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ls despite the heat

In the morning, cabinet members of the Shinzo Abe government and lawmakers visited the Yasukuni Shrine. I was nervously sweating about covering the symbolic site of aggravated Korea-Japan ties under the sizzling sun. But the heat didn’t last long. Suddenly, I felt a chill run down my spine. Old retired soldiers were dressed up in military uniforms, as if they were reminiscing of the war. Young men who don’t know the devastation of the war were holding the rising-sun flag. As they marched at the word of command, they seemed fiercely determined and ready to go to war when the nation calls.
Japan calls Aug. 15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not the day of surrender. In 1982, the Cabinet defined it as a the day to remember victims and pray for peace. However, it is hard to associate peace in Japan with this day. On the first Aug. 15 after the Abe government approved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Japan seems to be celebrating the fact that they can now start a war, rather than commemorating the end to it.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war dead, Prime Minister Abe said, “Peace and prosperity lies above the valuable sacrifice of the people killed in the war.” But he didn’t mention harming neighbors or repenting the past. He didn’t pledge “not to start a war,” either.
Abe has inherited his grandfather Nobusuke Kishi’s ratification of the U.S.-Japan security agreement and preparation for postwar Japan’s involvement in a war 60 years ago. He has been taking steps to enable Japan to wage a war.
Japanese militarism grows by consuming internal discontent. In the later days of the Edo Bakufu, the shogunate proposed an invasion of Joseon in order to calm the dissatisfaction of the warriors. As the Great Depression affected Japan’s economy with layoffs and wage cuts, leading to labor disputes in 1929, Japan’s Kwantung Army invaded Manchuria. Abe tried to recover from the prolonged economic slump after bursts of economic bubbles in the ’90s. But the Abenomics policies are not putting up a good show, and panic over possible earthquakes and radiation exposure is making people more discontent and insecure.
On Twitter and other social networks, debate over conscription is spreading. Former Cabinet Minister Yukio Edano inspired the discussion by saying, “Will Japan be able to recruit Self Defense Forces members after dozens of them die?” Words like “war,” “troop dispatch” and “conscription” are mentioned. The fear of having more war dead is also spreading.
Last week, Tokyo had a series of tropical nights, with extreme humidity and temperatures higher than 30 degrees Celsius. But if you think about Japan being able to start a war, sizzling weather suddenly feels chilly.
JoongAng Ilbo, Aug. 23, Page 30
* 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BY LEE JEONG-HEON
8월의 일본은 뜨겁다. 습기가 많은 섬나라 특유의 끈적거림과 40도 가까이 치솟는 기온은 견디기 힘들다. 일본인들은 이 같은 무더위를 ‘찐다’는 뜻의 ‘무시(蒸し)’와 ‘덥다’는 의미의 ‘아쓰이(暑い)’를 묶어 ‘무시 아쓰이’로 표현한다. 우리로 치면 ‘찜통더위’다. 도쿄특파원으로 부임한 지 한 달도 안 돼 처음 맞은 8·15 광복절도 그랬다. 아침부터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각료와 국회의원들이 몰려든 야스쿠니(靖國)신사는 뜨거웠다. 한·일 관계 악화의 상징적인 장소를 첫 취재 한다는 긴장감에 강렬한 햇볕을 받은 이마에선 연신 땀이 흘렀다. 그러나 무더위는 오래가지 않았다. 등이 오싹할 정도의 섬뜩함이 밀려왔다. 퇴역군인으로 보이는 노인들은 전쟁의 향수를 떠올리듯 군복을 차려입었다. 전쟁의 참상을 모를 20대 청년은 욱일승천기를 치켜들었다. 구령에 맞춰 행진하는 이들의 얼굴에선 당장이라도 국가가 부르면 전쟁터로 달려가겠다는 비장함과 살기가 느껴졌다. 일본은 8·15를 패전(敗戰)일이라 하지 않고 종전(終戰)기념일이라고 부른다. 1982년 각의 결정을 통해 ‘전몰자를 추도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날’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일본에선 ‘평화’를 떠올릴 수 없었다. 아베 내각이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을 결정한 후 처음 맞은 올해 8·15는 ‘종전’ 대신 언제든지 ‘개전(開戰)’할 수 있게 된 걸 기념하는 분위기였다. 아베 총리는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전몰자들의 귀한 희생 위에 평화와 번영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2년 연속 ‘가해’와 ‘반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전쟁하지 않겠다는 ‘부전(不戰)의 맹세’도 없었다. 그가 ‘부전의 맹세’를 생략한 건 의도적이다. 60년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전 총리가 미·일 신안보조약을 비준해 전후 일본이 전쟁에 개입할 수 있도록 물꼬를 튼 걸 이어받아 ‘전쟁할 수 있는 일본’ 만들기를 착착 준비해 왔기 때문이다. 비밀보호법 제정, 무기 수출 3원칙 변경,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이 전쟁 준비와 다름이 아니다. 일본 군국주의는 내부 불만을 먹고 자란다. 에도 바쿠후 말기, 무사들의 불만을 달래고자 제기된 것이 ‘조선을 정복해야 한다’는 정한론(征韓論)이다. 29년 미국 대공황의 여파로 해고·임금삭감이 늘고 노동 쟁의가 빈발하자 일본 간토군은 만주 침략을 감행했다. 90년대 거품경제가 꺼지면서 시작된 장기 불황을 타개하려는 아베노믹스가 제 성과를 내지 못하는 현재 지진·방사능 공포까지 겹쳐 열도의 불만과 불안이 크다. 트위터 등에선 징병제 논란이 뜨겁다. “자위대원 수십 명이 사망해도 지금처럼 자위대원을 모을 수 있겠는가”란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전 관방장관의 발언이 도화선이 됐다. 전쟁과 파병, 징병이란 단어가 떠돈다. 새로운 전몰자가 나올 수 있다는 공포도 커지고 있다. 이번 주 도쿄는 한밤에도 30도 안팎의 열대야가 이어졌다. 그런데 ‘전쟁할 수 있게 된’ 일본을 떠올리면 무더위는 저만큼 물러간다. 신임 특파원의 신경이 너무 예민한 걸까. 이정헌 도쿄 특파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