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nual event, an annual letdow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n annual event, an annual letdown

Around this time last year, another reporter asked me if his story would make for interesting news. He was researching the Nobel Prize and found out that there was a Nobel laureate born in Korea other than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who received the Nobel Peace Prize in 2000. Norwegian-American scientist Charles Pederson won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in 1987. He was born in Busan in 1904, while his father was working in Korea, and lived here until he was 8.

The reporter was worried readers might find the story irrelevant since it was the only tie Pederson had to Korea. But the story was published and garnered considerable attention. After all, Koreans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Nobel Prize.

Over the past few years, scientist Charles Lee has been mentioned as a potential recipient for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The director of the Jackson Laboratory, Lee is an international authority in genome research. He was introduced as a promising candidate in the Korean media this year as well.

But he is not Korean. While he was born in Seoul to Korean parents, his family immigrated to Canada when he was just an infant. But some articles emphasize his ethnic background and state that he uses a Gyeongsang dialect when he speaks in Korean.

The government would never fail to miss such mass desperation. In 2008, the Ministry of Education commissioned a study to a university research center and published a 189-page report titled, “Analysis and Approach Strategies of the Nobel Prize in Science.” It proposed a strategy for a Korean scientist to win the Nobel Prize and contained ways in which we could support scientists up for other prominent awards, like the Wolf Prize or the Lasker Awards. It also encouraged young scientists to become regular members of renowned academic societies before turning 40. Even considering the desperation, this “strategic” approach is quite embarrassing.

The annual announcement listing the year’s Nobel Prize winners has become a sore point for Korea - like when your favorite baseball team fails to move on to the post-season or the colder weather signals the year’s end.

We try to console ourselves, claiming that the prize is not about national pride, but it may as well be a defense mechanism. Fortunately, or unfortunately, this national sense of dejection will subside after more attention is paid to supporting basic sciences. The anticipation, disappointment and oblivion come and go every year.

The author is the deputy national news editor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7, Page 35

by LEE SANG-EON



지난해 요맘때 후배 기자가 “이 게 기사가 될까요?”라고 물어왔다. 노벨상 관련 취재를 하다 우연히 김대중 전 대통령(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 말고도 한국에서 태어난 노벨상 수상자가 한 명 더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는 얘기였다. 주인공은 1987년에 노벨화학상을 받은 노르웨이계 미국인 찰스 피더슨(1904∼1989)이었다. 그는 부친이 구한말에 한반도로 일하러 오는 바람에 부산에서 태어나 8세까지 이 땅에서 산 것으로 확인됐다. 그 후배는 독자들이 “그래서 뭐?”라는 반응을 보이지 않겠느냐고 걱정했다. 한국과의 인연은 그게 전부였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논의 끝에 결국 기사가 게재됐는데 제법 화제가 됐다. 한국인의 노벨상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그만큼 크다. 최근 몇 해 노벨상 발표가 다가올 때마다 주목받는 인물이 있다. 유전체(지놈)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찰스 리(46) 미국 잭슨랩 소장이다. 올해도 국내 여러 언론이 ‘수상 가능성 있는 한국인’이라는 설명을 붙여 유력한 후보로 소개했다. 그런데 그는 한국인이 아니다. 한국인 부모에게서, 서울에서 태어나기는 했지만 한 살 때 가족와 함께 캐나다로 이민갔다. 당연히 국적은 캐나다다. 그가 한국말을 할 때 경상도 사투리를 쓴다는 것까지 알려주며 ‘혈통’을 강조하는 기사도 있다. 이런 집단적 간절함을 정부가 그냥 지나칠 리 없다.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는 한 대학 연구소에 연구 용역을 맡겼다. 그리하여 『노벨과학상 분석 및 접근전략 연구』라는 189쪽의 긴 보고서가 만들어졌다. 결론으로 ‘한국인 노벨과학상 수상자 배출을 위한 전략’이 제시됐다. 울프상ㆍ래스커상 등 노벨상에 버금가는 국제적 상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을 발굴해 지원하고, 젊은 학자들이 40세 이전에 유명 학술 단체의 정회원으로 가입하도록 유도한다는 ‘요령’이 담겼다. 궁여지책임을 감안해도 낮 간지러운 ‘전략적' 접근이다. 노벨상 수상자 발표는 응원하는 프로야구팀의 포스트시즌 탈락이나 차가워진 공기가 한 해의 끝을 예고하는 것과 함께 가을의 상실감을 자극하는 연례행사가 됐다. ‘국가적, 국민적 자존심이 걸린 일은 아니지 않은가.’ 이런 마음을 먹어보지만 못 먹는 포도를 신 포도라고 말하는 부정의 자기보호 같아 역시 씁쓸하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분간이 어렵지만 이 국민적 박탈감은 며칠 뒤면 기초과학 육성에 대한 ‘반짝 관심’과 함께 사그라질 것이 분명하다. 매년 그랬던 것처럼.

이상언 사회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