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v’t reneges on a consensus
Published: 03 Sep. 2015, 22:52
FKTU leader Kim Dong-man returned to the commission for negotiations on Aug. 24, with Korea Employers’ Federation Chairman Bahk Byong-won, and Employment and Labor Minister Lee Ki-kweon, under the arbitration of Kim Dae-hwan, who heads the Economic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They agreed to create a separate council to discuss the adoption of a peak wage system in the public sector. But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nterrupted and called off the agreement. The part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ere naturally startled at its interference.
It was the government that set the Sept. 10 deadline for an agreement. The commission was already under pressure to work against a tight schedule. It doesn’t make sense for the Finance Ministry to delay negotiations.
The ministry argued that a separate council within the commission could be abused to spur collective action by the labor sector and slow the government plan to apply the peak wage system in the public sector. Its concerns are understandable, as the union umbrella group can act on behalf of unionized employees at public enterprises. The FKTU, in principle, isn’t opposed to the peak wage system itself, but it is proposing some kind of requirement to mandate that employers use the savings from the peak wage system to add new jobs. The ministry has no solid grounds to oppose the agreement. Labor reform is only possible when each party is willing to yield a little.
The agreement was already set by the labor minister with union representatives and employers. If another government office opposes, it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the government has a single command system and coordinates among offices before a policy decision is made. The Labor and Finance Ministries stand at odds in many areas.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its position before entering negotiations to ensure its credibility in public policy-making.
JoongAng Ilbo, Sept. 3, Page 34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위한 노사정 협상이 교착상태다. 회의 첫 날부터 파행을 겪더니 지금까지 의제조차 제대로 조정이 안 되고 있다. 그 원인을 정부가 제공했다니 어이가 없다.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이기권 고용노동부장관,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지난달 24일 대화를 재개하며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도입과 관련된 원포인트 협의체를 구성키로 합의했다. 그런데 기획재정부가 이 합의를 파기했다. 협상 당사자인 고용노동부는 당황했고, 한국노총과 경총, 노사정위는 할 말을 잃었다. 오죽하면 한국노총의 항의에 경영계가 "반발할 만하다"고 두둔했겠는가. 9월 10일로 협상시한을 못박은 건 정부다. 불과 10일 만에 합의를 도출하라고 압박하는 것도 무리라는 지적이 나오는 판이다. 그런데 대화가 시작되자마자 노사정 합의를 파기하며 협상을 교착상태에 빠뜨리는 건 시한 내 대타협 의지를 의심케 한다. "원포인트 협의체가 노사정위에 구성되면 집단대응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한창 탄력을 받은 임금피크제 추동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게 기재부의 우려다. 집단행동으로 점철된 그동안의 노사관계를 감안할 때 이런 걱정이 이해가 안 되는 건 아니다.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도입 실적이 민간부문을 선도하는 효과를 낸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한국노총이 임금피크제를 반대하는 것도 아니고, "임금피크제로 절감된 재원을 신규채용에 합리적으로 사용할 방안을 강구하자"는 것인데, 합의를 파기까지 할 이유가 있을까. 노동개혁은 실적에 얽매여 신뢰를 팽개치며 그르칠 정도로 간단한 사안이 아니다. 더욱이 고용부 장관이 정부를 대표해 노사와 합의했다. 이를 다른 부처가 반대한다는 건 정부 내 컨트롤타워의 부재를 의심케 한다. 전략은 고사하고 부처 간 협의조차 제대로 안 되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하고 있어서다. 올해 초 협상 때도 고용부와 기재부는 여러차례 갈등을 빚었다. 대타협을 원한다면 정부부터 협상전략을 정리하고, 신뢰를 보여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