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schools help communitie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Special schools help communities

When I paid a visit to Miral School in Ilwon-dong on the afternoon of Jan. 4, some 20 locals were playing table tennis in the gym on the second floor. Jeong Jae-wan, 51, the leader of the table tennis group, said that the school offers a great place for locals to exercise. They also enjoy drinks from the school’s cafeteria. Another local resident said she likes to visit the school’s art gallery and concert hall. Miral School has improved the cultural level of the locals, and real estate prices have gone up as a result, she said.

The school is a special education institute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hile the school is a favorite site among locals now, they fiercely opposed it when it was established in 1997. The founder of the school, Hong Jeong-gil, 74, recalls, “Some locals grabbed me and criticized me for building an unpleasant facility in the area. The district chief demanded that the school should compensate the locals if it affected the local real estate market.”

Seventeen years have passed, but the situation is not very different. Special schools are still considered facilities that negatively affect real estate prices. Last year, a plan to build a special school was announced at a site near an apartment complex in Icheon, Gyeonggi. Signs opposing the school were hung up on the streets.

Let’s say your own child needs special services. Will you still think that having a special school near your home is not desirable? Can you say that having a special school in the area negatively affects education?

The local residents I met around Miral School say there have been no negative impacts from having special students in the neighborhood. They actually say their presence helps educate children about disabilities. Lee Jeong-wu, 36, was reading some books to his daughter at the school library. “We attend a church service at the school auditorium alo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y daughter has learned that they are not different,” he said.

Students who are educated alongside peers with disabilities feel the same. Dongmyeong High School in Seoul has students who study in the same classroom as special needs students and help them in their school life. Choi Jin-yeoung, 18, is one of these students. She says, “I realized I was prejudiced, and I became more responsible. Now it is a learning experience for me as well.”

In the capital, additional special schools are not constructed because of opposition from local residents. The tragedy over special schools should end here. We must not pass down a culture of neglecting others. Instead of signs opposing special schools, I’d like to see signs welcom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an. 6, Page 29

by SHIN JIN




지난 4일 오후 3시 서울 강남구 일원동 밀알학교 2층 체육관. 주변 주민들로 구성된 동호회 회원 20여 명이 탁구를 치고 있다. 탁구동호회 팀장인 정재완(51)씨는 “집 가까운 곳에 운동할 장소가 있어 좋고 학교 카페에서 차도 즐길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 학교 미술관과 음악회장에 자주 들른다는 다른 주민은 “밀알학교가 주민의 문화수준을 높여줬다”며 “덕분에 집값도 올랐다”고 흐뭇해했다. 밀알학교는 정서ㆍ행동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다니는 특수학교다. 지금은 주민들의 사랑방이 됐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건 아니다. 1997년 특수학교가 들어선다고 하자 주민들은 거세게 반대했다. "집 앞에 왜 혐오시설을 세우냐는 주민들에게 멱살을 잡혔습니다. 구청장은 '집값이 떨어지면 학교가 보상하겠다'는 각서를 쓰라더군요." 학교를 설립한 홍정길(74) 목사는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이런 17년 전 상황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특수학교는 혐오시설이자 집값을 떨어뜨리는 주범처럼 취급되고 있다. 지난해 중학교 이전 부지에 특수학교 건립 계획이 세워진 경기도 이천의 한 아파트. 단지 앞 도로엔 ‘대문 앞에 장애인특수학교가 웬말이냐’는 플래카드가 걸렸다. 서울 강서구ㆍ중랑구에서도 특수학교 설립 계획이 나오자마자 주민들의 거센 저항을 받았다.
만일 내 아이, 내 친척이 장애를 지녔다고 하자. 그래도 내 집,내 대문 앞의 특수학교가 기피시설일까. 특수학교가 옆에 있으면 자녀 교육에 안 좋다고 반대할 수 있을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말하는 교육은 누굴 위한 교육일까. 이런 사람들에게 밀알학교의 기적을 얘기해주고 싶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밀알학교 주변 주민들은 “장애 학생들이 피해주는 건 하나도 없다”고 입을 모았다. 오히려 자녀의 인성교육에 도움이 된다는 주민도 있었다. 이 학교 북까페에서 딸에게 동화책을 읽어주던 이정우(36)씨는 “학교 대강당에서 장애인들과 함께 예배를 보는데 아이에게 ‘그들도 다르지 않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려주는 기회가 된다”고 했다.
장애가 있는 친구들과 생활해본 학생들의 반응도 똑같았다. 서울 동명여고에는 장애 학생과 한 교실에서 수업하며 생활을 돕는 '좋은친구단'이 있다. 이 곳에서 활동하는 최진영(18)양은 "편견을 가졌던 걸 반성하게 되고 책임감도 느껴져 오히려 배우는 게 많다"고 귀띔했다.
주민들의 반대에 밀려 특수학교를 더는 짓지 못하고 있는 게 인구 1000만 수도 서울의 현실이다. 특수학교의 비극은 이제 여기서 끝내야 한다. 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의 불행은 아랑곳 않는 사회를 대물림해서는 곤란하다. ‘특수학교가 웬 말이냐’ 대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라는 플래카드를 보고 싶다.
신진 사회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