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the ultimate universal ideolog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Money the ultimate universal ideology

About a month ago,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of Kyungnam University hosted an interesting international conference called “Doing Business in North Korea.” Who can do business in the North and how? Since the sanctions of May 24, 2010, Korea has not engaged in any business with the North, with the exce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So the conference was packed. Businessmen from the Netherlands,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Singapore gave presentations, and the global business veterans exuded confidence and composure.

They entered North Korea largely because of the cheap, quality work force. Global companies have high regard for North Korean labor. Paul Tjia of Dutch investment consulting firm GPI Consultancy said many companies with production bases in China use North Korea as an alternative outsourcing destination because the cost of labor in China has been increasing. Now, North Korea is in a position similar to that of China when it first opened its market, eager to attract foreign investors and expand the country’s middle class, he added. The presentation drew nods from government officials and resident foreigners in attendance. After hearing sporadic news about North Korea’s changes, they were convinced by voices from the field.

And as the conference was getting into full swing, the report that everyone was waiting for was presented. It was the evaluation of the parallel pursui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nuclear weapons that came out of the Workers’ Party Central Committee meeting in March 2013. Singapore-based Choson Exchange’s Andray Abrahamian said that while Pyongyang publicly emphasizes the parallel pursuit, its focus is on the economy. Li Changjiang, an ethnic Chinese living in Korea who attended the conference, stressed that money has been the foundation of all values in the minds of North Koreans.

In the eyes of foreigners, North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since the May 24 sanctions. The Unification Ministry estimates 2.4 million cellular phones are in use in North Korea, and supply and demand are decided not by central economic planners, but by the market. Money circulates, and a new nouveau riche class is being formed. Money is solving problems that ideology has failed to effectively address.

International investor Jim Rogers argued that Seoul should not have an overly sensitive response to every move by North Korea, but rather it should remain composed and seek out possibilities for economic cooperation. While North Korea makes radical remarks, Pyongyang fail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conomic cooperation, he contended. Why are we not seeing something that is so obvious to foreigners?

Four years after the attack on the Blue House, the July 4 Inter-Korean Joint Declaration was signed in 1972. Two years after the terror attack in Myanmar, the first family reunion was held in 1985. South Korea’s head of state was the target of terror in 1968 and 1983. Koreans were enraged and frustrated. There was even talk of retaliatory attacks on the North. But a few years later, South Korea made a more reasonable choice. Seoul needs to be more confident and composed and seek solutions to the May 24 sanctions.

The author is a researcher at the Unification Research Institut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Feb. 23, Page 30

by KO SOO-SUK


한 달 전에 서울 삼청동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에서 이색적인 국제학술회의가 열렸다. 주제는 ‘북한과 사업하기: 기회와 도전’. 이색적인 이유는 도대체 누가·어떻게 북한에서 사업을 하는가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다. 한국이 2010년 5.24 대북제재조치로 개성공단을 제외하고 북한과 사업할 수 없는 상황인지라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강한 궁금증이 많은 사람들을 오게 한 것이다. 발표에 나선 외국 기업인들은 네덜란드·독일·미국·싱가포르 사람들이었다. 세계를 무대로 큰 사업을 하는 나라들의 기업답게 북한에 대한 자신감과 여유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기업인들은 북한에 들어간 이유로 값싸고 질 좋은 노동력을 꼽았다. 세계인들이 북한 노동력을 인정한다는 뜻이다. 네덜란드 대북 투자 자문업체인 GPI 컨설턴시의 폴 치아 이사는 “중국에 생산기지를 둔 많은 국가들이 중국 근로자 임금이 상승하면서 북한을 또 다른 아웃소싱 대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북한은 중국이 개혁·개방할 때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 혈안이 됐고 중산층을 키우려고 했던 것과 같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발표 현장을 지키던 정부 관계자 및 주한 외국인들은 의아해하면서도 고개를 끄덕였다. 북한의 최근 변화를 간헐적으로 듣고 있었지만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열기가 무르익어 갈 즈음 궁금했던 발표가 나왔다. 북한이 2013년3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결정한 ‘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의 병진노선’에 대한 평가였다. 싱가포르 조선교류사의 안드레이 아브라하미안 이사는 “북한이 핵과 경제를 병행하는 병진노선을 강조하는데, 핵보다는 경제쪽에 더 초점이 맞춰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만난 화교 리창장(李長江)씨는 “북한 사람들의 머릿속에는 돈이 모든 가치의 기준이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5.24 대북제재조치 이후 외국인들의 눈에는 북한이 몰라보게 변해가고 있었던 것이다. 휴대전화가 240만대(통일부 추정치) 정도 보급돼 북한에서 수요와 공급은, 계획경제가 아닌 시장이 해결해 주고 있다. 덩달아 돈이 돌고 신흥 부자(북한말로 돈주)도 생겼다. 이데올로기가 해결하지 못한 부분을 돈이 해결해 주고 있는 것이다.
세계 3대 투자가 짐 로저스는 “한국이 북한의 일거수일투족에 너무 민감하게 대응하지 말고, 좀 더 여유 있는 자세로 경제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북한도 막말을 쏟아내지만 한국과 경제협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짚었다. 외국인의 눈에 보이는 것이 왜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을까?
68년 청와대 기습사건 4년 뒤인 72년의 7.4 남북공동성명. 83년 미얀마 아웅산 테러 2년 뒤 85년 최초의 남북이산가족상봉. 68년과 83년은 한국의 국가원수가 테러의 대상이었다. 국민들의 분노와 비탄은 하늘을 찔렀다. 북한에 보복 공습을 하자는 여론도 나왔다. 하지만 몇 년 뒤 우리는 더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 정부가 자신감과 여유를 가지고 5년이 지난 5.24 대북제재조치의 해법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고수석 통일문화연구소 연구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