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2 degrees make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difference 2 degrees makes

With only a month left in the year, the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nvened in Paris yesterday. There was one figure on everyone’s mind: 2 degrees Celsius (3.6 degrees Fahrenheit).

More than 40,000 people, including delegates from 196 countries and representativ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iversities, businesses and environmental groups, are attending the conference, which is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etings in the history of humanity.

The goal is to find ways of limiting the global temperature increase to 2 degrees Celsius above pre-industrial levels, which experts have cited as the limit before disasters like droughts, floods, rising sea levels and the extinction of plants and animal species become ubiquitous.

If a new system is launched by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ctively participating in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goal of holding the temperature increase under 2 degrees Celsius is not impossible. But in order to do so, the globe’s net greenhouse gas emissions need to be zero between 2060 and 2075.

The 2-degree objective was proposed not by climatologists but by Yale professor and economist William Nordhaus in 1977. It is a realistic compromise that considers the cost and effects of preventing global warming.

It does not mean that nothing will happen if the temperature rises by only 1.9 degrees or that all catastrophes will be thwarted. Even if the 2-degree goal is met, small islands will still be severely impacted by climate change.

At any rate, the 2-degree goal was officially adopted at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in 2010, and currently, more than 180 countries have submitted the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s) to the United Nations.

However, analysis of the INDCs submitted as of the end of October shows that the global temperature is expected to increase by between 2.7 and 3.5 degrees Celsius by 2100.

So the countries have to be encouraged to reinforce the emissions control goals. The United Nations will receive reduction progress reports from each government every five years and urge modifications if necessary. It hopes to constantly add pressure because the slower reduction plans are implemented, the harder they become later.

The efforts will bear fruit by 2100, which is not so far away. The children who were born in 2000 are now in high school, and they will turn 100 in 2100. Many of them will survive and remember how their parents’ generation responded to climate change.

Let’s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negotiations from Paris, which will be announced on Dec. 11, will not make us feel ashamed when our future generations look back on them.

The author is the editorial writer and environmental news specialist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Nov. 30, Page 32

by KANG CHAN-SU


2015년을 한 달 남긴 지금 햄릿의 대사 “To be or not to be(죽느냐 사느냐)”가 “투시 오어 낫 투시(2℃ or not 2℃, 2도냐 아니냐)”란 질문으로 인류에게 다가와 있다. 바로 30일 파리에서 열리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때문이다.
 196개국 대표단과 국제기구·학계·기업·환경단체 관계자 등 4만 명이 참가하는 이번 회의는 산업혁명 이전과 대비해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도 이내로 묶을 방안을 결정하는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회의다. 평균 기온이 2도 이상 상승하면 가뭄, 홍수, 해수면 상승, 동식물 멸종 등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참여하는 이른바 ‘신(新)기후체제’가 출범한다면 ‘2도 목표’가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2060~2075년에는 온실가스 순(純)배출량이 제로가 돼야 한다.
 사실 ‘2도 목표’는 기후학자가 아닌 미국 예일대의 경제학자 윌리엄 노드하우스 교수가 1977년 제안했다. 온난화 방지 비용과 효과를 두루 감안한 현실적 타협이다. 기온이 1.9도 상승할 때까지는 전혀 문제 없다가 2도가 넘어서면 갑자기 재앙이 발생하는 게 아니라는 말이다. 2도 목표를 준수해도 작은 섬나라는 피해를 본다.
 어쨌든 ‘2도 목표’는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공식 채택됐고, 현재 180여 개국이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별 자발적 기여방안(INDC)을 유엔에 제출했다. 하지만 10월 말까지 제출된 147개국의 INDC를 분석한 결과 2100년 무렵 지구 기온은 목표를 벗어나 2.7~3.5도나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각국이 감축 목표를 강화하도록 독려하는 수밖에 없게 됐다. 앞으로 유엔은 5년마다 각국 정부로부터 감축 이행사항을 보고받아 평가하고 목표 수정을 촉구하는 일을 반복할 것이다. 마치 배구 네트를 죄는 래칫(ratchet·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톱니바퀴)처럼 조금씩 죄어나가는 식이다. 문제는 속도다. 감축 이행이 늦어질수록 나중에는 더 힘들어진다.
 이런 노력의 성패가 최종 판가름 날 2100년은 결코 먼 미래가 아니다. ‘밀레니엄 베이비’로 태어난 지금의 중3~고1 학생들이 100세가 되는 해다. 이들 중 상당수는 할아버지·할머니로 살아남아 부모세대가 얼마나 현명하게 대처했는지 떠올릴 것이다.
 그래서 다음달 11일은 지구의 운명이 결정되는 날이나 다름없다. 미래세대에게 부끄럽지 않을 협상 타결 소식이 파리에서 들려오길 기대한다.
강찬수 논설위원 겸 환경전문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