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ween Washington and Mao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Between Washington and Mao

In Hong Kong, Chinese yuan can be used at supermarkets, luxury boutiques and even in taxis. While the official currency is the Hong Kong dollar, which is pegged to the U.S. dollar, Hong Kong is virtually within the renminbi zone.

If you pay taxi fare in Chinese yuan, the driver will thank you passionately, as he can gain profit by exchanging 100 yuan for 120 Hong Kong dollars.

It was just the opposite 10 years ago. Back then, if you used Hong Kong dollars in Shenzhen, China, the driver would be very pleased. The power of the yuan can be confirmed in taxis in Pyongyang. As Chinese capital flew into Pyongyang, the Chinese yuan is welcomed more than North Korean currency.

The bills with Mao Zedong’s portrait are supported by the economic strength of manufacturing and trade. Soon, it is expected to be included in the special drawing rights basket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hile the basket is a currency on paper only - not used in real trade - it recognizes the renminbi as one of the supplementary foreign exchange reserve assets, boosting the reputation of the Chinese economy. It is a triumph in six years since China joined the currency war in 2009. China’s influence is rapidly growing globally.

As soon as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returned from his U.K. visit, which resulted in a 70 trillion won ($60 billion) trade and investment agreement,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and French President Francois Holland dashed off to China.

Countries are asking China to make investments in them to take advantage of its $3.5 trillion foreign currency reserve. The public criticized U.K. Chancellor of the Exchequer George Osborne for trying to invite Chinese capital to complete a nuclear power plant whose construction had been halted due to budget constraints, as reported in the Sept. 26 issue of The Economist.

The Economist warned in an article titled “The Osborne Doctrine” that the trend of depending on China was not an individual incident. Considering Osborne’s position as the No. 2 in the Conservative Party and potential successor to David Cameron, the United Kingdom may become estranged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y country that has economic connections with China suffers from a clash between those who find opportunities from China and those who see China as a threat.

Australia has enjoyed a boom for 20 years thanks to China’s exponentially growing energy demand. In a defense white paper, Australia called the United States the best partner in security traditionally. Yet, the white paper mostly discusses the existential issue of how to get along with China, the primary partner in economy as pointed out by Ian Morris, an American historian, in his book “War! What is it Good for?”

Could making a choice in the dilemma over the discord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South China Sea be inevitable? Picking one of them is not just Korea’s problem. When it is a global phenomenon, Korea is not the only country to be pressured to take a side. Could we find an answer to the conundrum by betting on the new mindset that it’s not a question of choosing one?

The author is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at JTBC.

JoongAng Ilbo, Nov. 19, Page 34

by CHEONG YONG-WHAN


홍콩에선 대형 마트나 명품 상점 심지어 택시에서도 위안화가 통용된다. 달러와 연동되는 홍콩달러(HKD)가 있지만 거의 위안화(RMB)경제권이라고 봐도 무방해졌다.
택시 요금을 같은 액수의 위안화로 주면 요란한 감사 인사까지 따라올 정도다. 100위안이면 120홍콩달러로 바꿀 수 있는 환차익 때문이다. 10년 전에는 반대였다. 선전의 택시에서 홍콩달러로 계산하면 ‘이게 왠떡이냐’는 표정이었다. 위안화의 기세는 평양 택시에서도 확인된다. 중국 자본으로 도입된 평양의 택시에서도 북한 화폐보다 위안화가 더 대접받는다.
마오쩌둥(毛澤東)이 그려진 이 돈의 위력은 제조와 무역으로 쌓아올린 경제력이 추동력이다. 여세를 몰아 곧 IMF(국제통화기금)의 특별인출권(SDR) 반열에 오르게 될 전망이다. 실제 거래에선 쓰이지 않는 서류상 화폐이지만 위기를 대비해 각국에서 확보하는 준비 통화의 하나로 인정받는다는 점에서 중국의 경제적 위상이 수직상승할 수 밖에 없다. 2009년 중국이 화폐전쟁에 뛰어든지 6년만의 위업이다. 지구촌을 휘감고 지나는 차이나 속도가 격렬하게 실감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영국을 방문해 70조원 규모의 무역ㆍ투자협정에 사인하고 돌아오자마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이 중국으로 내달렸다.
3조5000억달러에 달하는 만리장성의 외환보유고를 열어 자국에 투자해달라는 러브콜이 줄을 잇는다. 조지 오스본 영국 재무장관이 예산 초과로 짓다만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마무리 짓기 위해 중국 자본을 끌어들이겠다고 하자 비판 여론이 들끓었다고 시사지 ‘이코노미스트(2015년 9월26일자) ’는 전한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런 중국 의존 흐름이 단발 사건이 아니라는 걸 ‘오스본주의’라는 제목에 담아 경고했다. 보수당 내 넘버2로서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의 후계자 대접을 받는 오스본 장관의 정치적 위상을 고려할 때 앞으로 영국이 미국ㆍ유럽과 소원해지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요즘 중국과 경제적으로 엮이는 나라치고 중국 기회론과 중국 위협론의 충돌로 파열음이 나지 않는 나라가 거의 없다. 블랙홀 같았던 중국의 에너지 수요로 20년 호황을 누렸던 호주도 마찬가지. 국방백서에 전통적으로 최고의 안보 파트너가 미국이라고 추켜세워놓고는 백서의 대부분을 어떻게 하면 최우선 경제 파트너인 중국에 잘 붙어 있을 지 실존 차원의 고민을 드러내곤 한다.(이언 모리스,『전쟁의 역설』)
미ㆍ중의 남중국해 갈등 같은 딜레마적 상황에서 선택 불가피론은 일종의 프레임이 아닐지 따져봐야 한다. 미ㆍ중 사이에서 선택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전 지구적 현상인데 왜 우리만 격렬하게 둘 중 하나에 줄서기 압박이 크겠냐는 것이다.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역발상에 답이 있을지 모를 일이다.
정용환 JTBC 정치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