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s rise set to change tech sector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China’s rise set to change tech sector

“When two Chinese companies are rated first and second, can we trust them?”

“Is the low bidding price a critical factor?”

In the press room at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on Wednesday, reporters had many questions about Shanghai Salvage, which was chosen as the preferred bidder to salvage the capsized Sewol ferry. The media presentation went over schedule by more than an hour, and the public seemed similarly skeptical. Attorney Park Ju-min, who represents the families of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also expressed concerns over whether Chinese companies really had more advanced technologies than other consortiums. But in the assessment, technology scores made up 90 points, and the salvage price was 10 points. Without technological capacity, no company can become a preferred bidder with competitive prices alone.

According to Jeong Yong-hyeon, an adviser at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China’s maritime technology is world-class, and China has been developing underwater exploration technology for over a decade to develop maritime resources. In 2007, China developed a deep-sea submarine that could explore depths down to 7,000 meters (4.3 miles). In 2012, Shanghai Salvage showcased the Shen Quan Hao, a diving support vessel that can operate 300 meters underwater. The vessel is equipped with a saturated diving device that provides divers with helium instead of nitrogen during underwater operations. China is a technology power from the deep sea to space, having succeeded in manning a spaceship launch in 2013.

In fact, Shanghai Salvage was ranked high in the technology assessment as well. It analyzed the Sewol ferry, which had been underwater for more than a month, and proposed an idea to lift the ship from the bottom, as lifting it from the top may result in damage. The Chinese company also addressed the geographical advantage of being close to the site of sinking. By reducing manpower and logistics costs, it bid 15 billion won ($13 million) below the estimate of 100 billion won.

Of course, a formal contract is yet to be signed, and we have a long way to go until the ship is actually salvaged. However, we cannot take Chinese companies’ dominance in the bidding lightly. Lee Jeong-dong, a professo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s Technology, Management, Economics and Policy Program, acknowledged that China boasts a solid foundation in aerospace and marine science and technologies, and when basic technologies meet sophisticated technologies, it will display formidable potential.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hina wants to catch up with Germany and Japan, and in the near future, the Made in China label will no longer be synonymous with cheap products. Korea, then, is destined to compete against another tech power.

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uly 17, Page 29

by KIM MIN-SANG





“중국 업체 두 곳이 연달아 1·2위를 한 상황을 과연 신뢰할 수 있을까요.”
“낮은 입찰 가격이 결정적인 점수가 된 것 아닙니까.” 지난 15일 해양수산부 기자실엔 세월호 인양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뽑힌 중국의 상하이 살비지(Shanghai Salvage·上海打捞局)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기자설명회는 예상보다 1시간 넘게 길어졌다. 네티즌 반응도 비슷했다. 댓글 중엔 “세월호 인양까지 최저낙찰제로 중국산을 써야 하나”는 비아냥도 있었다. 세월호 가족협의회 법률 대리인인 박주민 변호사조차 “중국 업체가 다른 컨소시엄에 비해 정말 기술이 뛰어난지 걱정이 된다”고 했다. 그러나 이번 평가는 기술점수가 90점이고 인양 가격은 10점만 반영됐다. 기술력이 없으면 애당초 우선협상대상자가 될 수 없는 구조였다.

정용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문위원은 “중국의 해양관련 기술은 세계 수준이다. 중국은 해양자원의 개발 필요성 때문에 10여 년 전부터 수중탐사 기술을 크게 발전시켜 왔다”고 말했다. 중국은 2007년 세계 최초로 수중 7000m까지 들어가는 심해잠수정을 개발했다. 상하이 살비지는 2012년 수심 300m에서 유인 작업을 할 수 있는 잠수정인 심잠호(深潛號)를 선보였다. 이 잠수정은 심해 작업을 위해 인체에 질소 대신 헬륨을 공급하는 ‘포화잠수장치’를 갖추고 있다. 중국은 2013년 유인 우주선 발사에도 성공하는 등 심해에서 우주까지 아우르는 ‘기술강국’이다. 실제 상하이 살비지는 기술적인 평가에서도 우위를 차지했다. 1년 이상 바다 속에 가라앉아 녹슨 세월호 선체를 분석해 배 윗부분을 당기면 파손될 우려가 있다며 밑에서 들어올리자는 아이디어를 제시해 관철시켰다. 중국업체는 침몰 지점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도 십분 활용했다. 인력과 장비 수송 비용을 줄여 입찰가를 예정가(1000억원)보다 150억원이나 낮췄다.





물론 아직 인양을 위한 정식계약을 한 것도 아니고, 실제 인양까지는 갈 길이 멀다. 그렇다 해도 이번 입찰 평가에서 중국업체가 1·2위를 차지한 것을 가볍게 여길 일은 아니다. 이정동 서울대 기술경영정책대학원 교수는 “중국은 우주와 과학, 해양분야 등에서 기초기술이 탄탄하다”며 “이 기초기술이 세련된 공정기술이란 날개를 다는 날엔 무서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정부는 지난 5월 ‘중국 제조2025’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제조업 분야에서 2025년까지 한국과 같은 수준에서 벗어나 독일과 일본을 따라잡겠다는 야심 찬 전략이다.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를 싸구려로 생각했다간 큰 코 다칠 날이 먼 미래가 아니란 얘기다. 일본에 이어 또 하나의 기술강국과 경쟁해야 할 운명이 현실로 다가왔다.
김민상 경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