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 insensitive, too generou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oo insensitive, too generous

Not so long ago, I had lunch with staff at the Japanese Embassy in Korea and the Seoul correspondents of Japanese newspapers. When I asked them wha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s, their initial response was ambiguous, a typical reaction as the Japanese are known for being reluctant to express true feelings. Then, one quietly said, “Korea and Japan are mostly similar, except for the fact that Japan is a little quieter.”

Some Koreans may find it shocking, as they are appalled by the loudness of the Chinese. But from the Japanese point of view, both Koreans and Chinese don’t care about the people around them and are insensitive to noises. The noises that Koreans don’t notice insensitively, or endure despite unpleasantness, are nearly torturous to the Japanese.

Some taxi drivers keep the radio volume high whether there is a passenger or not. Some people talk on mobile phones in subways, sometimes using speaker mode. Some use portable speakers and MP3 radios on hiking and walking trails, enjoying music whether others like it or not. These noises have become a natural part of our lives.

Recently, I had an awkward experience while walking the tree-lined trail to a temple in a national park in Gangwon. I didn’t expect to be faced with disturbance while breathing the clean air and clearing my mind on a “path of healing and meditation.” A monk was singing and playing the guitar to raise funds, and he had a speaker to amplify his music very loudly. I had to rush to get as far away as possible.

The culture of lacking consideration for others allows people to do whatever they want to do to be happy.

One of the notable scenes in a society insensitive to noise is the National Assembly disturbed by the government-authored textbooks controversy.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pour out their positions without discussions or talks. The leaders of the Saenuri Party and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issue statements and remarks at morning meetings every day. And the reporters take nearly 10,000 words of notes. However, they are reading scripts prepared by aides and try to speak longer than the other side. So not a single sentence of the 10,000 words is relevant and worthy of reporting. Sometimes, a meeting ends after a 40-minute introductory remark.

While the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a decades-long tradition of “agenda-setting and message promotion through morning meetings,” I wonder if there is any other country where political leaders pour out 10,000 words every morning. When Moon Jae-in became chairman of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in February, he attempted to change the convention of producing “meaningless noises.” But he had to give up, as some argued that they had become Supreme Council members to have the chance to give introductory remarks. Koreans have become too sensitive, and generous, about the noises at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streets, inside taxis and on hiking trails.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Nov. 6, Page 34

by SEO SEUNG-WOOK



얼마전 주한 일본 대사관 직원들, 일본 신문의 서울 특파원들과 점심식사를 했다. 그들에게 ‘한국과 일본을 비교하면 무엇이 가장 다른가’를 묻자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일본인들답게 똑 부러지는 대답이 안나왔다. 그때 특파원 한 명이 조용히 입을 열었다. "일본이 좀 조용한 걸 빼면 비슷해요"라면서다. 중국인들을 "시끄럽다"고 낮춰보는 일부 한국인들에겐 충격이겠지만 일본인들 관점에선 ‘주변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소음에 둔감하다'는 점에서 한국인이나 중국인이나 ’거기서 거기‘,도긴개긴이다. 우리가 무신경하게 지나치거나,불쾌하지만 참고 사는 생활속 소음이 그들에겐 거의 고문(拷問)이기 때문이다. 손님이 있거나 말거나 트로트 음악이 나오는 라디오 불륨을 끌까지 올리는 일부 택시 기사님들, 지하철안에서 휴대폰을 부여잡고 집안내 시시콜콜한 대소사를 승객들에게 강제홍보하는 이들(가끔씩은 스피커폰 모드로 만행을 저지르는 사람들까지 있다),남이야 불쾌하든 말든 등산로·산책로에서 '휴대용 스피커','효도 mp3 라디오'로 음악감상 취미생활을 만끽하는 사람들…. 이들은 이제 우리 생활의 자연스러운 일부가 돼버렸다. 최근엔 강원도의 한 국립공원에서도 황당한 일을 겪었다. 국보급 유명 사찰로 향하는, 잘 꾸며진 나무숲 길을 걷고 있었다.
깨끗한 공기를 마시며 머릿속의 근심을 비우는 '치유와 사색의 길'에서까지 복병을 만날 줄이야. 숲길 한가운데에서 기타를 들고 모금 활동에 나선 스님의 노랫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쩌렁쩌렁 울렸고, 필자는 기겁을 하며 발길을 재촉했다.
모두 '나 하고 싶은대로 하고,나만 감동받고 행복하면 그만'이라는 배려없는 문화가 만들어낸 풍경들이다. 소음 둔감증을 겪는 한국 사회의 대표적인 현장이 요즘 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으로 시끄러운 여의도 국회다.
여야는 토론이나 대화없이 자기주장만 쏟아내고 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아침 회의때마다 뱉어내는 발언과 담론의 수준이 높을 리 없다. 막내 기자들이 노트북 컴퓨터로 받아적는 발언의 분량은 매일 1만자에 가깝다. 하지만 보좌관들이 써준 원고를 그저 읽어내려가고, 옆사람보다 한마디라도 더 길게 발언하려고만 드니 그 1만자 중 귀담아 들을 얘기는 한 문장도 건지기 어렵다. 심지어 40분동안 모두 발언만 하고 회의를 끝내는 경우도 있다. '아침 회의를 통한 어젠다 설정과 메시지 홍보'가 수십년째 이어져온 한국 정당의 특징이라지만, 공당의 지도부가 아침마다 1만자의 말을 쏟아내는 나라가 이 세상에 몇 개나 있을까 싶다. 지난 2월 대표에 취임한 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도 '의미없는 소음'만 양산하는 구태에 칼을 대려 했다. 하지만 "모두발언을 하고싶어 내 돈쓰면서 최고위원에 출마했는데 무슨 소리냐"는 일부의 반발에 결국 뜻을 접고 말았다. 국회에서,길거리에서,택시안에서,등산로에서, 우리는 소음에 너무 둔감하고 관대하다.
정치국제부문 차장 서승욱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