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lack of communicati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 critical lack of communication



Before the Lunar New Year holiday on Feb. 6, Vice Foreign Minister Cho Tae-yul visited the House of Sharing, a residence for former sex slaves from World War II, in Gwangju, Gyeonggi. Kang Il-chul, one of the victims of Japanese wartime sex slavery, told Cho they have no family and they can only trust the government. Cho said, “While there haven’t been much progress until now, this year is very important, and two countries are working to resolve the issue.”

On Dec. 29, Cho visited the place again to explain the agreements made a day earlier between Seoul and Tokyo. Cho began by saying that he was sorry to visit them after the agreement was made - instead of consulting them in advance. While Cho explained the outcomes and meanings of the agreement, the victims’ faces were filled with anger and frustration.

President Park Geun-hye had emphasized that the comfort women deal should be “at a level that the victims could consent to.” The Foreign Ministry also claimed it had sufficiently reflected the opinions of the victims during the negotiation.

However, the victims at the house said otherwise. Kim Gun-ja, one of the victims living in the facility, said, “The government made a deal on its own. We cannot accept it.” Kang added, “Do they think we are fools because we are old? We all know what’s going on.”

Cho said, “Coincidentally, Tokyo began to make a move on Christmas Eve,” but the surviving victims were not convinced. On Monday afternoon - the day of the landmark deal - the ministry excluded the victims on the list of entities for debriefing.

Those surviving “comfort women” had to watch the agreement being announced on television. Some thought a welfare facility was to be built with Japanese money. Other were confused about the plan for Shinzo Abe to apologize.

According to House of Sharing Director An Shin-gwon,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visited in February 2014, and his deputy Cho visited last February, with no other visits. “The working-level officials actually never visited the house since Lee Sang-deok, a lower-level Foreign Ministry official, visited and talked to the victims in May 2014,” An said.

Surviving victim Yoo Hee-nam said that even Keiko Usuki, a Japanese activist and a member of the Asian Women’s Fund, comes to the house three or four times a year.

There is no unilateral victory in diplomatic negotiation. The agreement on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enslavement is very disappointing. What’s more frustrating is government’s attitude and the way it handles the issue. Another comfort woman, Yi Ok-seon, said, “When I protested by myself in front of the Foreign Ministry, no one cared. What is the ministry doing? To which country do we belong to?” Koreans are wondering if the ministry has been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at all.

The author is a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Dec. 31, Page 29

by AHN HYO-SEONG


지난 2월 6일 설 명절을 앞두고 외교부 조태열 2차관이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을 찾았다. 조 차관을 만난 위안부 피해자 강일출 할머니는 “우린 이젠 가족도 없고 정부밖에 믿을 사람이 없다”고 울먹였다. 조 차관은 "지금까지 큰 진전은 없지만 올해가 중요한 해인 만큼 양국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한 후 자리를 떴다.
 12월 29일 오후 조 차관이 나눔의 집을 다시 찾았다. 한국과 일본 정부가 28일 발표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관련한 합의 내용을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직접 설명하겠다는 취지였다. 조 차관은 “따로 찾아뵙지 못하고 회담이 마무리된 후 찾아와 우선 송구스럽다”며 말문을 열었다. 조 차관이 협상 경과와 의미를 설명했지만 할머니들의 얼굴엔 분노와 섭섭함이 남아 있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 해결의 조건으로 ‘피해자가 만족할 만한 수준’을 강조해 왔다. 외교부도 협상이 진행되는 중 “충분히 할머니들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말해 왔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할머니들의 목소리는 달랐다. 김군자 할머니는 “정부가 함부로 합의했다. 우리 그거 인정 못한다”고 말했다. 정부밖에 믿을 사람이 없다던 강 할머니는 “우리가 늙었다고 바보인 줄 아나. 다 안다”고 했다.
 조 차관은 “공교롭게도 크리스마스 전날부터 일본이 움직였다”고 설명했지만 할머니들에겐 통하지 않았다. 당장 협상이 타결된 28일 오후에도 외교부의 설명 대상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빠져 있었다.  할머니들은 TV로 합의문 발표를 지켜봐야 했다. 그러니 어느 할머니는 일본 돈으로 복지시설을 짓는다고 알고 있었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어떤 자격으로 사과했는지도 혼란스러워 했다.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은 “지난해 2월 윤병세 장관이 찾아왔고, 올해 2월 조태열 차관이 찾아온 것 외에 외교부 사람들이 찾아온 적이 거의 없다”며 “협상 실무자들도 지난해 5월인가 이상덕 국장이 찾아와 할머니들 이야기를 들은 후 사실상 찾아온 적이 없다”고 말했다.
 아시아여성기금 등에서 활동한 일본 우스키 게이코(67·臼杵敬子)만 해도 “1년에 3~4번씩 들른다”고 유희남 할머니가 전했다.
 외교 교섭엔 일방적인 승리가 없다. 이번 일본군 위안부 피해 관련 합의에도 아쉬운 점이 많다고 느낀다. 하지만 더 아쉬운 점이 있었다. 이날 이옥선 할머니는 조 차관에게 “외교부 앞에서 혼자 데모해도 누구 한마디 말해주는 사람이 없었다. 우리 외교부에서는 뭐하나. 우리가 어느 나라 딸인가”라고 물었다. 외교부에 그동안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들어 왔나 묻고 싶다.
글=안효성 정치국제부문 기자 사진=박종근 기자
[출처: 중앙일보] [취재일기] 외교부, 평소 위안부 할머니와 소통했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