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at to the U.S.-Korea allianc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reat to the U.S.-Korea alliance


National Assembly Speaker Chung Ui-hwa met with former U.S. Forces Korea Commander John Tilelli, far right in the photo, on March 6 at a luncheon in Washington, D.C. General Tilell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Korea-U.S. alliance and said that wherever the United States sends troops, the Korean Armed Forces are there with them.

He mentioned that Korea sent the second-largest number of troops into the Vietnam War after U.S. Forces and suffered many casualties. A total of 320,000 Korean soldiers were sent to Vietnam from 1964 to 1973. More than 5,000 were killed.

This was when popular singer Kim Chu-ja’s song “Sergeant Kim Returned from Vietnam” became a hit. While the United States paid for the expenses to maintain Korean forces in Vietnam and the assistance after the war helped the Korean economy, the Korean army made a significant sacrifice.

But there is a very different view on the Vietnam War and Korea’s role. At a think tank seminar in Washington last August, Dennis Blair, former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suggested that the Korean forces were more ruthless than the U.S. forces or other armies. The topic of the seminar was that history issues are hindering the progress of Northeast Asia, and during the lecture, Blair pointed out that Korea, China and Japan all have painful parts in their pasts.

Of course, Blair did not hide the United States’ shameful past, such as its enslavement of Africans and racial discrimination. At another seminar in January, he, again, mentioned the ruthlessness of the Korean forces while discussing the Vietnam War.

However, Blair citing the Vietnam War to call Korea into facing its historical faults is hardly a suitable example. Facing the past directly is not hiding these faults, and former presidents Kim Dae-jung and Roh Moo-hyun have already expressed apologies and regrets to the Vietnamese government. It is unreasonable to compare Koreans’ concern for hurting relations with Vietnam by openly discussing the Vietnam War to Japan’s attitude of denying wartime sex slavery and its fabrications in an attempt to whitewash its history.

More importantly, we nee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Korea’s decision to send troops to Vietnam. In retrospect, Korea exercised its collective right to self-defense and supported U.S. efforts to prevent the expansion of Communism. While Korea’s national interests, such as economic development and concerns over U.S. withdrawal, are factors, Korea sent troops because it had a military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If it weren’t for the alliance, Korea would have had no reason to participate in the U.S.-led war.

Blaming Korea for its part in the Vietnam War as a shameful part of its history without properly addressing the context of why it deployed its troops could undermine the current Korea-U.S. military alliance. In every way, the Vietnam War is not a suitable topic to mention when discussing the history disput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Mar. 17, Page 30

by CHAE BYUNG-GUN



지난 6일(현지시간) 정의화 국회의장이 방미 일정을 쪼개 워싱턴에서 존 틸럴리 전 주한미군사령관 등을 만나 오찬으로 격려했다. 틸럴리 전 사령관은 정 의장에게 한미동맹을 강조하며 “미군 파병엔 항상 한국군이 같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베트남전에 미국에 이어 두번째 규모로 참전했고 전사자도 많았다”고 예를 들었다. 베트남에는 1964년부터 73년까지 총 32만여명의 한국군이 파병됐다. 이에 따른 한국군 전사자만 5000여명에 달한다. 김추자의 ‘월남에서 돌아온 김 상사’가 유행했을 때가 이 즈음이었다. 파병 중 미국이 지원한 한국군 유지 비용과 이후 미국의 대한 원조는 한국 경제에 피가 됐지만 한국군의 희생도 컸다. 하지만 이와는 다른 성격의 ‘베트남전과 한국’ 평가도 있다. 데니스 블레어 전 미국 국가안보국장은 지난해 8월 워싱턴의 한 싱크탱크 세미나에서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이 미국군이나 다른 나라의 군대보다 더 무자비했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날 강연 주제는 ‘역사가 동북아의 미래를 향한 발전을 늦추고 있다’ 였고, 강연 도중 그는 한ㆍ중ㆍ일 3국이 모두 고통스러운 과거사가 있다고 지적했다. 물론 블레어 전 국장은 미국도 노예제와 인종차별 등 부끄러운 과거가 있었음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난 1월 한 세미나에서도 베트남전 얘기를 꺼낸 뒤한국군이 무자비했다고 재차 거론했다. 하지만 한국 역시 과거를 직시해야 한다는 취지로 블레어 전 국장이 베트남전을 들었다면 이는 적절한 예가 아니다. 과거를 직시하는 것은 과거를 속이려 들지 않는 것인데, 실제로 김대중ㆍ노무현 전 대통령 등은 재임중 베트남 정부에 이미 사과와 유감을 표명했다. 태평양전쟁 당시 희생당했던 위안부 할머니들의 존재를 부정하며 차마 글로 표현하기 곤란한 ‘직업 여성’으로 몰아가려는 일본인 일부의 태도와, 베트남전이 공론화돼 베트남과의 관계 악화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는 한국인들의 속내를 같은 선상에 올려 놓는다면 어불성설이다. 더욱 중요한 점은 베트남전 파병의 배경이다. 돌이켜 보면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미국의 노력에 한국이 ‘집단적자위권’으로 참여한 사례였다. 파병에는 경제 개발과 주한미군 철수 우려 등 한국의 국익이 작동했지만 가장 중요하게는 한미가 군사동맹이었기에 파병이 이뤄졌다. 군사동맹이 아니었다면 한국이 미국의 전쟁에 가세할 이유가 없었다.
그런데 이제 와서 당시의 파병 맥락을 생략한 채 베트남전을 한국군의 과거사로 낙인을 찍는다면 한미 군사동맹에 대한 믿음을 훼손시킬 수 있다. 아무리 생각해도 베트남전이 한ㆍ중ㆍ일 3국의 과거사 갈등에 끌어다 붙일 소재는 아닌 듯 싶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