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cripts clamor to be in Katusa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Conscripts clamor to be in Katusa

테스트

You can make multiple tries for college admission, and you can run for a seat in the National Assembly over and over again. But applying for a position in the 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 is a one-time deal, and there is no second chance or consolidation match.

Every year, 2,000 qualified draftees are selected to serve in Katusa. The candidates must be at least middle-school graduates with a Toeic score of more than 780 or a Toefl IBT score of more than 83. Applications are accepted in mid-September, and the selection takes place in November through a computer lottery. In the last four years, the average competition was 7.4 to 1. About 15,000 people apply every year, and 13,000 are not recruited.

My nephew is a college student, and he is enrolled in a “Katusa prep” class. While his Toeic score meets the requirements, he continues to take the test to improve it. While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explains that getting a higher score does not mean a better chance of selection, applicants still try their best. They also hope that they may get a better administrative or computer-related position with a higher English test score.

Being selected to serve as a Katusa is a great gift to the applicant’s family. Relatives and girlfriends welcome the fact that these soldiers get to return home more often. Divisions have different rules, but Katusa members stay outside their military accommodation at least one weekend out of three. The facilities and meals are also usually far better than in regular ROK units. Becoming a Katusa is nearly a dream come true as the soldiers don’t get harassed or disciplined harshly by their seniors. In the past, Korean soldiers had a culture of discipline amongst themselves, but this changed when they learned that the U.S. soldiers found it uncivilized.

When I was in college in the 1980s, when the anti-American movement prevailed, my Katusa friends were derided as “mercenaries for America” and didn’t wear their uniforms to school. Half of them were selected through a test, and the other half were randomly picked from the training center. Those who were chosen regardless of their will didn’t deserve criticism.

Nowadays, Katusa soldiers are envied for being lucky and proficient in English. They are described as the symbol of the Korea-U.S. alliance. Thanks to the Katusa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could save 400 billion won ($385.2 million) in Korea-U.S. defense expense negotiations.

According to National Assembly data, 23 percent of soldiers serving as Katusa in the last five years are educ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or Korea University while 40 percent are residents of Seoul. The system is therefore criticized for creating a polarization in the military service.

With the death of Private Yun, competition for a place in the Katusa will be even fiercer. It is reminiscent of the young men of Joseon lining up to serve for Ming generals stationed in Korea. But who can blame them for trying to avoid serving in a military unit where you could die from being bullied? Admiral Yi Sun-sin must be turning in his grave.

The author is a deputy editor

of the JoongAng Sunday.

JoongAng Ilbo, Aug. 7, Page 31

BY LEE SANG-EON





























일생에 딱 한 번만 도전 기회가 주어지는 선발이 있다. 대학도 삼수ㆍ사수를 하고 국회의원도 ‘3전 4기’하는 세상인데, 재수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패자 부활전도 없다. 카투사(KATUSAㆍ미8군 한국군 지원단) 얘기다.
매년 2000명 안팎을 뽑는다. 현역병입영대상자 중에서 중졸 이상 학력, 토익 780점(토플 IBT는 83점) 이상이 지원 조건이다. 올해는 다음달 중순에 접수를 받아 11월에 컴퓨터 추첨으로 선발한다. 최근 4년간의 평균 경쟁률은 7.4대 1. 대략 15000명이 도전해 13000명이 탈락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대학생 조카는 영어 학원의 ‘카투사 준비반’에 다닌다. 토익 커트라인은 이미 넘었지만 더 높은 점수를 받으려고 계속 시험을 치른다. 병무청은 영어 성적이 뛰어나다고 해서 선발될 확률이 커지는 게 아니라고 설명하지만 지원자들은 반신반의한다. 영어 점수가 좋으면 전산ㆍ행정 등의 '꿀 보직'을 받게 될 거라는 기대도 있다.
당첨은 집안의 경사다. 합격자와 부모, 여자 친구가 가장 기대하는 것은 주말 외박이다. 부대에 따라 편차가 있으나 최소 3주에 한 번은 주말을 부대 밖에서 보낸다. 생활관 시설이나 식사도 보통의 한국군 부대와는 천지차다. 고참들의 '줄빠따'나 구타가 거의 없는 ‘꿈의 군대’. 한국인 사병끼리 기합주고 때리는 일도 더러 있었는데, 미군들이 “미개하다”고 비웃는 것을 알고 정풍 운동이 일었다고 한다. 반미운동이 한창이던 1980년대 대학 시절에 카투사에 간 친구들은 ‘미제용병(美帝傭兵)’이라는 놀림이 싫어 군복을 입고 학교에 오는 일이 없었다. 당시에 절반은 시험봐서 뽑고 나머지 반은 무작위로 훈련소에서 차출했다. 자신의 뜻과 상관없이 배치된 병사에게는 억울한 일이었다. 지금은 공부 잘하고, 운까지 좋은 부러움의 대상이다. ‘한미동맹의 상징’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한ㆍ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 때 이 인력 지원 덕분에 한국 정부가 4000억원 가량을 절감할 수 있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카투사 선발자의 약 23%가 서울대ㆍ연세대ㆍ고려대 출신이고, 40%의 주소지가 서울이다. 이 때문에 '군대도 양극화'라는 비판도 있다.
윤 일병 사건으로 카투사 경쟁률은 더 오를 판이다. 조선 장정들이 파병 온 명나라 장수 밑으로 가려고 앞다퉈 줄을 서는 형국이다. 그래도 때려 죽이는 군대 피하겠다는데, 누가 말릴 수 있겠나. 이순신 장군이 통곡할 노릇이다. 이상언 중앙SUNDAY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