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harmful double standard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Korea’s harmful double standards

The Korean perspective on China is full of contradictions. Koreans have very different views on China as a country, on Chinese people and on Chinese society. Korean tourists, businessmen and politicians are not free from these contradictions.

There are four general perceptions on China as a country. It is considered the only nation to compete for world domin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 power with absolute influence over Korea’s economy and affairs, a country of culture and a millennia of history and a regional giant that could serve as a threat to the Korean Peninsula. All in all, Koreans recognize China’s importance.

But when Koreans discuss Chinese society and individuals, people have various negative idea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Koreans think the Chinese are unhygienic and lazy, do not follow public order and do not keep to contracts. They look down on other countries, use force and do not abide by social norms. In general, Koreans consider Chinese people “backwards.” Despite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the last three decades, China has become one of the G-2, but its national status is not quite advanced. The negative perception is not entirely unfair, as many Chinese people also agree.

The problem is that Koreans’ contradictory perspective on China leads to inconsistencies towards China and a lack of understanding, ultimately harming Korea’s national interests. It is the same for both individuals and the nation. Let us look at the MERS crisis. A Korean hid his illness and went on a business trip to China, a decision likely based on his negative perspective of Chinese society. If he were headed for the United States or Europe, would he have departed the country as planned?

We could have been able to save ourselves from shameful mistakes if the government or individuals had studied how China and Hong Kong suffered from the SARS breakout in 2003 and how they improved their public health and hygiene systems.

The Blue House called an emergency meeting 15 days after the MERS breakout, and the belated response is not unrelated to the national leadership’s contradictory views on China. China considers public safety as the foremost priority to govern 1.3 billion people. When a cruise ship capsized in the Yangtze River on June 1, Chinese Premier Li Keqiang immediately canceled all of his scheduled events and ran to the site.

If the Blue House had learned the basics of Chinese leadership, the meeting would have been called sooner. Forming 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and signing a free trade agreement does not mean diplomacy with China is complete.

In fact, a Chinese professor specializing in the Korean Peninsula had a point. “Korean politicians say they value China very much. But no one has an answer when I ask why there is no China specialist in the core group of the Blue House and the foreign ministry.”

*The author is the Beijing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une 9, Page 30

by CHOI HYUNG-KYU




한국인의 중국관은 모순이다. 중국이라는 국가와 중국인, 중국 사회를 보는 시각이 크게 다르다. 중국을 찾는 여행객과 기업인, 그리고 정치인까지 대부분 이 모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중국이라는 국가를 보는 시각은 크게 네 가지다. 앞으로 미국과 세계 패권을 다툴 유일한 국가. 우리 경제와 한반도 정세에 거의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 대국, 수천 년의 역사와 문화 강국, 한반도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주변 대국 등이다. 그만큼 우리에게 중국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그러나 중국을 사회와 개인으로 보면 사정은 달라진다. 각자 경험에 따라 다양한 부정적 시각이 튀어나온다. 불결하고 게으르며 공공 질서를 안 지키고 계약도 무시하는 나라. 이뿐인가. 소국을 무시하고 완력을 앞세우며 사회 규범을 지키지 않는다 등등. 한 마디로 “후진적”이라는 거다. 30년 넘게 고속 경제성장을 하면서 국가 위상은 G2(미국과 중국)가 됐지만 국격이 따르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상당수 중국인도 이를 인정하니 틀린 말이 아니다.
문제는 이런 한국인의 모순된 중국관이 중국에 대한 언행 불일치, 학습 결핍으로 이어져 국익을 해친다는 데 있다. 개인이든 국가든 마찬가지다. 메르스 사태만 해도 그렇다. 한국인 K씨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숨기고 중국 출장을 강행한 배경에는 G2의 중국보다는 “설마 중국이 어쩌랴”하는 그의 대중 사회관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만약 출장지가 미국이나 유럽이었다면 그는 출국을 강행했을까.
K씨와 접촉한 한국인이 귀국 후 다시 중국으로 출장가도록 정부가 방치한 것은 개개인에게 잠재된 부정적 중국 사회관이 무의식 중에 행정의 형태로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2003년 사스 파동 이후 중국과 홍콩이 어떤 곤욕을 치렀는지, 그리고 이후 어떤 공공위생 시스템을 갖췄는지, 국가든 개인이든 단 한 번이라고 학습을 했더라면 이런 부끄러운 국제 민폐는 끼치지 않았을 게다.
메르스 발발 이후 보름이 지나서야 청와대에서 긴급회의가 있었는데 이 또한 국가 리더십의 모순된 중국관과 무관하지 않다는 게 내 생각이다. 중국은 13억 통치를 위해 공공 안전을 내치의 최우선 순위에 두는 나라다. 지난 1일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창장(長江) 유람선 침몰 사고 보고를 받자마자 “모든 일정 취소하고 당장 현장으로 가자”고 다그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중국 지도부에 대한 기초 학습만 있었서도 청와대 회의는 좀 더 빨리 열릴 수 있었을 게다. 중국과 전면적 전략 협력 동반자 관계 맺고 자유무역협정(FTA) 체결했다고 대중 외교가 끝나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그러고 보니 얼마 전 한반도 전문가인 한 중국 교수의 말이 틀리지 않았다. “한국 정치인들은 엄청 중국을 중시한다고 한다. 그런데 청와대와 외교부 핵심 라인에 왜 중국통이 없느냐고 물으면 제대로 답한 정치인은 없더라.”
최형규 베이징 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