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ding the ‘new normal’
Published: 07 Sep. 2015, 03:54
Only about a decade ago, China’s share of the global economy was not significant. But since last year, China’s purchasing power parity (PPP) became high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current exchange rate, China’s gross domestic product is expected to account for 15 percent of global gross domestic product this year. The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comprise about 25 percent. Of course, China’s remarkable rise is the outcome of 10-percent annual growth over the past 30 years, thanks to its steady policy of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since the late 1970s.
It’s easy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gargantuan Chinese economy on the global economy. Since the 2007-2008 financial meltdown and economic crisis originating in the United States, China has managed to keep its rapid growth and served as a locomotive for global economic growth by accounting for 25 percent of the growth. And yet, the Chinese economy grew only 7.4 percent last year, and the outlook is hazy for even 7-percent growth this year. Recently,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estimated that the Chinese economy will grow about 6.8 percent this year.
What we must keep in mind is that the Chinese economy is at a stage of development that requires a new growth paradigm. The new paradigm is now called “xinchangtai,”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new normal.” This concept is also reflected in China’s 13th five-year plan for 2016-2020, an economic roadmap that predicts the country’s growth will slow to an annual 6.5 to 7 percent.
In order to maintain xinchangtai, China must resolve a series of structural problems. The imbalance between domestic demand and exports; a mismatch between investment and consumption; a disparity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and development and income gaps in different regions and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s. In addition, the accumulation of unhealthy debt, the distorted distribution of resource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a general weakening of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need to be addressed. Restructuring in each field has already started, and there is no doubt that the outcome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Chinese economy.
At any rate, the transformation to a new normal for the Chinese economy will surely have an enormous impact on the world’s economy and virtually every country. First, slowed overall growth of the world’s largest commodity importer and oil consumer and its rebalancing of its manufacturing and services industries will pull down prices for raw materials, including oil, which will lead to the devaluation of the currencies of commodity and oil exporters along with capital flight, dealing a substantial blow to them. In Latin America, Brazil and Chile are already feeling the impact, as are Russia and South Africa.
Second, a rebalancing by China as the world’s largest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factory — less emphasis on exports and more on domestic consumption — will also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exporters of intermediary goods and capital goods to China, such as Korea.
The world is now paying close attention to whether China can avoid a hard landing and transition relatively gently to xinchang tai or a new normal of lower growth. I believe there is a slim likelihood of a sudden fall in the economy.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China has stronger fiscal, financial and foreign currency capabilities than other major economies to deal with a crisis. China’s policy makers also maintain a strong level of crisis management ability.
Therefore, the crucial challenge for Korea is how to wisely respond to the China’s xinchangtai and turn it into an opportunity for a better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must create an atmosphere to fully take advantage of the growing demand for services among China’s rapidly growing middle class. To this end, a series of bills pending at the National Assembly, such as a basic law to develop the service industry, must be passed as soon as possible.
At the same time, we must put strategic effort into rebalancing our portfolio of exports in terms of destination because about 25 percent of our exports are concentrated on the China market. The Korea-Japan free trade agreement and Korea’s participation in the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lso should be pushed forward aggressively to meet that goal.
The world’s equity and currency markets are expected to fluctuate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due to the Chinese economy’s xinchangtai and the Fed’s raising of short-term interest rates, which is expected to come at the end of this year and early next year. In such a tough time, we must enforce a policy that can improve the market’s confidence in our economy. That’s another reas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abor market reforms being pushed by the government.
On the eve of the 1997-98 Asian financial crisis, the government hurriedly and loudly pushed for financial reforms and failed while the world was watching us. We must never again repeat such a mistake.
“중국이 재채기를 하면 세계는 조류독감에 걸리게 된다.” 최근 어느 외신 칼럼니스트의 거대 중국 경제의 영향력에 대한 재치 있는 은유(隱喩)이다.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세계 속에서 중국 경제의 비중은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작년에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중국은 이미 미국을 추월했으며, 실제 환율기준 GDP(국내총생산)는 금년에 전 세계 GDP의 15퍼센트 수준(미국은 약 25퍼센트)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물론 이는 1970년대 말부터 추진된 개혁․개방정책에 힘입어 지난 30년 넘게 연평균 10퍼센트에 달하는 고속성장을 이룬 결과이다.
이렇게 덩치가 커진 중국 경제의 향방이 세계 경제에 미치게 될 파장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실제 2007/8년 미국발 금융․경제위기 이후 중국은 고속 성장세를 유지해 전 세계 경제 성장에 매년 평균 25퍼센트를 기여한 세계 경제 성장의 주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그런데 이 중국 경제가 작년에는 7.4퍼센트의 성장에 그쳤고, 금년에는 7퍼센트 대의 성장마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IMF는 금년도 중국 경제 성장을 6.8퍼센트로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유념해야 할 사실은 현재 중국 경제는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하는 발전 단계에 와 있다는 것이다. 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신창타이(新常態) 혹은 뉴노멀(new normal)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는 중국의 제13차 5개년 계획 기간(2016~2020년) 연평균 6.5~7퍼센트의 감속 성장을 내다보는 데에도 반영돼 있다.
물론 이러한 신창타이가 지속되려면 그동안 심화되어 온 내수와 수출의 불균형, 투자와 소비의 불균형,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간 괴리, 지역 및 도․농간 개발과 소득격차, 정부의 금융부문 억압에 따른 부실채권 축적과 자원 배분의 왜곡, 환경 파괴와 지속성장기반의 약화 등 중국 경제의 구조적 제반 문제를 적절히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각 분야별 구조조정 노력은 이미 일부 추진되고 있으나 그 성패가 중국 경제의 미래를 결정하게 될 것은 자명하다.
어쨌든 이러한 중국 경제의 신창타이로의 전환이 세계 경제에 미치게 될 파장은 무척 클 것이 분명하다. 우선 세계 최대 원자재 수입국 내지 원유 소비국으로서 중국의 감속 성장과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재균형 등 구조조정에 따라 세계 주요 원자재 및 원유 수출국에게 가격 하락과 이들 나라의 통화가치 평가절하와 자본유출을 통해 일차적 타격이 가해질 것이 분명하다. 이미 남미의 브라질과 칠레에서부터 러시아와 남아프리카에 이르는 원유․원자재 수출국들이 그 타격을 받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 제조․가공공장으로서 중국 경제의 대내외 재균형 혹은 수출과 내수와의 재균형은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중국 중간재 및 자본재 수출국에게도 상당히 큰 파장을 미치게 될 것도 분명하다.
그러나 현재 세계인의 관심사는 과연 중국 경제가 소위 경(硬)착륙을 피하고 신창타이로의 연(軟)착륙에 성공할 수 있느냐에 있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중국 경제의 갑작스러운 추락의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무엇보다 현재 중국은 위기에 대응해 활용할 수 있는 재정․금융․외환 정책 여력이 여타 주요국에 비해 클 뿐 아니라, 중국 정책당국의 위기대응 능력 또한 상당한 수준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중요한 일은 이러한 중국 경제의 신창타이에 적절히 대응하고 나아가 이를 오히려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지혜를 발휘하는 것이다. 우선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중국 중산층의 서비스 수요와 중국 내수시장을 더 잘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여건 조성이 시급하다. 이런 측면에서도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경제활성화법의 조속한 처리가 중요하다.
이와 동시에 현재 중국 시장에 지나치게 기울어져 있는 우리 수출(거의 25퍼센트)의 지역 포트폴리오의 재균형을 위한 전략적 노력도 펼쳐야 한다. 한․일 FTA 협상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적극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계 금융․외환시장은 중국 경제의 신창타이와 금년 9월은 아니더라도 금년 말이나 내년 초에 예상되는 미국 연준(Fed)의 단기 금리 인상으로 앞으로 상당기간 조정과 등락이 지속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때일수록 우리는 한국 경제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믿음직스러운 정책을 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정부가 대내외에 공표하고 추진 중인 노동시장 개혁을 빠른 시일 내에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또 다른 이유이다.
1997/8년 아시아 금융위기와 우리의 환란(換亂) 직전에 세계인의 주목을 받으며 부산하게 추진했던 우리 정부의 금융개혁 실패의 우(愚)를 이번에는 되풀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