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ge of little emperor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age of little emperors

There once was an economist who dared to argue with Mao Zedong. At the 1954 National People’s Congress, Peking University President Ma Yinchu warned that China would be faced with a crisis if it failed to control population growth.

In 1957, he published a paper titled “New Population Theory” in the People’s Daily and proposed a family planning policy. It was directly against Mao’s theory that population means power. In a socialist system, which pursues abolition of the capitalist class, labor i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value creation, and the number of workers, or population, is greater the better, according to Mao.

The Malthusianism principle, which states that uncontrolled population growth is exponential while the growth of the food supply is arithmetical, was considered a theory that justified exploitation of the working class. Ma was removed from the post at the university and suffered persecution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for being a rightist.

Just as Mao advocated, China’s population increased drastically, from 500 million in the 50s to 700 million in 1964 to 900 million in 1974. It was hard to meet the food demand, so China introduced an extreme measure unprecedented in human history: the one-child policy.

In the end, Beijing went with Ma Yinchu over Mao Zedong. In 2007, the Chinese government held an official event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the New Population Theory.

And the one-child policy has been abolished after 35 years at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8th Communist Party of China Central Committee. Now, all Chinese people can have two children, which had only been allowed to families with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ethnic minorities.

As the one-child policy was implemented for more than a generation, the population structure has become extremely distorted.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s dwindling while the number of seniors to be supported by the young generation is rapidly growing, a warning sign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over-indulgent little emperors have become a problem as well. While young Chinese are not to be criticized as a whole, even Chinese people admit that the generation who has monopolized the love of maternal and paternal grandparents as well as their parents are relatively egocentric and lack tolerance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that grew up with siblings.

While the one-child era is gone now, the age of little emperors begins. The first children born during the one-child policy are now in their mid-30s, and will soon lead China.

Hopefully, the Chinese little emperors won’t try to rule the world using their swiftly growing power.

The author is the Beijing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31, Page 30

by YEH YOUNG-JUNE




감히 마오쩌둥(毛澤東)과 논전을 벌인 경제학자가 있었다. 마인추(馬寅初) 베이징대 총장은 1954년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인구 증가를 억제하지 못하면 중국은 위기에 빠진다”고 경고했다. 57년엔 인민일보에 ‘신인구론’이란 제목의 논문을 싣고 계획출산을 제안했다.
'인구=힘'이란 마오의 지론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자본가 계급의 소멸을 지향하는 사회주의 채제에선 노동이 가치 창출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므로 노동력의 수, 즉 인구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본 게 마오의 논리였다.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맬더스의 인구론은 착취를 정당화하는 이론으로 몰렸다. 마 총장은 베이징대에서 쫓겨났고 문화대혁명때는 우파 분자로 몰려 수난을 겪었다.
마오의 지론대로 중국 인구는 급격히 늘었다. 50년대까지 5억이던 인구는 64년엔 7억, 74년엔 9억이 됐다. 먹는 문제조차 해결하기 어려워진 중국은 극약처방에 나섰다. 인류사에 전무후무한 한자녀 정책이었다. 결국 마오보다 마 총장의 노선을 택한 셈이다. 중국 정부는 2007년에 신인구론 발표 5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런 내력을 가진 한자녀 정책이 35년만에 공식 폐기된다. 엊그제 끝난 중국공산당 18기 3중전회의 결정에 따라서다. 소수민족 등 특수한 사람에게만 인정되던 두자녀 갖기가 모든 중국인에게 가능하게 됐다. 이는 한자녀 갖기가 한세대 이상 지속된 결과 인구구조가 극심하게 왜곡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경제활동인구는 줄고 이들이 부양해야 할 고령자 인구는 급속히 늘어나 국가경쟁력에 빨간 불이 켜졌다.
지난 35년간의 한자녀 정책으로 인구폭발에 따른 재앙은 막았지만 부작용 또한 적지 않았다. 종족보전이란 인류의 원초적 본능을 제한한 것이니 영원히 지속할 수 있는 정책은 아니었다. 최근엔 장성한 외아들이나 딸을 사고나 질병으로 먼저 잃은 노부모를 뜻하는 실독자(失獨者)들의 불행도 자주 언론매체에 회자된다. 국가정책에 순응하다 결국은 의지할 자녀가 없게된 실독자는 국가가 부양해 줘야 한다는 논의도 있다.
소황제(小皇帝)의 폐해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다. 중국의 젊은이들을 싸잡아 비난할 생각은 없지만, 부모·조부모·외조부모의 사랑을 독점하며 응석받이로 자란 세대들이 형제들과 부대끼며 자란 이전세대에 비해 자기중심적이고 포용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는 중국인 스스로 인정하는 바다. 이런 기질이 집단적으로 발현되면 내셔널리즘으로 치우칠 수 있다.
한자녀 시대는 사라지게 됐지만 소황제의 시대는 지금부터다. 30대 중반으로까지 성장한 소황제 세대가 머잖아 중국 사회를 이끌게 된다. 그런데 그 시기가 중국이 세계의 중심국가로 부상한 때와 겹친다. 소황제로 자란 이들이 중국의 중추세대가 되는 날 어떤 현상이 나타날지 궁금해진다. 중국의 소황제들이 비약적으로 커진 국력을 등에 업고 지구촌의 진짜 황제로 군림하려 드는 일만은 없어야 할텐데…

예영준 베이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