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like brothers anymor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Not like brothers anymore


In December 2014, a reception for outgoing Chinese Ambassador to North Korea Liu Hongcai was held in Pyongyang. Diplomats from the U.K., Russian and German missions in Pyongyang were invited, but North Korean Foreign Ministry officials were nowhere to be found. A Chinese embassy official who had visited Dandong was quarantined on his way back, a preventative measure against the worldwide Ebola outbreak. The official argued he must attend the reception, but his plea was not accepted. The embassy’s protests didn’t help either.

He snuck out and went to Pyongyang, but security and quarantine authorities surrounded the Chinese Embassy. After a 30-minute power cut, the embassy released the official. This account from sources in Shenyang and Dandong tipped me off on the current state of China-North Korea relations.

While these stories are hard to believe, there are many episodes illustrating a chilly mood between Pyongyang and Beijing. The Chinese Embassy website posts the ambassador’s schedule, but there hasn’t been a post about incoming Ambassador Li Jinjun meeting with Kim Jong-un. It’s been five months since he arrived in Pyongyang.

In 2013, the Xi Jinping leadership introduced change in the blood brotherhood between Beijing and Pyongyang after North Korea conducted the third nuclear test. “The War Supporting North Korea against the United States” was renamed a more neutral “Korean War,” and China has been following United Nations sanctions on North Korea for the last two years. Pyongyang isn’t hiding resentment.

The feelings were warmer when Kim Jong-il was alive. In August 2010, President Hu Jintao welcomed Kim in Changchun. Kim’s toast was filled with the desperation and nervousness of an aging leader. He had already decided to hand over power to his third son, Kim Jong-un.

“I hope the big brother will hold hands with the younger until the end and play a big role in accomplishing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Let’s toast the brothers!” he said, according to Lee Soo-hyuk, former chief delegate for the six-party talks, in his book “North Korea is Reality.”

When tensions rise on the peninsul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dealt with the South and North, respectively. But the two powers revealed subtle changes after the land mine incident. With President Park Geun-hye scheduled to attend the victory day celebration, China remained neutral, asking Seoul and Pyongyang not to escalate the situation. Externally, the rupture between Pyongyang and Beijing seems unusual, but since China’s will to maintain the status quo is solid, we shouldn’t be too stirred by every single move. The United States wants to seal off China with a Korea-U.S.-Japan alliance, while China is targeting the weakest link, Korea. Seoul and Pyongyang now seem to be seizing an extraordinary opportunity.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at JTBC.

JoongAng Ilbo, Aug. 27, Page 34

by CHEONG YONG-WHAN






#1.지난해 12월 평양 류홍차이(劉洪才) 당시 주북한 중국 대사의 이임 리셉션이 열렸다. 평양에 주재하는 영국ㆍ러시아ㆍ독일 공관의 외교 사절들이 초대됐다. 북한 외무성의 관리들은 행사장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2. 당시 생필품을 사러 압록강을 건너 단둥(丹東)에 갔던 중국 대사관 직원이 돌아오다 격리됐다. 전세계를 휩쓸던 에볼라 바이러스 방역 조치였다. 대사관 직원은 대사 환송연에 필참해야 한다며 읍소했다지만 묵살됐다. 대사관측의 항의와 은근한 압력도 소용 없었다. 직원은 몰래 빠져나와 평양으로 내뺐다. 뒤늦게 쫒아온 치안ㆍ방역당국은 평양의 중국대사관을 에워쌌다. 30분간 단전 조치를 당하고서야 중국 대사관은 직원을 내줬다. 센양과 단둥의 대북 소식통이 전해준 북ㆍ중관계의 현주소다. 귀를 의심할 만한 얘기였지만 평양과 베이징 사이에 찬바람 쌩쌩한다는 사례는 한 둘이 아니다. 대사 동정 올리기에 바쁜 중국 대사관 홈페이지 어디에도 신임 리진쥔(李進軍) 대사가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을 만났다는 소식이 없다. 부임한 지 5개월째다. 2013년 시진핑(習近平)지도부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혈맹의 낭만에 젖어있던 북중 관계에 냉정한 현실감을 주입했다. 한반도 전체를 시야에 둔 남북 등거리 외교가 본격화됐다. 북ㆍ중을 묶어주는 ‘항미원조(抗美援朝ㆍ미국을 막기 위해 북한을 지원) 전쟁’ 명칭은 가치 중립적인 조선전쟁으로 개명됐고 2년째 유엔의 대북재제에 보폭을 맞추고 있다. 이런 중국에 “언제 봤냐”며 핏대를 세우는 게 요즘 북한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전에는 이 정도는 아니었다. 2010년 8월 당시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중국으로 나온 김 위원장을 창춘(長春)에서 맞았다. 김 위원장의 건배사에는 생의 불꽃이 사그러가는 노 권력자의 조바심과 절박감이 가득했다. 삼남 정은에게 권력 세습하기로 마음을 굳힌 마당에 좌고우면할 것도 없었다. “나의 큰형이 끝까지 동생의 손을 잡고 조선반도에서 통일을 이뤄내는 데 큰 역할을 해주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이는 역사적 법칙입니다. 우리 모두 형과 동생을 위해 건배합시다(이수혁 전 6자회담 수석대표, 『북한은 현실이다』 ).” 한반도에서 긴장 수위가 올라갈 때 남북을 각각 제어하던 미ㆍ중의 제휴는 이번 지뢰 도발국면에서 미묘한 변화를 드러냈다. 한미 동맹은 북한의 목을 죄는 모양새. 박근혜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을 앞둔 중국은 남북의 자제를 요청하며 중립을 지켰다. 외형상 북중 균열이 비상하게 보이지만 중국의 현상유지 정책 의지가 확고한 이상 일희일비 할 때가 아니다. 한ㆍ미ㆍ일 군사동맹으로 중국을 봉쇄하려는 미국과 이중 약한 고리인 한국을 공략하려는 중국의 전략이 물밑에서 용솟음 치는 마당이다. 남북이 모처럼 잡은 기회가 흔한 기회 같지 않아서 하는 말이다.
정용환 JTBC 정치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