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 needs some deep soul searching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Japan needs some deep soul searching

The Cabinet Office of Japan conducted a survey two years ago.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13 and 29 in seven countries were asked how they perceive the Japanese people. They chose from multiple statements. Thirty-five percent of Japanese respondents said the Japanese were pacifist. An average of 15 percent of the respondents in six other countries chose the same statement: 22 percent of Americans, 18 percent of British, and 7 percent of Swedes said the Japanese were peace-loving. Not surprisingly, Koreans had lowest opinion of the Japanese people with only 4 percent agreeing that the Japanese love peace.

Why do the Japanese rate their attitude for peace relatively high? In social psychology, self-monitoring refers to the control and modification of self-representation by monitoring how others perceive them. When asked a question, one may try to understand what is expected and give an answer that projects a better image.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students actively self-monitor. Those with high self-monitoring ability tend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quickly and make new friends easily. But chang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could undermine credibility. While those who lack self-monitoring skills may be seen to be slow to read the atmosphere, they also are praised for consistency and sincerity in the long run.

Prof. Kenji Suzuki of Meiji University’s School of Global Japanese Studies says members of a society with a strong inclination toward collectivism show high self-monitoring ability. Japanese people are trained from childhood to be harmonious in a group and behave so they don’t stand out and are not bullied. In a column for the Weekly Toyo Keizai, Professor Suzuki wrote that the Japanese tend to believe they are peace-loving “because of Article 9 and are criticized for being ‘delusional’ about peace.” He added that it may be a “fearful self-righteousness.”

On Feb. 25, the conservative-inclined Yomiuri Shimbun published an opinion poll it had conducted for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In it, 81 percent of respondents said, “Post-war Japan has pursued the path of a peaceful country.” But only 5 percent said that they “know well” Japan’s role in the Pacific War.

While the Abe government approved the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last year and started to revise security-related laws to allow overseas dispatch of Self Defense Forces this year, Japanese citizens still believe that Japan is a peace-loving na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have been blinded by Abe’s frequent promotion of pacifism and image of peace.

Japan’s plan to become a military power is thorough and systematic. Abe is ready to change the pacifist constitution itself under the justification of protecting citizens and contributing to world peace. Those Japanese citizens who believe they are peace-loving need strict self-monitoring.

*The author is the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Mar. 10, Page 30

by LEE JEONG-HEON


2년 전 일본 내각부가 의식 조사를 했다. ‘일본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란 질문을 세계 7개국 13~29세 젊은이들에게 던졌다. 몇 개 보기를 주고 고르도록 했다. 관심을 끈 건 ‘일본인은 평화 애호적’이란 답을 택한 사람의 비율이었다. 일본 젊은이는 35%가 ‘평화 애호적’이라고 답했다. 반면 같은 보기를 고른 나머지 6개국 젊은이는 평균 15%에 그쳤다. 미국이 22%로 그나마 높았고 영국은 18%, 스웨덴은 7%로 나타났다. 한국 젊은이들의 평가는 예상대로 가장 박했다. 4%만이 ‘일본인은 평화를 사랑한다’는 의견에 동조했다.
 평화에 대한 일본인 스스로의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사회심리학에 ‘셀프 모니터링(Self Monitoring)’이란 용어가 있다. 이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의식하고 그에 따라 말과 행동을 제어·조정하는 걸 뜻한다. 질문을 받게 되면 상대방의 생각을 미리 파악하거나 자신의 이미지를 고려해 좋은 쪽으로 답변하는 식이다. 학생들은 요즘 같은 봄철 신학기에 적극적으로 셀프 모니터링을 하게 된다. 모니터링 능력이 뛰어날수록 새로운 환경에 빨리 적응하고 친구들과도 금방 친해지는 경향이 있다. 다만 상황에 따라 태도를 쉽게 바꾸다 보면 오히려 신용을 잃을 수 있다. 모니터링 능력이 떨어지면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해 빈축을 사기도 하지만 길게 보면 일관되고 성실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메이지(明治)대 국제일본학부 스즈키 겐지(鈴木賢志·사회심리) 교수는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사회일수록 대부분 셀프 모니터링 능력이 높다”고 설명했다. 일본인은 집단 안에서 조화를 이루고 따돌림당하지 않도록 처신하라는 훈련을 어린 시절부터 받는다. 스즈키 교수는 ‘주간동양경제(週刊東洋經濟)’에 기고한 글에서 “우리 일본인은 헌법 9조(평화헌법)가 있다는 이유로 ‘평화 망상’이란 비판을 받을 정도로 스스로를 ‘평화 애호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고 분석했다. “그것은 어쩌면 무서운 독선일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5일, 보수 성향이 강한 요미우리신문이 올해 종전 70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후 일본이 평화 국가로서의 길을 걸어왔다’고 답변한 사람이 81%나 됐다. 문제는 일본의 태평양전쟁 등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응답자가 5%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정권이 지난해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용인한 데 이어 올해 자위대 해외 파병을 본격 추진하기 위한 안보 관련 법제 정비에 나섰지만 국민들은 여전히 일본을 평화 국가로 여기고 있다. 아베 총리가 틈만 나면 적극적 평화주의를 내세우며 ‘평화’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데 현혹됐을 가능성이 크다.
 일본의 군사 대국화 구상은 치밀하고 체계적이다. 아베 총리는 자국민 보호와 세계 평화 공헌을 명분으로 평화헌법 자체를 뜯어고칠 계획이다. 평화 애호적이라고 생각하는 일본 국민들의 냉정한 셀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정헌 도쿄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