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ling our shameful memor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Mulling our shameful memory

테스트

The Catholic America Magazine on June 28 published an article on comfort women victims by Dennis Halpin, a visiting scholar at Johns Hopkins University. Halpin wrote that “Comfort women is the euphemistic term for the tens of thousands of girls and young women who were cajoled, coerced, kidnapped, sold or captured into sexual slavery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He refuted the Japanese rightists’ argument that the comfort women were voluntarily recruited for money. He also mentioned his personal experience.

“Forty years ago, as a Peace Corps volunteer in Seoul, I was told by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o stay away from a shabby little grocery store that was run by ‘a woman who had been a Japanese whore.’ Abandoned and usually without their family, the returned comfort women struggled under harsh, unwelcoming conditions,” Halpin wrote. “Pope Francis can help to raise up the comfort women survivors with his embrace. His compassionate presence makes him well suited to the task of meeting the comfort women and giving them God’s message of love, hope and acceptance that was denied to too many.”

A month later on July 30, two victims of wartime sex slavery, Lee Ok-sun and Kang Il-chul, visited the White House and discussed their tragic lives for two hours. One attendee said that no one could dare interrupt when the victims were speaking. Lee showed wounds on her leg and said that a Japanese soldier hacked her with a sword when she ran away and got caught. Kang said her family was gone when she returned home. Director of the White House Office of Public Engagement Paulette Aniskoff wiped away tears. In the evening, I met the victims at the Korean American Grassroots Conference, and Lee told me “I am heartbroken.”

Of course, it would be naive to think that the meeting with White House staff would bring a decisive solution. Nevertheless, the comfort women issue has become a human rights concer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iskoff said, “It is deplorable and clearly a grave human rights violation of enormous proportions,” and nothing comes before human rights. But it has taken too long to come this far. Until a decade ago, Korean society put a taboo on the comfort women issue. We had failed to distinguish the assaulters from the victims and were only concerned about shame.

Pope Francis met with the comfort women victims during his visit to Seoul. Regardless of religion, we all hope that the pope would embrace their pains and comfort their souls. His blessing would also heal the shame among Koreans who once considered the comfort women embarrassing.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Aug. 16, Page 26

BY CHAE BYUNG-GUN



























미국의 가톨릭계 잡지인 ‘아메리카’에 지난 6월 28일(현지시간)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기고문이 실렸다. 데니스 핼핀 존스홉킨스대 객원연구원은 “수만명의 소녀와 젊은 여성들이 일본군에 의해 회유당하거나, 협박당하거나, 납치되거나, 팔리거나, 사로 잡혀 성노예가 됐다”고 명기했다. 위안부가 마치 돈을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충원됐다는 식의 반역사적 주장을 하는 일본 우익을 정확하게 반박했다. 핼핀 연구원은 그러면서 자신의 경험담을 함께 담았다.
“40여년전 나는 미국 평화봉사단의 일원으로 서울에 있었다. (그때) 지역 사회의 인사들로부터 다 쓰러져 가는 한 작은 가게에는 들르지 말라는 얘기를 들었다. (이 가게는) ‘일본의 창녀였던 여자가 운영한다’면서다. 위안부들은 돌아왔어도 대부분 가족도 없이 버림 받았고, 반기는 사람이 없는 가혹한 현실을 견뎌야 했다.” 핼핀 연구원은 “교황이 위안부 생존자들을 껴안고 도울 수 있다”며 “위안부를 만나 하느님의 사랑과 희망, 관용의 메시지를 전하는데 교황만한 분은 없다”고 제안했다.
한달 후인 지난달 30일 오후 한국에서 온 이옥선ㆍ강일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백악관을 찾았다. 오후 4시께 시작된 백악관 실무진과의 면담은 두 할머니들이 기구한 인생 역정을 토로하며 2시간 넘게 계속됐다. 한 배석자는 “할머니들의 얘기에 누가 끼어들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전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도망치다 잡혔더니 다시는 도망가지 못하게 하겠다며 일본군이 칼로 내리쳤다”며 다리의 칼자국을 실무진들에게 보여줬다. 강일출 할머니는 “위안부로 끌려갔다 돌아오니 가족들은 어디로 갔는지 다 사라졌다”고 했다. 백악관의 폴렛 애니스코프 공공업무국장은 티슈를 꺼내 눈자위를 훔쳤다고 배석자는 전했다. 이날 저녁 워싱턴의 한 호텔에서 열린 ‘미주 한인 풀뿌리 활동 컨퍼런스’에서 만난 이옥선 할머니는 심경을 묻는 기자에게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물론 백악관 인사가 위안부 할머니들을 만났으니 뭔가 결정적인 해법이 곧 나오리라고 믿는다면 기대가 현실을 앞서가는 순진함이 된다. 그럼에도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는 이제 국제 사회에서도 ‘인권의 문제’가 됐다. 애니스코프 국장은 “위안부는 인권의 문제로 인권보다 앞서는 것은 없다”고 할머니들에게 밝혔다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되기까지 너무 오래 걸렸다. 당사자였던 한국 사회는 불과 십수년 전까지 위안부 할머니들을 터부시했다. 우리는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지 못했고 그저 수치 만을 의식했다.
방한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만난다. 교황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통을 껴안고 위로해 주기를 바라는 것은 종교를 떠나 모든 이들의 바람일 게다. 이를 통해 한때 위안부 할머니들을 부끄럽게 여겼던 우리의 부끄러운 모습도 함께 치유됐으면 한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