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ercussions from Volkswagen saga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Repercussions from Volkswagen saga

In the late 19th century, England was troubled with counterfeit goods. An underdeveloped country in Europe labeled their goods falsely as “Made in England.” The Merchandise Marks Act was passed in 1887, but still, goods were marked as British while packaging indicated the true origin. The goods that were merely assembled in England claimed to be “Made in England,” while most of these falsely labeled products originated from Germany.

Britain was the leader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superior technology was used to make renowned cars such as Bentley, Jaguar and Rolls Royce. Volkswagen’s legend couldn’t have been possible without Britain’s involvement. After World War II, the British army reopened the German military vehicle factory from devastation and produced the “Beetle.”

Only US-made vehicles can compete in Nascar races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of the British cars. In the 1954 race, Jaguar drivers got the first, fourth, fifth and sixth places, and foreign cars were not allowed to compete after that event. In the 1950s, Great Britain was the largest automobile exporter.

But in the 1970s, British cars declined suddenly. They adhered to old fashioned designs and set up factories in remote villages with not many skilled workers. So, even new cars needed repair right away. The most critical problem was the chronic labor conflicts. They frequently went on strike.

America’s “big three” car makers, GM, Ford and Chrysler, experienced the same fate. The unions pressured the companies to pay medical insurance and pension for retirees, which added up to $10 billion. It practically added $1,500 to each vehicle they made, and they could not compete with Japanese and European rivals.

The latest Volkswagen scandal can actually benefit the Korean economy. In fact, Hyundai-Kia Motors’ sales in the United States increased by 17.8 percent last month, the highest rate in history. Hyundai-Kia Motors’ market share in Korea is 64 percent, and may be the only country where a single car maker has such a dominant presence. And this company is swayed by a union whose members’ average salary is 90 million won.

It takes 15.4 hours for a Hyundai Motors factory in the United States to produce one car, while it takes 30.5 hours in a Korean factory. But the hourly wage is $39 in the United States and $40 in Korea. Korea’s productivity is subpar. Yet, the union demands 7.84 percent raise in base salary and an extension of retirement age to 65. When demands were not accepted, union members went on a strike for three days, resulting in a 200 billion won loss.

Many Koreans feel pressured to use Korean products. But even Korean cars won’t sell if they are not worth the price.

It is worrying that the Volkswagen scandal will affect the good image of imported vehicles that are challenging the apparent monopoly of Korean cars.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5, Page 35


by NAM JEONG-HO



19세기 말 영국에서 짝퉁 문제가 불거졌다. 유럽 한 후진국에서 영국제로 속인 가짜가 쏟아진 탓이다. 제조국을 쓰게 한 상표법이 제정됐지만 소용 없었다. 포장엔 원산지를 쓰고도 물건엔 영국제라 적는 일이 숱했다. 조립만 영국에서 하곤 ‘Made in England’라 우기기 일쑤였다. 이 뻔뻔한 짝퉁 왕국은 다름 아닌 독일이었다. 산업혁명의 기수인 영국은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벤틀리·재규어·롤스로이스 등 명차를 생산해 냈다. 폴크스바겐 신화도 영국 없인 불가능했다. 2차대전 종전 이후 잿더미가 된 독일 군용차 공장을 추슬려 딱정벌레차 '비틀'을 생산한 것도 영국군이었다.
미국의 자동차경주대회 ‘나스카’에 국내산 차만 나갈 수 있는 것도 영국 차 때문이었다. 54년 대회에서 재규어가 1·4·5·6등을 휩쓸었던 거다. 50년대 최대 자동차 수출국도 영국이다. 이랬던 영국 차는 70년대 이후 돌연 멸종한다. 촌스러운 디자인 고집 등 판단 잘못도 많았다. 벽촌에 공장을 세우는 바람에 조립할 줄 아는 숙련공이 부족, 새 차를 사도 당장 고쳐야 할 정도였다. 하지만 결정타는 고질적 노동쟁의였다. 툭하면 파업에다 한 업체에 노조 10여개가 난립했다.
GM·포드·크라이슬러 등 미국 빅3가 망한 배경도 비슷했다. 노조 압력으로 100억 달러가 넘는 퇴직자의 의료보험료와 연금까지 평생 내줘야 했다. 차 한대당 1500달러의 원가가 추가되는 꼴이었다. 그러니 일본·유럽차를 당할 리 없었다. 최근 터진 폴크스바겐 사건은 우리 경제에 득 될 수 있다. 실제로 지난달 현대기아차의 미국 내 판매가 역대 최고인 17.8%나 늘었단 소식이다. 하지만 부작용도 심할 거다. 현대기아차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64%. 이처럼 특정 자동차업체의 비중이 높은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더구나 이 회사는 평균연봉 9000만 원이 넘는 현대차 노조에 휘둘리고 있다. 같은 현대차 공장이라도 대당 생산시간은 미국 15.4시간, 국내 30.5시간이다. 반면 시간당 임금은 미국 39달러, 한국 40달러다. 국내 생산성이 형편없단 얘기다. 그런데도 노조는 기본급 7.84% 인상에 정년 65세 연장을 주장한다. 요구가 안 먹히자 추석 전 3일간 파업해 2000억 원의 손해를 냈다. 아직도 국민 상당수는 국산품 애용이란 강박감에 짓눌려 있다. 하지만 아무리 국산차라도 제값 못하면 덜 팔리는 게 순리다. 폴크스바겐 사태로 그나마 독점 피해를 완화했던 수입차의 순기능마저 줄까 걱정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