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otline off the hook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hotline off the hook

At 4 p.m. on Dec. 31, the Ministry of Defense distributed a press release about Defense Minister Han Min-koo’s telephone conversation with his Chinese counterpart, Chang Wanquan. A direct hotline between the defense ministers of Korea and China had opened.

The Defense Ministry released the remarks of minister Han: “I am pleased to end the last day of the year with the opening of a direct telephone line as we celebrate the 23rd anniversary of Korea-China relations.” Chinese Minister Chang said that the opening of the hotline was a “landmark event.” Han called it “a meaningful accomplishment based on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defense authorities of the two countries.”

However, what Chang called “landmark” stopped working on Monday. It has not been cut off, but when Seoul calls, Beijing simply does not answer.

Seven days after Pyongyang announced the hydrogen bomb test on Jan. 6, the hotline is still not working. The Ministry of Defense explained, “Minister Han said at the National Assembly’s defense committee meeting on Jan. 7 that they are negotiating with China to have a phone conversation. At the moment, China’s defense ministry is not talking with any other country. We have made a request, and are still waiting for a reply.”

That’s a remarkable contrast with the excitement of the press release on Dec. 31 celebr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hotline. In the press statement, our Defense Ministry wrote that it planned to actively use the hotline as a basis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trust and reinforce strategic communication between high-level officials based on the shared understanding for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President Park Geun-hye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It also added that emergency situ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 prevented and crises could be managed more effectively.

The origin of hotline was the direct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Washington and Moscow set up in August 1963 to prevent unintentional war due to misunderstanding or accident. It was literally an emergency phone.

However, the hotline between Korea and China is off the hook in January 2016, when the Korean Peninsula is in a “hot situation.” While the hotline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eace in Northeast Asia and safety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cooling down due to China’s rejection. China is not an ally, but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has put special care on diplomacy with China, classifying it as a friendly nation.

But the special care seems to have no effect when Pyongyang conducted the fourth nuclear test. More pathetic is the excuse that high-level defense ministry officials made. “It is up to the Blue House to solve the problem, and there’s nothing we can do.”

The author is a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an. 12, Page 29

by JEONG YONG-SOO


2015년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 오후 4시. 국방부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오전 11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장관실에서 중국 베이징의 창완취안(常萬全) 중국 국방부장(장관)과 전화통화를 했다는 내용이었다. 한·중 국방장관 간 핫라인(직통전화)이 개통됐다고 했다.
 국방부는 “한·중 수교 23주년이 되는 금년도 마지막 날에 직통전화 개통으로 그 대미를 장식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는 한 장관의 발언과, “핫라인 개통은 기념비적인 것”이라는 창 부장의 발언도 공개했다. 특히 한 장관은 “양국 국방 당국 간 상호 신뢰와 협력으로 이룬 의미 있는 성과”라고도 했다.
 하지만 1월 11일 중국의 창 부장이 ‘기념비적인 것’이라고 했다는 한·중 핫라인은 말 그대로 먹통이다. 끊긴 건 아니다. 다만 한국이 전화기를 들어도 중국 측에서 응답이 없으니 먹통이란 얘기다.
 북한이 수소폭탄을 실험했다고 공개적으로 발표(6일)한 지 닷새가 됐지만 한·중 국방장관의 핫라인은 감감무소식이다. 국방부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한민구) 장관이 지난번(7일)에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중국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실무 협의 중’이라고 했다. 현재 중국 국방부는 다른 어떤 나라와도 통화를, 전화통화를 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우리도 일단 요청은 한 상태이고,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12월 31일 들뜬 모습으로 보도자료를 내고, 한·중 핫라인의 의미와 성과를 구구절절 설명하던 것과는 딴판이다. 국방부는 당시 보도자료에서 핫라인이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형성된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공통 인식을 토대로, 상호 이해와 신뢰를 증진하고 고위급 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기제로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도 적었다. 한반도의 위기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위기가 발생했을 땐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졌다는 설명도 했다.
 핫라인은 1963년 8월 미국 백악관과 러시아의 크렘린궁 사이에 사고나 오해로 인한 우발적인 전쟁을 막기 위해 개통한 게 기원이다. 그야말로 긴급 비상용 전화다. 하지만 한·중 간 핫라인은 한반도에 ‘뜨거운 상황’이 발생한 2016년 1월 잠자고 있다. 동북아의 평화와 한반도 안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핫라인은 중국의 외면으로 차갑게 식어 있다. 중국을 동맹국은 아니지만 적어도 우방으로 분류할 만큼 박근혜 정부의 대중 외교는 지금까지 유별났다. 문제는 그 유별이 북한의 4차 핵실험 상황에서 아무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더 한심한 건 이 국면에 국방부 고위 당국자라는 사람들이 하는 변명이다. “BH(Blue House의 약어, 청와대)에서 풀어야지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없다”.
정용수 정치국제부문 기자
[출처: 중앙일보] [취재일기] 차갑게 끊겨 있는 한·중 핫라인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