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tends to repeat itself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History tends to repeat itself

The United States was once on the verge of civil war because of monetary policy. During the Revolutionary War, the United States used IOUs to finance battle supplies. After independence, many people claimed that the IOUs should be dishonored. But Treasury Secretary Alexander Hamilton argued that U.S. confidence should be enhanced by paying off debts and began imposing taxes on whiskey and other goods. Whiskey makers claimed that Hamilton was giving benefits to the bond holders with citizens’ money.

The protest led to the Whiskey Rebellion. American historian John Steele Gordon wrote that the Whiskey Rebellion was the origin of discord between Main Street and Wall Street. The Whiskey Rebellion was subjugated with Wall Street’s victory.

The confrontation came back right after the Civil War. The Union printed paper currency called the “greenback,” which was not backed by gold. After the war, creditors claimed that the greenbacks should be collected, as inflation would result in the declining value of the bonds.

However, retrenchment was painful for the veterans and farmers, and they resisted intensely. While attempts to collect greenbacks were made sporadically, it did not happen in the end. A similar thing happened again in the 1870s. Both gold and silver were used as official currency, but the silver standard was abolished. As the money supply shrank drastically, debtors, including farmers and businessmen, resisted.

Columbia University professor and former member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in the Bush Administration Frederic Mishkin said that it is a consensus within the Fed not to cause or aggravate crises like the Whiskey Rebellion or the silver coin discord with retrenchment. Lately, the death of Freddie Gray has resulted in protests in Baltimore. As the investigation developed, U.S. media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inequality of wealth on the other side of the racial discord.

At this juncture, retrenchment is an option that Fed Chair Janet Yellen cannot choose easily. Retrenchment could worsen the inequality of wealth. As the interest rate is raised, investment contracts, resulting in less jobs and more burden on low-income earners.

The U.S. economic growth rate in the first quarter did not meet expectations, so the interest rate hike in June is not likely to happen. Morgan Stanley forecasted that the interest rate would be raised after the end of the year. The Bank of Korea has earned some time to focus on the domestic economy rather than preparing for retrenchment by the United States.

Next year, the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will begin in earnest in the United States. Former Secretary of State and presidential hopeful Hillary Clinton is including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s one of her key election promises. U.S. society is likely to be swept up in the controversy of wealth distribution and inequality. This will also be another factor that makes Yellen’s interest rate increase harder.

The author is the deputy international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May 4, Page 26

by KANG NAM-KYU




'통화정책 때문에 내전 직전까지 간 나라'. 미국의 잘 알려지지 않은 모습이다. 실제 그랬다. 미국은 독립전쟁 시기에 차용증서(IOU)를 지폐처럼 활용해 전쟁물자를 조달했다. 독립 직후 적잖은 사람들이 차용증서를 부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초대 재무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은 "신생 미국의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위스키 등에 세금을 매기기 시작했다. 차용증서를 회수하기 위해서였다. 위스키 제조업자들은 "해밀턴이 서민의 돈을 거둬 돈 놀이꾼(차용증서 보유자)를 배불려 주려고 한다"고 주장하며 들고 일어났다. 위스키 반란의 시작은 이랬다. 미 금융 역사가인 존 스틸 고든은 "위스키 반란이 메인스트리트(채무자)와 월스트리트(채권자) 갈등의 원류"라고 말했다. 위스키 반란은 진압됐다. 월스트리트의 승리였다.
양쪽의 갈등은 남북전쟁 직후에도 재연됐다. 북부는 전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금으로 바꿔주지 않는 달러(그린백)를 찍어냈다. 전쟁이 끝난 뒤 채권자 쪽은 "그린백을 회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채권의 실질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서였다. 반면 참전 군인과 농민 등은 반대였다. 그들에게 긴축은 견디기 어려운 고통이었다. 반발이 거셌다. 그 바람에 그린백 회수는 간헐적으로 시도됐으나 끝내 이뤄지진 못했다. 1870년대에도 비슷한 일이 일어났다. 금화와 은화를 공식 통화로 쓰다가 은화를 폐지했다. 통화량이 급감했다. 농민과 중소상공인 등 채무자들이 들고 일어났다. 역사가들 사이에서 '은화갈등'으로 불리는 사건이다.
조지 부시 대통령 시절 Fed 이사를 지낸 통화이론가 프레드릭 미시킨 컬럼비아대 교수는 "긴축으로 위스킨 반란과 은화 갈등 같은 사태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게 Fed 내 오랜 컨센서스"라고 말했다. 요즘 볼티모어시에서 구금 중이던 흑인이 숨져 시위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미국 언론들이 인종갈등 이면엔 있는 부의 불평등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런 와중에 긴축은 쟤닛 옐런 Fed 의장이 선택하기 힘든 카드다. 긴축이 부의 불평등을 악화하기 십상이어서다. 금리가 오르면 투자가 위축되면서 일자리가 줄어들 뿐 아니라 저소득층의 빚 부담이 늘어난다.
마침 올 1분기 경제 성장률도 예상치를 밑돌았다. 6월 기준금리 인상은 물건너 간 셈이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올 연말 이후를 인상 시점으로 예측했다. 한국은행은 미 긴축보다 국내 경제 상황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번 셈이다. 더욱이 내년엔 미국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한다. 현재 선두 주자로 꼽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진영은 빈부격차 해결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울 요량이다. 미국 사회가 부의 불평등을 둘러싼 논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크다. 이 또한 옐런의 기준금리 인상을 어렵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dismal@joongang.co.kr 강남규 국제경제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