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ing back to the beginning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Going back to the beginning

Edward Snowden, a systems administrator for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shocked the world in 2013 by exposing U.S. surveillance on worldwide communications networks by American intelligence agencies like the National Security Administration (NSA). It was controversial because th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was extensive and indiscriminate. And because the United States did not deny the allegation, his disclosure was essentially confirmed. U.S. intelligence agencies were listening to the cell phone conversations of leaders of friendly countries, including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As the controversy grew, U.S. President Barack Obama announced a plan to reduce the scope of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NSA. Related bills were proposed in Congress, and companies reinforced their security systems. Google and Apple encrypted their mobile operating systems, as FBI director James Comey openly complained that data encryption would compromise the investigation.

Debates on the authority and limits of state power and privacy protection were especially meaningful then. Snowden’s exposure may have put the U.S. government in an awkward situation, but by starting the debate, it gave society a chance to become healthier. But that’s all ended now.

First of all, the bill to limit the NSA’s information collection was halted in Congress. It was not processed at the end of last year, as the Senate did not form quorum, and it is not likely to be discussed again. The conservative Republicans took both the Senate and the House in the midterm election.

Yet, after the attack on Charlie Hebdo in Paris, strengthening information surveillance is gaining support again. After a man was caught for plotting to attack the U.S. Capitol, House Speaker John Boehner said, “The first thing that strikes me is that we would’ve never known about this had it not been for the FISA program and our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on people who pose an imminent threat.”

Meanwhile, the Cyber Intelligence Sharing and Protection Act, which some civil groups call “Big Brother,” is gaining momentum. When a cyberattack by a foreign hacker is suspected, the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share personal information freely, according to this proposed act.

But while it was introduced in 2013, it didn’t pass Congress in the aftermath of Snowden’s disclosure. The mood changed, however, after the hacking on Sony Pictures. President Obama - who said he would veto it two years ago - changed his position. Internet companies that were pitted against the government over the Snowden affair, are cooperating with the government now after the incident.

The nearly two-year debate was to determine the limits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how to prevent terrorist attacks while protecting privacy. If the United States finds a tipping point between two values, it could have been the golden standard f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it is regrettable that everything is going back to the beginning amid new threats of terrorism. It is still valid that the government can become a Big Brother and we cannot completely trust the morality of intelligence agencies.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an. 20, Page 30

by LEE SANG-BOK





2013년 여름 전직 중앙정보국(CIA)요원 에드워드 스노든이 던진 충격은 컸다. 국가안보국(NSA) 등 미국의 정보기관이 전 세계 통신망을 이잡듯 뒤져온 사실을 폭로했기 때문이다. 개인정보 수집이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무차별적이라는 게 논란의 핵심이었다. 미국이 부인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확인된 사실이지만,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등 우방국 정상들의 휴대전화까지 엳듣고 있었다.
문제가 커지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NSA 정보수집 범위를 축소하는 내용의 개혁안을 발표했다. 관련 법안도 의회에 제출됐다. 기업들도 서둘러 보안체계를 강화했다. 구글·애플 같은 기업은 휴대전화용 운영체계(OS)에 암호화 기능을 도입했다. 미 연방수사국(FBI) 제임스 코미 국장이 "암호 때문에 수사를 못하겠다"고 공개 항의할 정도였다.
특히 의미있었던 건 국가의 권한과 한계, 개인 사생활 보호 등을 놓고 벌어졌던 토론들이다. 스노든의 폭로는 미국 정부 입장에선 곤혹스런 일이었겠지만 논쟁을 불붙게 함으로써 어떤 면에선 사회가 더 건강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해 그간의 논의는 대부분 없었던 일이 돼가고 있다.
우선 NSA의 무차별 정보수집을 제한하는 법안은 의회에서 발목이 잡혔다. 지난해 말 상원에서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폐기됐는데 부활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보수 성향의 공화당이 중간선거에서 상하원을 모두 장악해서다. 오히려 파리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테러 이후 정보감시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최근 의회 테러를 기도한 20대가 체포돼자 공화당의 존 베이너 하원의장은 정보기관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고 치켜세웠다.
반면 시민단체들이 '빅브라더법'이라고 불러온 사이버정보 공유법안은 탄력을 받고 있다. 외국 해커의 사이버 공격이 의심될 경우 정부와 민간기업이 자유롭게 개인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한 내용이다. 이 법은 2013년 발의됐지만 스노든 후폭풍으로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런데 최근 소니 영화사 해킹 이후 분위기가 반전됐다. 2년 전에는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더라도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던 오바마 대통령이 지지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여기에 스노든 사태로 정부와 각을 세워왔던 인터넷 기업들도 소니 해킹 이후엔 정부와의 협조를 강화하고 있다.



2년 가까이 미국에서 일었던 논란은 정보수집의 한계를 정하는 작업이었다. 테러 방지와 사생활 보호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지가 고민이었다. 두 가치 간에 절묘한 접점이 나온다면 세계 각국의 표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새로운 테러의 위협 속에 모든 게 원점으로 돌아가는 현실은 안타깝기 짝이 없다. 정부가 빅브라더가 될 수 있고 정보기관의 도덕성을 무작정 믿을 수 없다는 건 여전히 유효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상복 워싱턴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