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st, and pride and prejudice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Trust, and pride and prejudice

I learned that “Pride and Prejudice” was a romantic novel later on. When I first read a passage in an English textbook, I thought it must have been an excerpt from a philosophical novel. I’ve never read the book and only recently understood the plot after watching a movie based on the novel on television. I often cited the title “Pride and Prejudice” over drinks, but I never knew what the phrase really meant.

I only found out later on that it was written by Jane Austen (1775-1817), a widely read and beloved writer. Her delicate writing addressed the issue of women of her time, who were smart but poor. The novel ends on a happy note. The protagonist, Elizabeth, triumphs after confirming the sincerity of Mr. Darcy’s love.

The prolonged tension between Elizabeth and Mr. Darcy was caused by their pride and prejudice, hence the title of the book. One of the favorite stories in English literature still resonates with readers 200 years after it was written. The classic has power. The familiar story is captivating, and the reflection of the period and life of the author add to its emotional depth. Readers ruminate over the title and its message.

It would be so nice if we could feel the aura of the classics in real politics. Could politics be familiar yet moving, taking on new meanings as time goes by?

Two and a half years ago, when President Park Geun-hye was elected, many may have had that dream for a while. She was the “president’s daughter who became the president,” and “the first female president of Korea.” She used a big, impressive slogan: “Principles and Trust.” Her supporters were enchanted by it, and hoped that her success story would turn into a classic in Korean history.

But the past two years have defied those expectations. People are confused as to what those principles were and who to trust. Lately, we are faced with an emblematic crisis. Everyone was waiting for the president to comfort citizens struggling with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risis, but instead, she censured an old political ally for the “politics of betrayal.”

The ruling party trembled absurdly at her roar. To the citizens shocked by her attitude, her cronies say in defense, “The president only cares about the nation and the people,” and that “she is selfless and will surely succeed.”

Their claims are likely true. However, we want to ask when the citizens can see the true capacity of the president they voted for. Will it be written in the history book? Citizens want vivid descriptions and surprising turns that end with a catharsis. Can a book that is not a best-seller in its time be a classic in the future? If she wants to package the title “Principles and Trust” into a classic, she is absorbed by her own pride and prejudice.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at JTBC.

JoongAng Ilbo, July 3, Page 34

by KIM SEUNG-HYUN


『오만과 편견』(1813년)이 연애 소설이라는 걸 뒤늦게 알았다. 고교 때 성문종합영어 독해 지문으로 처음 봤을 때는 묵직한 철학 소설로 생각했다. 사랑 이야기의 구조도 최근 케이블 심야영화를 보고서야 제대로 파악했다. 술자리에서 영어 제목(Pride & Prejudice)을 자주 패러디했는데, 정작 그 원조의 실체를 제대로 몰랐던 것이다.
 소설을 쓴 제인 오스틴(1775~1817)이 영국인의 사랑을 받는 여성 작가라는 것도 뒤늦게 알았음은 물론이다. 똑똑했지만 가난했던 동시대 여성의 고민이 섬세한 문장으로 남게 된 것이다. 소설은 해피엔딩이다. 주인공 엘리자베스는 사랑을 이루는 데 성공한다. 잘생긴 부자 귀족, 다아시의 진심 어린 사랑을 우여곡절 끝에 확인한다.
 둘의 기나긴 밀당이 오만과 편견 때문이었다는 메시지가 결국 소설의 제목이 됐다. 현대 영미문학 최고의 고전이라 불리는 책은 200년이 더 지난 뒤의 독자에게도 다시 여운을 남겼다. 고전에는 그런 힘이 있다. 익숙한 내용에도 호감이 가고, 시대상과 작가의 삶을 알면 감동이 더 깊어진다. 제목은 시간이 지날수록 음미하게 된다.
 현실 정치에서 이런 고전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익숙한데도 감동이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진국이 우러나는 향기로운 정치는 존재할 수 없을까.
 문득 2년6개월 전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됐을 때 절반 이상의 국민들은 잠시 그런 꿈을 꿨던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대통령의 딸에서 대통령이 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 게다가 고전의 제목에 버금가는 막강한 글귀가 그를 수식했다. ‘원칙과 신뢰’. 지지자들은 그 제목에 사로잡혔고, 그의 성공신화는 조만간 대한민국 고전의 반열에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하지만 2년여의 현실은 당시의 기대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 고전이 될 것으로 여겨졌던 원칙과 신뢰는, 이미 누구를 위한 원칙이며 누구에 대한 신뢰인지 헷갈리기 시작했다. 최근 그 절정에 이르렀다. 메르스에 지쳐 대통령의 ‘위로의 편지’를 기다리던 국민들 앞에서 대통령은 ‘배신의 정치’라며 옛 동지에게 호통쳤다. 집권 여당은 사시나무처럼 떠는 우스운 모습이 됐다. 놀란 국민들에게 측근들은 “대통령은 오로지 국가와 국민만 생각한다” “사심 없는 분이니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측근의 주장은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되묻고 싶다. 국민들은 자기가 뽑은 대통령의 진가를 언제 확인할 수 있는가. 후대의 역사책에서나 봐야 하는가. 지금 국민들은 육감을 건드리는 묘사와 카타르시스가 있는 반전을 원한다. 당대에 베스트셀러가 아닌 책이 후대의 고전이 되겠는가. 원칙과 신뢰라는 제목에만 색칠해서 고전을 만들려는 것이라면 그야말로 오만과 편견이다.
김승현 JTBC 정치부 차장대우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