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ueezed between the U.S., China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Squeezed between the U.S., China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visit to the United Kingdom can be summed up with a photo showing him and British Prime Minister David Cameron having beer at a pub. It conveyed the message that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so solid that formality is not necessary.

China is courting the United Kingdom, the U.S.’s global strategic partner, by pouring 40 billion pounds ($61 billion) in investment and trade. London must be sensitive that Washington feels uncomfortable with Beijing’s gesture.

Xi and Cameron were drinking a Green King IPA, or India pale ale, a type of beer sent to the Brits living in India during the colonial days. To prevent the taste from changing while traveling and preserve the quality, the beer was prepared using more hops and a higher alcohol content. IPA is known for its unique bitter taste and aroma.

Coincidentally,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experiencing a subtle clash in the South China Sea. Washington has made security investments in India for over a decade to prepare for a possible confrontation with China. To check on China’s advancement into the Indian Ocean, the United States and India have beefed up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The United States sold its aircraft takeoff system on a carrier to India and is providing assistance with the design. It is intended to deter China’s challenge by sending the message that controlling the South China Sea is meaningless.

However, the competition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over these strategic maritime routes is not likely to be limited to the South China Sea. While the gap in naval and air force strength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obvious, the tension in the South China Sea is sporadic. But Taiwan is a whole different story.

The Taiwanese presidential election is coming up in January, and the shift in power from the Kuomintang, which initiated reconciliation with China, to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which advocates Taiwan’s independence, is very likely. A Taiwanese reporter with whom I became friends while working as a Hong Kong correspondent recently showed me his passport. Among the young Taiwanese, it was a trend to put the label “The Republic of Taiwan” on the passport cover that says “The Republic of China.” Many of them ar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supporters. Once the party takes power, confrontational policies against China are likely to gain momentum.

The Taiwan issue applies more pressure on Xi’s leadership than that of the South China Sea. The Obama administration is also closely watching the situation in Taiwan. Now, the main field of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going to be the Taiwan Strait, and when tension elevates in this waterway where more than 90 percent of strategic commodities pass through, Korea and Japan will be directly affected. The upcoming trilateral talk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re not, in fact, so far removed from our daily lives.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at JTBC.

JoongAng Ilbo, Oct. 29, Page 34

by CHEONG YONG-WHAN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영국 방문 성격은 펍(영국 전통 선술집)에서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와 맥주를 나누는 ‘이 한 장의 사진’에 압축돼 있다. 양국의 우의가 격식 차리지 않을 정도로 깊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중국은 양국간 투자무역에 400억파운드(70조원)를 쏟아부으며 미국의 세계전략 파트너 영국을 공략 중이다. 이런 중국의 광폭 행보에 심기 불편한 미국이 신경 쓰이기는 영국도 마찬가지일 터. 두 정상이 마신 맥주는 ‘그린 킹 IPA’였다. IPA계열 맥주는 식민지였던 인도의 영국인들에게 보내던 맥주에서 유래했다. 아열대를 통과하면서 맥주 맛이 변질되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코올 도수를 높이고 홉의 양을 늘렸다. 특유의 쓴맛과 향이 탄생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인도를 연상시키는 맥주를 나누는 시진핑ㆍ캐머런의 사진을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지 궁금하다. 공교롭게도 미중은 남중국해에서 미묘한 파열음을 내고 있다. 미국은 이 바다에서 중국과의 대결 국면에 대비해 10여년 전부터 인도에 안보 투자를 해왔다. 남중국해를 거점으로 인도양까지 넘보는 중국을 차단하기 위해 미국ㆍ인도는 해양 안보 협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은 최첨단 기술력의 상징인 항공모함 함재기 발진 장치를 인도에 팔고 설계까지 도움을 주고 있다. 인도양 입구부터 틀어막아 ‘남중국해의 제해권을 잡아봐야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는 메시지로 중국의 도전을 단념시키겠다는 포석일 것이다. 문제는 전략수로를 둘러싼 미중의 경쟁이 남중국해로 끝날 일이 아니라는 데 있다. 시진핑 지도부 들어 절대 물러설 수 없는 핵심이익으로 굳어진 대만 문제로 언제 불똥이 튈지 모르기 때문이다. 미중간 해ㆍ공군력 격차가 엄연한 이상 먼바다인 남중국해에선 긴장의 파고만 오르락 내리락 반복하다 말겠지만 대륙에 바짝 붙어 있는 대만은 차원이 다르다. 내년 1월 총통선거를 앞두고 양안(중국ㆍ대만) 해빙무드를 주도했던 국민당에서 대만 독립을 주장하는 민진당으로 정권 교체가 유력시되고 있다. 홍콩특파원 시절 알고 지낸 대만 기자가 얼마 전 보여준 여권이 있다. 대만의 젊은층에선 중화민국이라는 호칭이 찍힌 여권 표지에 ‘대만국(Republic of Taiwan)’스티커를 붙이는 게 유행이라고 한다. 이들 상당수가 민진당 지지자들과 겹친다. 민진당이 정권을 잡게 되면 대륙과 각을 세우는 특유의 정책들이 봇물 터질 것이란 관측이 무성하다. 대만 현안에 대해선 남중국해보다 더 압박을 느낄 수 밖에 없는 게 시진핑 지도부다. 오바마 행정부도 서태평양 안보 전략의 핵심축인 대만의 정국 변화를 눈여겨 보고 있다. 앞으로 미중간 전략 경쟁의 본무대는 대만해협이 될텐데, 원유 등 전략물자 90% 이상이 운송되는 이 수로에서 갈등의 파고가 높아지면 직격탄을 맞는 건 우리와 일본이다. 곧 있을 한ㆍ중ㆍ일 정상회담과 한ㆍ일 정상회담이 우리의 일상과 먼 얘기가 아닌 것이다.
정용환 JTBC 정치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