기입니다만….” 물론 머리 식히고 가라고 했고, 야외 활동도 했다. 그러나 아무래도 맘 놓고 쉬긴 어려울 것 같았다. 개회사 때문만은 아니다. 그 자리의 모인 CEO들의 이심전심이기에 그렇다. 기업인에게 맘 편한 휴식을 허락하지 않는 근원은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안팎의 경기다. 특수 상황이 그 위에 더해진다. 닦달이다. “투자해라”“돈 풀어라”하는 얘기 말이다. 말은 쉬운데 ‘그래 결심했어’ 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투자는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기회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경제팀, 결심을 닦달하는 듯 하다. 뭐든 해보겠다는 의욕에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기업이 세금 다 내고 필요에 의해 저축한 자금(사내유보금)을 꺼내놓으라는 발상은 동의하기 어렵다. 핵심은 그 돈에 세금을 물리느냐, 마느냐가 아니다. 열쇠는 “취지는 공감하지만…”이란 기업 반응 안에 있다. 이 정책의 취지는 돈을 풀어 내수를 살리자는 것이다. 그렇다면, 순서가 틀렸다. 금리 낮추는 게 먼저다. 수출로 번 돈 국내에 풀라는 취지도 있다. 그렇다면, 시각이 낡았다. 과거 투자는 한국 정부와 한국 기업간 팀워크의 결과였다. 그러나 글로벌 시대 투자는 한국 정부와 외국 정부간 경쟁의 결과다. 이런 상황에선 채근만 하면 나올 돈도 숨는다. 투자 못 해 가장 답답한 곳은 앞으로 먹고 살 걱정이 그만큼 커지는 기업이란 점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지금 경제팀에 필요한 것은 회초리나 양보 요청보다 최고오락책임자 같은 역할이다. 지친 기업의 기를 살리고, 웃게 하고, 그래서 더 과감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 말이다. 정부가 경쟁 상대로 삼은 ‘아베 노믹스’의 핵심도 여기에 있다. 마음이 풀려야 비로소 마음을 다잡을 수도 있다. 정부가 하려는 게 경제 경직화가 아니라 활성화 아니던가. 김영훈 경제부문 차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