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financing’ is failing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echnology financing’ is failing

Woori Bank presented an investor relations (IR) event in the Middle East and Europe, but attendees said the foreign investors there reacted coldly to investing in Korea. The event had special meaning. After four failed privatization attempts, the bank was once again inquiring how foreign sovereign funds and pension funds responded. The Public Fund Oversight Committee chairman attended the presentation on behalf of the government. But anticipation turned into disappointment.

Foreign investors said the Korean financial industry is unattractive as profit is shrinking and there are too many ambiguous regulations. At least one of the two factors, high profits or stability, attracts investment. In the low-growth trend of the Korean economy, it is hard to expect a high yield. But not all investors are seeking high returns. Sovereign funds and pension funds look for stable, long-term earnings by nature. That is why the government considers them ideal shareholders for Woori Bank.

However, the IR presentation confirmed that the Korean banking industry lacks stability and that regulations and bureaucracy are irresponsible. The government and politics get involved in banks’ decisions on management, appointments and fees, and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pressuring banks to provide funds to insolvent companies.

We do not even have to look far back.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pushed for “technology financing” to reform the financial industry. The government explained that approving loans by evaluating the caliber of a company’s technology, rather than on collateral alone, would help small and midsize businesses and venture companies while enhancing profitability for the bank. When the president personally mentioned this, the financial authorities felt under strain and put pressure on the banks to show an immediate outcome.

The ability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echnology cannot be attained overnight, so it became obvious that “technology financing” was a half-baked idea. A source involved in the investigation said there were not enough specialists who could evaluate the technology of companies looking for a loan. One person had to cover more than 80 companies in a month. Fearing a backlash, the financial authorities made a belated plan to revise the system.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Woori Bank is less than 40 percent of its book value, the lowest in the sector. Since the government is its major shareholder, its share represents the competency of Korean financial authorities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industry. No matter how passionately the government advocates financial reform, the assessment of the global financial market will be harsh. If it thought it could attract foreign investors with pretentious reform, it was seriously mistaken.

*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une 2, Page 29

by CHO MIN-GEUN



“한국 금융산업에 매력을 못 느낀다는 얘기가 많았습니다.” 지난달 중동과 유럽에서 열린 우리은행의 기업설명회(IR) 참석자들이 전한 해외 투자자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냉랭했다. 이번 행사는 여느 IR과 의미가 달랐다. 네 차례 실패한 민영화 작업의 재시동을 앞두고 해외 국부펀드와 연기금의 반응을 탐색하는 자리였다. 정부측인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까지 직접 참석한 건 그래서였다. 하지만 ‘혹시나’ 했던 기대는 ‘역시나’ 하는 실망으로 바뀌는 분위기다. 현지 투자자들이 꼽은 한국 금융이 매력 없는 이유는 한결 같았다. “수익은 쪼그라드는데 불투명한 규제는 너무 많다”는 지적이었다. 고(高)수익이나 수익의 안정성, 둘 중 적어도 한가지는 있어야 투자할 유인이 생긴다. 한국 경제가 저성장 기조에 들어선 만큼 고수익을 바라기는 어렵다. 다만 모든 투자자가 높은 수익만 쫓는 건 아니다. 특히 국부펀드와 연기금은 속성상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에 주목한다. 정부가 내심 이들을 이상적인 우리은행의 주주로 상정하고 있는 건 그래서다.
그러나 한국의 은행업은 수익성은 물론 안정성도 갖추지 못했다는 게 이번 IR에서 확인된 투자업계의 평가다. 그 주범으로 지목된 게 규제와 관치다. 정부와 정치권이 은행의 경영·인사·수수료 등에 간섭하는데다, 부실기업에 자금지원을 하라고 압박하는 바람에 수익을 한꺼번에 까먹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불만이다.
멀리 갈 것도 없다. 박근혜 정부가 금융산업을 혁신하자며 밀어부친 ‘기술금융’부터가 그렇다. 취지는 나쁘지 않았다. 담보 위주에서 벗어나 기술력을 평가해 대출하면 중소ㆍ벤처기업도 살고, 은행의 수익성도 높일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었다. 한데 대통령이 챙기니 금융당국은 안달이 났다. 얼른 손에 잡히는 성과를 보여주려니 은행들 팔목을 비틀었다. 시행 1년도 안돼 26조원이 풀리는 ‘이변’이 일어난 까닭이다. 그런데 기술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실력은 하루아침에 생기는 게 아니다. 이러니 ‘무늬만 기술금융’이 판쳤다. 실태조사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기술을 평가할 인력은 부족한데 갑자기 의뢰가 몰리다 보니 한 사람이 한 달에 80여개 기업을 담당하기도 했고, 기술과 전혀 관련 없는 업체에 평가서가 나간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슬슬 뒷감당이 두려워진 금융당국도 뒤늦게 제도를 손보겠다고 나섰다. 현재 우리은행의 시가총액은 장부가의 40%에도 못 미치는 은행권 최하위다.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은행의 주가가 한국 금융당국의 능력과 산업의 매력도를 반영하는 바로미터라고 본다면 낙제점에 가깝다. 정부가 아무리 금융 개혁을 외친들 국제 금융시장의 평가는 냉혹하다. 보여주기식 개혁으로 해외 투자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면 착각이다.
조민근 경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