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s from the Syrian crisi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Lessons from the Syrian crisis

Korea can learn so much from the Syrian crisis as our foremost goal is reunification. The direct cause of the Syrian refugees’ migration is the civil war against President Bashar al-Assad and the violent crackdown on protests. As a result, 1.1 million Syrians, about half of the country’s population, are estimated to have become displaced within the country and abroad. The Syrians are fleeing through Greece and Italy and have crossed the Dover Strait to the United Kingdom.

The Syrian crisis can be summarized as tyranny and oppression leading to civil war, consequent destruction of the livelihoods of the people, and the emergence of Islamic State, followed by large-scale escape. Let’s look at North Korea. While Syria and North Korea cannot be compared directly, if sudden change in the North results in large-scale displacement, we don’t have clear solution.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Unification, 28,000 North Korean defectors entered the South as of June 2015. The number is negligible compared to Korea’s population of 51 million. However, the government budget for assisting defectors is not enough to help them adjust to Korean society. The defector support program was changed when 468 defectors arrived from Vietnam on a chartered plane in 2004. According to a government source, the previous method of offering a 36 million won resettlement grant unconditionally was changed after the mass entry to phased aid for those receiving certifications and vocational training. He added that the new program encourages the defectors to get jobs, but also reflects budget constraints.

If North Korea experiences a sudden change and the government loses control, refugees will first escape to Korea and Japan. If refugees grow in number, Mongolia and Southeast Asia, now parts of the defection route, will be affected. Even if Korea blocks off the border, there is no realistic means to prevent people from coming by boat. And how can we turn away fellow Korean people who choose South Korea or death?

There are more lessons to be learned from Syria. After North Korea’s fall, there is no guarantee that Korea will control the entire peninsula. Recently, Russia sent its military to Syria to fight IS. It is a strategy to help pro-Russian al-Assad and to strengthen Russia’s influence in the region. There is no guarantee that China won’t send troops to North Korea to build a pro-China regime, with the justification of checking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ould protest, there is no clear way to force China out once they comes in.

We should not assume that a sudden change in the North would bring stability and re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Just as we’ve seen in Syria’s case, the situation may develop into crisis.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17, Page 26

by CHAE BYUNG-GUN


시리아 사태는 통일을 최상위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에게도 시사점이 많다. 먼저 지구촌을 뒤흔드는 시리아 난민이 발생한 직접적인 원인은 자국민에 악행을 저지른 알 아사드 정권 치하에서 벌어진 내전이다. 이로 인해 시리아 인구의 절반인 1100만명이 나라 안팎에서 난민으로 떠도는 것으로 추산된다. 난민 행렬은 그리스ㆍ이탈리아를 지나 도버 해협을 건너 영국으로 밀려들어갔다. 시리아 사태는 폭압적 정권→주민 탄압→내전→민생 붕괴→또 다른 적대세력 등장(이슬람국가,IS)→대규모 탈출로 요약될 수 있다. 시선을 바꿔 북한으로 향해 보자. 시리아와 북한을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북한의 급변 사태로 대규모 난민이 발생할 경우 마땅한 해결 방법을 찾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통일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입국한 북한 이탈 주민은 2만8000여명이다. 한국의 전체 인구 5100만명에 비하면 새발의 피다. 그럼에도 빠듯한 정부 예산으로는 이들의 완벽한 한국 사회 적응을 돕는게 충분하지 않다. 새터민 지원대책은 2004년 베트남에서 전세기로 468명이 집단 입국하며 바뀌었다.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무더기 입국’의 여파로 약 3600만원의 정착지원금을 조건 없이 나누어 주던 방식을 바꿔 이중 일부를 자격취득과 직업훈련을 할 경우 순차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 소식통은 “새터민들이 일자리를 갖도록 독려하는 측면도 있었지만 예산 문제도 있었다”고 귀뜸했다. 북한 급변 사태로 정권의 통제력이 붕괴돼 난민이 발생하면 1차 탈출구는 한국과 중국이고 이어 일본 밀항 등으로 번진다. 난민 규모에 따라선 탈북자의 루트인 몽골과 동남아도 북한 사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급변 사태후 3ㆍ8선을 막아버린다 한들 서해의 강화도와 동해의 고성으로 밀려 들어오는 보트 피플을 차단할 수단과 명분은 현실적으로 없다. 남한 아니면 수장을 택하겠다는 동포를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는가. 시리아의 교훈은 난민에만 있는게 아니다. 북한 급변 사태후 한국이 한반도 전역의 통제권을 행사하리라는 보장이 없다. 러시아는 최근 IS 격퇴를 명목으로 시리아에 군 병력을 들여 보냈다. 누가 봐도 친러 정권인 알 아사드 대통령 구하기이고, 장기적으로는 러시아의 중동 영향력 굳히기 전략이다. 북한 급변 사태후 중국이 북한 핵이 위험하다는 명목으로 북한에 병력을 전격 투입해 친중 정권 구축에 나서지 않으리라는 법이 있는가. 미국ㆍ일본 등 국제 사회가 흥분하겠지만 일단 들어가면 강제로 내보낼 방법이 마땅치 않다. 한국은 난민만 받고 3ㆍ8선은 그대로 유지되는데 주변국은 결국 여기에 눈을 감는 참담한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북한 급변 사태는 핵 개발을 고수하는 김정은 정권을 겨냥한 최후의 카드다. 하지만 북한 급변 사태가 반드시 한반도 안정과 통일을 가져오리라 단정하면 곤란하다. 오히려 시리아 사태처럼 대량 난민과 외세 유입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