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ing hidden treasur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Finding hidden treasure

Many of the landmarks on the Korean Peninsula are in North Korea. Not to mention Mount Paektu, the Gaema Plateau and the Aprok River have been blessed by the crustal movements of the Cenozoic period.

The biggest natural lake created by long sedimentation can also be found in the North. The area was a bay originally, but the earth and sand flushed by the Tumen River were pushed out by the seawater, creating a natural levy around the saltwater lake. The circumference of the two lakes connected by a narrow channel is 45 kilometers (30 miles), seven times the size of Yeouido in Seoul.

From the observation deck in Fangchuan, a triple border village where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meet, on a clear day, the lakes can be seen beyond the Korean-Russian Friendship Bridge over the Tumen River.

The participants in the Peace Odyssey journeyed 1,400 kilometers along the border reg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last month, and when they arrived at the lakes, they argued whether it was a tributary to the Tumen River or a lake.

It is a shame that most people don’t even know about the existence of the lakes. People have lost interest over time as seven decades of division suspended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t may not be a big deal to not know about the lakes, but as a result of the long division, Koreans become increasingly uninformed about the internal situations in the North, and this is a serious problem.

China is targeting Asia and Europe with the extensive One Belt, One Road project, turning the focus of trade to the west. The Korean Peninsula is not in the range of the project. Under the umbrella of the United States, Japan is getting back to militarism to contain China.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complicated enough, and there are many other troubl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not to get lost in this situation, Korea should find a breakthrough in inter-Korean relations. The key is exchanges and cooperation, and flying to Beijing and Vladivostok for a train tour of Eurasia is not enough. The one-time event organized by multiple nations that skips a route through South and North Korea will hardly bring changes.

President Park Geun-hye has finally established a strong bond between the party and the Blue House after various issues. It is a good sign that the vaccination and antibiotic assistance for North Korea’s tuberculosis and rubella problem came as soon as the government fastened the shoestrings. North Korea is dependent on sending workers abroad and clumsy tourism businesses. Now is the time to open our wallets and show the cards that we have prepared.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of JTBC.

JoongAng Ilbo, July 16, Page 34

by CHEONG YONG-WHAN




한반도의 랜드마크들은 북한에 많다. 높은 산(백두산)은 말할 것도 없고 높은 고원(개마고원), 긴 강(압록강) 등 신생대 지각운동의 세례를 받은 것들이다. 오랜 시간이 퇴적돼 만들어진 가장 큰 자연호수도 북한에 있다. 두만강이 동해의 품에 안기는 함경북도 경흥군 동쪽 끝자락의 동번포ㆍ서번포다. 원래 만(灣)이었는데 두만강이 안고온 토사를 동해 바닷물이 밀어올려 자연제방이 되면서 석호(바닷물이 섞인 해안호수)로 변했다. 좁은 목으로 연결된 두 호수의 둘레는 45km, 여의도 면적의 7배 크기다. 보물 같은 호수다. 맑은 날 북한ㆍ중국ㆍ러시아 3국이 접경하는 중국 팡촨(防川)의 전망대 용호각에 오르면 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두만강철교 뒤로 호수가 시야에 들어온다. 지난달 북ㆍ중 접경 1400㎞를 달린 ‘평화 오딧세이’ 참가자들은 동해 앞쪽에 귀퉁이를 드러낸 이 호수를 놓고 두만강 지류인지 호수인지 설왕설래를 벌였다. 자연호수의 왕중왕인데 존재조차 모르고 있었으니 수모도 이런 수모가 없다. 물론 호수 잘못은 아니다. 분단 70년이 가로지르는 남북 현실과 교류를 끊고 기싸움으로 흘려보낸 시간이 쌓여 관심에서 멀어진 것 뿐이다. 호수쯤이야 몰랐던들 어떠랴마는 남북간 단절의 결과로 갈수록 북한 내부 사정에 깜깜이가 되는 건 심각한 문제다. 기계를 동원해 엿듣고 몰래 보는 방식은 상대가 역정보를 연출할 수 있어 한계가 있다. 북한을 드나드는 해외교포나 조선족을 통하는 것도 그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고도의 분별 역량이 축적돼 있어야 한다. 중국이나 러시아에 나오는 집안 좋은 무역일꾼에게 귀동냥 하는 것도 감질나는 일이다. 아시아와 유럽을 겨냥해 중국은 거대 인프라사업인 일대일로(一帶一路)의 날개를 펴고 서쪽으로 대외경제의 방향을 틀고 있다. 일대일로의 시야에 한반도는 없다. 지역 맹주격인 미국의 후원 아래 일본은 군국주의 야성을 회복하며 중국 포위망을 조이고 있다.북핵만 놓고 봐도 심란한데 한반도 주변에선 불란의 불씨가 모락모락 연기를 잉태하고 있다. 경제나 안보적으로 엄준한 도전 상황이다. 이런 구도 속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남북 관계에서 활로를 찾을 수 밖에 없다. 열쇠는 교류ㆍ협력인데 항공편으로 베이징과 블라디보스톡까지 이동해 유라시아를 도는 열차 투어까지 갈 것도 없다.계속 한다면 모를까.남북종단 노선이 빠진 채 여러 나라가 숟가락을 올리는 일회성 이벤트로 관계에 변화가 올 리 없다. 작고 쉬운 것에서 접점을 찾아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헌법 1조가 나오고 제왕적 군신관계 논란 등 우여곡절 끝에 강력한 당청 친정체제를 구축했다. 신발끈을 조이자마자 북한 주민의 결핵ㆍ풍진 예방을 위한 백신과 항생제 지원 카드를 낸 것은 좋은 신호다. 인력송출과 어설픈 관광사업에 목을 매고 있는 북한이다. 이제 지갑 속에 즐비한 카드를 꺼낼 때다.

정용환 JTBC 정치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