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udspeaker propaganda war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Loudspeaker propaganda war

In December 1989, Panamanian dictator Manuel Noriega took sanctuary in the Holy See’s embassy in Panama from U.S. forces. Since the U.S. soldiers could not enter the embassy, Operation Nifty Package was conducted, playing deafening music from loudspeakers right next to the building. The psychological warfare demoralized and stressed the dictator, making him surrender in 10 days. The world witnessed the power of loudspeakers.

In 1925, loudspeakers were invented in the United States. They were first used in a war during World War II. The sound could reach 300 meters (984 feet) at the time, and they were used to encourage enemies or residents to surrender or evacuate before striking.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the United States sent members of the Loudspeaker and Leaflet Company of the Far East Command to the Korean Peninsula immediately. All they brought were four loudspeakers. Two were carried on military trucks and two on airplanes, urging North Korean and Chinese soldiers to surrender.

Loudspeakers have played major roles since the Gulf War in 1990. High-performance loudspeakers that can reach over 20 kilometers were used this time. U.S. forces used the speakers to urge Iraqi soldiers to surrender and captured many prisoners of war. Moreover, when making a push, speakers were used to play the sounds of tanks, trucks and fighter jets. So the enemies mistakenly believed that far bigger forces were storming in.

While the methods of using loudspeakers are evolving, the basics of psychological warfare remain the same.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s as well as the capacity of the loudspeakers determine the success of this tactic. So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it from the other side.

During the Gulf War, President George H.W. Bush compared Saddam Hussein to Adolf Hitler. But to the Iraqis, genocide of Jews was not seen as such a heinous crime, and comparing Hussein to Hitler didn’t have much effect.

It is not very effective to insult the enemy, either. When you hear an insult, you immediately get upset. Before German reunification, West Germany ended the practice of diminishing East Germany.

South Korea’s loudspeaker campaign toward North Korea has put the peninsula in a difficult situation. The North’s reaction proves the effectiveness of loudspeakers. However, we need to reconsider whether it was the best option since it resulted in a crisis. North Korea has a clear target at which to aim their rocket launchers. But there are other means of spreading the truth of the outside world that cannot be blocked or attacked, such as Korean dramas or chocolate snacks. The best strategy may be an attack that can be foreseen, yet cannot be foiled.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gAng Ilbo.

JoongAng Ilbo, Aug. 24, Page 31

by NAM JEONG-HO


1989년 12월 파나마의 바티칸대사관에 독재자 마뉴엘 노리에가 대통령이 도망친다. 자신을 잡으러온 미군에 쫓겼던 거다. 외국 대사관이라 못 들어가게 되자 미군은 기발한 작전을 편다. 건물 옆에 고성능 확성기를 대놓고 24시간 귀청이 터질만큼 록큰롤을 틀어댔다. 스트레스를 견디다 못한 그는 열흘만에 투항한다. 확성기의 위력을 세계가 목도한 순간이었다.
미국에서 또렷한 음을 내는 다이내믹형 확성기(스피커)가 발명된 건 1925년. 전쟁에 확성기가 선보인 것은 2차대전이 처음이었다. 당시 확성기 도달 거리는 200~300m. 진격 직전, 눈 앞의 적이나 주민들에게 항복과 대피를 권하는 수준이었다.
미국은 50년 한국전쟁이 터지자 일본 극동사령부 산하 확성기·전단중대 대원들을 즉각 한반도로 파병한다. 이들이 가져온 장비라곤 스피커 4대가 전부였다. 2개는 짚차 2대에 나눠 싣고 다녔고 나머지 2대는 비행기에 설치해 북한군과 중공군 머리 위에서 투항을 권유했다.
확성기가 제대로 활약한 건 90년 걸프전부터다. 이 무렵 20km 넘게 가는 고성능 확성기가 나온다. 이 걸로 미군은 이라크군에게 투항을 권유, 수많은 포로를 생포했다. 뿐만 아니라 진격 시 장갑차 옆에 확성기를 달아 탱크·트럭, 심지어 전투기 소음까지 내게 했다. 실제보다 훨씬 큰 병력이 몰려온다고 착각하게 만든 것이다.
이렇듯 확성기 활용법은 진화 중이지만 인간 심정을 이용하는 심리전이란 사실은 불변이다. 성능도 성능이지만 내용이 확성기 심리전의 성패를 가른다. 그래서 역지사지가 절대 필요하다.
걸프전 당시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전쟁을 일으킨 사담 후세인을 "히틀러와 같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이라크인에겐 유대인 학살이 죄가 아니다. 확성기로 히틀러라고 욕한들 무슨 소용인가.
적을 모욕해도 효력이 없다. 본인이던 자신이 속한 조직이건, 모욕적인 말을 들으면 화부터 난다. 아무리 좋은 내용도 들릴리 없다. 통독 전 서독은 동독을 깎아내리는 심리전은 삼가했다. 휴전선의 대북 확성기로 남북이 일촉즉발 상황이다. 북한이 저렇듯 펄펄 뛰니 확성기의 효능은 증명된 셈이다. 그럼에도 위기를 초래했다는 측면에서 최선의 선택인지는 생각해 볼 일이다. 북한으로서는 로켓포를 쏘아댈 확성기 탑이 존재한다. 반면 한류 드라마든, 초코파이든, 외부의 진실을 북한 사회에 스며들게 하는 다른 방법은 막을 수도, 공격할 수 없다. '알아도 막지 못하는 전략'이 상지상책(上之上策) 아닐까.
남정호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