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from the lost year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Learning from the lost years


In early 2006, meetings to get back wartime operational control from the United States were held almost every day in the Blue House’s underground bunker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e justification for these meetings was to ensure a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As the transfer could affect national security, the administration expanded the defense budget and supplemented it with military modernization. This was how the plan for 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was revealed to the public. Defense Minister Kim Jang-soo,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Kim Kwan-jin and Han Min-koo, the policy planning director for the Defense Ministry, were the key members of the national defense policy discussion.

On Oct. 23, 2014,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Han Min-gu was at the Pentagon signing the document to postpone the transfer to the mid-2020s. He later met with reporters and once again emphasized that the future of the Korea-U.S. alliance and the joint defense had been re-established. He argued that postponing the transfer was inevitable as Pyongyang continues to pose a threat and young leader Kim Jong-un’s judgment is unpredictable.

What happened in the last eight years? Kim served as defense minister and is now the Blue House national security director. Kim Jang-soo, formerly the defense minister, served as the first national security director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ose who worked hard to get back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re now toiling to postpone the transfer with the opposite logic. It is truly ironic.

A member of a think tank dealing with U.S. defense policy said that the negotiation fo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ok time because Washington could not trust Korean politics. The U.S. point of view is understandable. Those who advocated an early transfer are now working to postpone it as the administration has changed. How can Washington be persuaded to reverse a negotiation outcome between states by explaining the nature of a five-year single-term presidency and confrontation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administrations?

We need to learn what can happen when politics contaminate foreign policy and security. A mistake must not be repeated. And the military must change. Whil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fer has been delayed from December 2015 to the mid-2020s, what efforts have the military made? Rather than reinforcing strength through modernizing armaments, military authorities have been busy dealing with controversies within, such as the Private Yun case. The Kill Chain and 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require 17 trillion won ($16.23 billion). It would cost over 70 trillion won for 10 years, including purchases of Aegis cruisers and fighter jets. We don’t have time to waste. The governmen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military need to work together and draft thorough plans and strategies. We have already lost a valuable eight years, and we can’t waste any more time over the internal fight between self-reliance and security.

The author is a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27, Page 29

By JEONG YONG-SOO


2006년 초. 노무현 청와대의 지하 벙커에선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을 미국으로부터 환수하기 위한 대책회의가 매일 열리다시피 했다. 명분은 자주국방이었다. 안보가 허술해질 수 있다는 지적은 ‘국방계획 2020’으로 국방예산을 늘리고 군 현대화로 보완할 수 있다는 방어논리가 만들어졌다. 전작권 환수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과정은 그랬다. 당시 국방정책을 다룬 주역이 김장수 국방부 장관, 김관진 합참의장, 한민구 국방부 정책기획관이었다.
2014년 10월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의 펜타곤. 전작권 재연기 문서에 서명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브리핑룸에 섰다. “2020년대 중반까지 전작권 환수를 연기하기로 했다.”
숙소인 호텔로 자리를 옮긴 한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한·미 동맹의 미래와 연합방위태세의 미래, 이런 것들이 다시 구축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나이 어린 김정은이 어떤 판단을 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전작권 환수 재연기를 불가피하게 했다는 주장이었다.
이 8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합참의장 김관진은 그 사이 국방장관을 거쳐 지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됐다. 김장수 당시 국방부 장관은 박근혜 정부 초대 국가안보실장을 지냈다. 전작권 환수론을 위해 뛰었던 주역들이 정반대 논리로 전작권 재연기를 위해 뛴 셈이다. 아이러니다.
미 국방정책을 다루는 싱크탱크의 한 인사는 “한·미 간 전작권 협상이 시간을 끈 이유 중 하나는 한국 정치를 믿지 못해서였다”고 귀띔했다. 미국 입장에선 그럴 수밖에 없을 게다. 전작권 환수론을 펴던 인사들이 정권이 바뀌자 연기론을 들고 나왔기 때문이다. 5년 단임제 대통령제의 특징, 그리고 진보성향 정부와 보수성향 정부의 대립 등을 설명한들 국가 간 협상 결과를 뒤집자는 얘기를 납득할 수 있을까.
정치가 외교와 안보를 오염시키면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우리는 전작권 협상에서 배워야 한다. 실수는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하는 거라는 얘기가 있다. 군 스스로도 변해야 한다. 2015년 12월에서 2020년대 중반으로 연기 또 연기하는 동안 전작권을 돌려받기 위해 군은 어떤 노력을 했는가. 무기 현대화를 통한 전력 증강보다는 윤 일병 사건 등으로 대표되는 군 내 사건·사고와 더 씨름한 건 아닌지. 킬체인과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구축엔 17조원이 들어간다. 이지스함이나 전투기 구입 등을 합치면 10년간 70조원이 넘는다. 이젠 더 이상 허비할 시간이 없다. 정부와 국회, 군이 하나가 돼 치밀한 계획과 전략을 짜야 한다. 또다시 ‘자주’냐 ‘안보’냐를 놓고 집안 싸움을 하기엔 잃어버린 8년이 너무 아쉽지 않은가.
정용수 정치국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