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ing for the next BIFF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Bracing for the next BIFF




Right before “Revivre,” Im Kwon-taek’s 102nd film, screened at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the director and cast appeared on stage to greet the audience. The MC apologized about the unscheduled event, but the audience cheered in return. After all, it is this kind of surprise event, and this kind of enthusiasm from audiences, that makes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o special.

This is also exactly what made the first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1996 so impressive. Back then, BIFF was not a government-sponsored festival that top stars were eager to appear at. Yet nearly 200,000 fans came to Busan to watch the screenings that first year. Much anticipated movies, as well as unfamiliar flicks from far away countries, attracted large numbers of attendees.

Audiences were also surprised and impressed by their own enthusiasm. Their support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the festival’s metamorphosis into a notable success story for local cultural festivals all over. It is now considered the biggest film festival in Asia, as well as an important cultural asset for the country.

That is not to say that the festival has always been spectacular. In the early years, society was far more rigid and conservative, and the film event saw a number of controversies. At the first festival, an edited version of Canadian filmmaker David Cronenberg’s shocking movie “Crash” was screened. At the sixth, a retrospective of Shin Sang-ok included movies that were made while he was in North Korea, and the general audience was not allowed to the screenings.

These controversies made people ask what the film festival was about, and ultimately,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freedom of expression in society. When the film festival was first held, restaurants and bars were banned from staying open past midnight, so film industry insiders had to spread out blankets around street vendors’ carts to enjoy drinks and discuss films. Ironically, the late-night meetings spread the passion of Korean filmmakers and industry insiders abroad.

I am not saying I miss the old days. But as the film festival is held year after year, passion and enthusiasm are no longer acceptable as an excuse for operational blunders.

This year, the festival created some waves due to the screening of a particularly controversial documentary film. Personally, I believe it was fortunate that the film was shown as planned. Any movie, and the decision of the film festival to invite it, can be a target of criticism. But canceling or suspending the screening for any other reason would create a bad precedent that discourages not just the filmmakers and the film festival but also the audience that has shown fervent support.

Next year will be the 20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event should be even more meaningful and spectacular. There should be appropriate support and preparation for this milestone. Expectations for the festival to be operated smoothly will be even greater.

The author is a deputy culture and sport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9, Page 3

by LEE HOO-NAM







이번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임권택 감독의 102번째 영화'화장'이 첫선을 보이기 직전, 감독과 배우들의 무대인사가 있겠다는 안내가 흘러나왔다. 예정에 없던 일이라 진행자는 관객들의 양해를 구했는데, 객석에선 박수와 환호가 흘러 나왔다. 이런 뜻밖의 만남이, 이를 만끽하는 관객 분위기가 부산국제영화제를 찾는 묘미라는 걸 다시금 느꼈다.
1996년의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가 감동적이었던 이유도 그랬다. 지금처럼 이름난 스타들이 총출동하는 행사도, 혹은 정부가 주도해 거국적으로 추진한 행사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첫해부터 20만 명 가까운 관객이 모이는 큰 성공을 거뒀다. 관객들은 소문난 화제작만 아니라 여느 극장가에서 좀체로 접할 수 없었던 낯선 나라의 낯선 영화들까지 상영관을 골고루 메웠다. 그 모습에 관객들 스스로도 놀라고 감탄했다. 관객의 호응은 부산국제영화제가 지역 문화축제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자칭타칭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로, 그리고 한국의 중요한 문화적 자산으로 지금처럼 성장하는 원동력이 됐다.
그렇다고 영화제가 늘 멋지게 치러졌다는 얘기는 아니다. 출범 초기는 지금보다 억압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사회 분위기가 뚜렷했다. 부산국제영화제도 논란을 여러 차례 겪었다. 1회 때 캐나다 감독 크로넨버그의 영화'크래시'가 가위질이 된 상태로 상영된 일, 6회 때 회고전에 초청된 신상옥 감독의 북한 시절 영화가 결국 일반 관객을 제외한 관계자들에게만 상영된 일 등이 그 예다. 이런 논란은 영화제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켰고, 나아가 사회 전반에서 이른바 표현의 자유가 확대되는 흐름과 맞물렸다. 믿거나 말거나 영화제 출범 초기는 여느 음식점이나 술집의 심야영업이 금지된 시절이기도 했다. 그래서 영화제 관계자들이 포장마차 주변 길바닥까지 자리를 펴고 해외 게스트들과 술잔을 기울이며 심야의 만남을 이어간 일화는 역설적으로 그 열정을 해외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 시절이 그립다는 얘기가 결코 아니다. 영화제가 거듭될수록 운영상의 미숙함은 초창기처럼 열정만으로 변명하고 만회하기 힘들어졌다는 얘기다.
올해의 영화제도 성장통을 겪었다. 특정 다큐멘터리의 상영여부를 두고 벌어진 논란이 단적인 예다. 결론부터 말하면 그 상영이 무사히 이뤄진 것은 큰 다행이라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어떤 영화라도, 그리고 이를 초청한 영화제의 안목도 언제든 비판의 도마에 오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이유로 사전에 상영이 취소되거나 중단되는 것은 영화인과 영화제만 아니라 영화제와 함께 해온 관객들까지 위축시키는 나쁜 선례라고 본다.
내년이면 부산국제영화제가 제20회를 맞는다. 평소보다 더 알차고 멋지게 진행되어도 모자랄 판이다. 그게 걸맞는 지원과 준비가 이뤄지기를 바란다. 영화제의 원활한 운영에 대한 기대도 그만큼 커질 것이다.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이후남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