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will history remember 2015?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How will history remember 2015?

When I was young, I was a bit scared as we drove to the Mangbaedan in Imjingak. It was the northernmost point in South Korea, and my grandparents, who are originally from the North, fell silent whenever we visited. Back in the old days, we were taught at school that North Koreans had horns. I had many questions, but the silence in the car was so heavy that I couldn’t break it. My grandparents and parents seemed to have their minds set beyond the demarcation line. Then, I learned that sometimes you can say more by being silent.

On Sundays, we had cold noodles. When I entered elementary school, the adults let me have hoenaengmyeon (cold noodles with raw fish) instead of mulnaengmyeon (cold noodles with cold broth). I was proud I was old enough to eat spicy noodles, although I could only finish my bowl by adding sugar and more broth. New Year’s Day is the day we eat sikhae (a fermented dish of fish and grain) and dumplings prepared with a recipe from Pyeongan. Hamgyeong-style salted halibut with rice is my soul food, along with hoenaengmyeon and dumplings.

When I visited Panmunjeom last week, I made eye contact with a North Korean soldier outside the window of the T-2 meeting room. Beyond the shoulders of an ROK military police officer, the North Korean soldier looked straight at me. And I looked at him in the eyes for the longest second. From his face, I saw my young self. He was curious yet scared, and he was determined not to show his feelings.

July 27 marks the 62nd anniversary of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at Panmunjeom. What have we done for over six decades? While South and North Korea did not become divided because we wanted to be, Seoul and Pyongyang advocate their own versions of reunification and blame each other. If we waste the remaining three weeks to the 70th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without any progress, how will history remember the year 2015? It seems that what Seoul and Pyongyang really want is to maintain the status quo for the privileged class, not reunification. I desperately hope I am wrong.

South and North Korean authorities should stop for a moment and listen to the song, “Imjin River,” a North Korean song often sung in the South as well. “Flying from the fields in the North to the sky in the South, the bird is a messenger of freedom. Who divided our homeland into two? Does the clear water of the Imjin River flow with a grudge? No one can stop the flow of the Imjin River.”

Someday, when I have grandchildren, I want to take them to the Imjin River.

When I become silent as we look around the Imjin River and Mangbaedan, I hope my grandchildren will say, “Grandma, it’s been so long since Korea became reunited. Let’s take the Gyeongwon Line train and visit Kaema Plateau. When can I have spicy hoenaengmyeon anyway?”

The author is a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uly 25, Page 27


by CHUN SU-JIN



임진각 망배단으로 향하는 차 안은 어린 내겐 조금 무서웠다. 남쪽 땅에서 갈 수 있는 북쪽 끝에 갈 때마다 실향민인 조부모님은 입을 닫으셨다. 학교에서 “북한 사람들은 머리에 뿔이 났대”라는 말을 들었던 때다. 궁금한 건 많은데, 차 안의 적막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듯 강렬했다. 가족들의 몸은 여기 있는데 마음은 휴전선 너머에 있는 듯했다. 침묵이 더 많은 말을 한다는 걸 그때 알았다.
 일요일은 냉면이었다. 초등학교 입학 후, 어른들은 처음으로 물냉면이 아닌 회냉면을 허하셨다. 어른으로 인정받았다는 자부심에 맵지만 설탕을 뿌리고 육수를 마셔가며 한 사발 깨끗이 비웠다. 설날은 식혜가 아닌 식해와 함께 평안도식 만두를 먹는 날. 좁쌀을 넣어 삭힌 함경도식 가자미식해가 회냉면·만두와 함께 내 ‘소울 푸드’인 이유다.
 지난 수요일 취재차 방문한 판문점에서 T-2 회담장 창밖에 서 있는 북한군 병사와 눈이 마주쳤다. 늠름한 우리 헌병의 어깨 너머, 이름 모를 그 북한군 병사는 나를 똑바로 쏘아봤다. 나도 그를 보았다. 1분처럼 느껴진 그 1초 동안 나는 그의 얼굴에서 어린 나를 만났다. 상대방이 궁금하면서도 조금은 무섭고, 하지만 그 감정을 드러내면 안 된다는 생각이 그 눈동자에 있었다.
 그가 지키고 선 판문점에서 6·25 정전협정이 서명된 지 27일로 62년이 된다. 강산이 여섯 번 변하는 동안 우리는 뭐가 변했나. 남북이 원해 남북으로 갈라진 게 아니건만 지금은 남북 모두 말로만 각자의 통일을 외치며 남 탓 하기 바쁘다. 3주 남짓 남은 광복 70주년을 무위(無爲)로 허송한다면 역사는 2015년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서울과 평양 모두에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아니라 현 기득권층의 현상유지인 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이 생각이 틀리기를 간절히 바란다.
 남북 당국 모두,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잠시 멈추고 들었으면 하는 노래가 있다. 남쪽에서도 종종 불리는 북녘의 노래 ‘임진강’이다. “북쪽의 대지에서 남쪽의 하늘까지/높이 나는 저 새는 자유의 사자(使者)/누가 우리 조국을 둘로 나눠버렸나 ”고 노래하다 “임진강 흐름을 가르지는 못하리라”고 맺는다.
 언젠가 손주가 생기면 임진강에 데려갈 작정이다. 임진강과 망배단을 둘러보다 말이 없어진 내게 손주가 이렇게 칭얼댔으면 좋겠다. “할머니, 통일 된 지 오래됐는데 아직도 그래. 경원선 열차 타고 개마고원에 놀러 가자. 참, 나 회냉면은 몇 살 돼야 사주는 거야?” 이번 추석엔 돌아가신 조부모를 대신해 망배단에 가야겠다.
전수진 정치국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