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odying a grand compromis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mbodying a grand compromise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one the country’s two largest umbrella union groups, announced that it would return to the tripartite dialogue channel with the government and employers. The tripartite committee had been inactive since union representatives walked out amid a public railroad workers’ strike in December protesting the government’s restructuring plan.

Next week, the tripartite committee will hold its first meeting in eight months with representatives from the government, employers and unions. From the government, Finance Minister Choi Kyung-hwan, who is also the deputy prime minister of the economy; Lee Ki-kweon,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and Yoon Sang-jick,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ill attend the dialogue in an attempt to demonstrate how much the government prizes the normalization of labor management in its efforts to revive the economy.

Labor issues are at the heart of a myriad of problems plaguing Korean society. If workers and management cannot collaborate for the common good, the economy will never really be able to recover. The two sides are at odds over reinterpreting the scope of base salary, shortening working hours and extending the retirement age following changes in administrative guidelines. The new economic team hopes to revitalize the domestic demand and the economy through increasing incomes. The plan, however, cannot be realized without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irregular workers who make up the bulk of the country’s work force. Reform in public enterprises also cannot progress unless it has the support and understanding of the labor sector. An array of labor issues cannot be resolved unless they are addressed as a packaged compromise among the representatives of economic parties. The tripartite committee - albeit without a labor presence - agreed last month to work toward a “grand social compromise.”

But the future dialogue should not be a contentious forum to argue and champion self-interests. Instead, each party must work as a responsible, representative voice in trying to find ways to restore the economy and build stronger ground for the country’s future. They must work to seek out the best possible arrangement. They are relied upon to pave a common and symbiotic path for Korea. We urge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which sponsors unions among the largest manufacturers, to join the committee and this common path.

JoongAng Ilbo, Aug. 14, Page 30







한국노총이 어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노사정위원회 복귀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지난해 12월 철도파업 사태로 노사정위 불참을 선언했던 한국노총이 복귀함으로써 8개월간 개점휴업 상태였던 노사정위가 드디어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게 됐다. 노사정위는 19일 본회의를 개최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이번 노사정위 본회의에는 정부 측에서 이기권 고용부 장관과 윤상직 산업부 장관 외에 경제수장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직접 참여하기로 했다. 정부가 그만큼 노사정위의 논의를 중시하고 거기서 도출되는 결정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얘기다.
사실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각종 현안의 근저에는 노사 문제가 깔려 있다. 노사가 협력하는 생산적 노사관계 없이는 경제 회생도 불가능하다. 당장 통상임금 확대 문제를 두고 노사대립이 격화되고 있고, 근로시간 단축과 정년연장 등 노사갈등을 증폭시킬 노동현안이 산적해 있다. 여기다 새 경제팀이 소득중심 성장 구상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비정규직 처우개선도 노사 간의 합의가 없으면 실현되기 어렵다. 노동계가 우려하는 공공기관 정상화도 노정 간 타협이 없이는 파행으로 치달을 공산이 크다. 결국 이 모든 노동현안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노사정이 일괄 타결하는 방식 이외에는 달리 해결할 길이 없는 실정이다. 노사정이 지난달 말 노사정위를 통한 ‘사회적 대타협’의 필요성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제 노사정위는 단순히 각자의 이익과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한 대립의 자리여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노사정이 한국경제의 회생과 한국사회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 공동운명체임을 명심하고, 최선의 타협점을 찾는 데 머리를 맞대는 자리여야 한다. 이번 노사정위에서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느냐 여부가 앞으로 한국사회가 공도동망(共倒同亡)의 길로 들어설지 아니면 공존공영(共存共榮)의 길로 나아갈지를 가르는 분기점이 될 것이다. 다만 이런 중요한 논의의 자리에 대기업 노조가 주력인 민주노총이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