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ue cost of a child
Published: 16 Jan. 2016, 01:03
The presenter asked this sensitive question during a lecture in Sejong City. Most of the attendees were male civil servants at central government ministries, and some responded, “100 million won ($82,240).”
The lecture topic was the growth potential of the Korean economy, and there was no further discussion on the amount.
But I was curious where this number came from. One hundred million won is ten times the subsidy some local governments give to families with a third child.
But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12, it actually costs 389.6 million won to raise one child from birth to college.
Could we give 100 million won to every family with a child? That would, of course, be impossible considering the financial state of the government. In 2014, 435,400 babies were born, and it would take 43 trillion won to give 100 million won for each child. If it cannot be given directly, childcare costs must be lowered.
If those costs cannot be lowered, the surging rate of increase should be curbed. The total cost of raising a child was 197.02 million won in the 2003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now, it is over 300 million won in just nine years because of rising education expenses and the high-cost childcare structure.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various solutions are needed. According to Prof. Choi Seul-gi of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parents should be able to raise their own children by reducing their work hours.
Former Samsung Executive Yang Hyang-ja, who joined the Minjoo Party, has pointed out that the reality of motherhood obstructing women’s success should be changed. Moreover, we need to give hope to our children that regardless of their family backgrounds, anyone can succeed and enjoy a happy life by working hard.
From next year,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etween age 15 and 64 will begin to decrease. It is a matter of time before Korea’s overall population shrinks.
In 1971, 1.02 million babies were born, the most in our history. But since 2002, the number of newborn babies remains around 400,000 every year. While the government presented various measures to boost childbirth, none has been successful.
When people think it would be good for the country to have more young people, but feel there’s no reason for them personally to have children, the society would be in chaos.
While birthrate is a secondary indicator of health in Korean society, it must be managed as a key indicator that is as important as the economic growth rate.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an. 15, Page 30
by KIM WON-BAE
“대체 얼마를 주면 애를 낳을까요?” 도발적 물음이었다. 지난해 세종시에서 들었던 한 강의에서 강사가 꺼낸 질문이다. 중앙부처 남성 공무원이 대부분이었던 참석자 중 몇몇이 낮은 목소리로 “1억원”이라고 대답했다. 강의 주제가 한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여야 한다는 내용이라 액수와 관련한 더 이상의 토론은 없었다. 하지만 궁금했다. 올해 초 가까운 친척에게 같은 질문을 했다. 대답은 이랬다. “1억원쯤 받으면 집을 마련하는 데 보태든지, 알아서 잘 쓸 수 있지 않을까.” 일부 지자체에서 셋째 이상을 낳을 때 주는 장려금에 ‘0’이 하나 더 붙었다. 호기심이 생겨 1억원을 매달 나눠서 받으면 어떻겠느냐고 물었더니 “그럼 낳지 않겠다”는 답이 돌아왔다. 심사숙고한 답변은 아니었다. 여기서 ‘1억원’은 막연히 큰 경제적 이익으로 해석하면 무리가 없겠다. 2012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자녀 한 명의 총 양육비(출생~대학 졸업)가 3억896만원이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다른 대답이 나왔을지 모른다. 실현 가능성은 있을까. 물론 현재 나라 살림으론 불가능하다. 2014년 신생아 수는 43만5400명. 1인당 1억원씩 주려면 43조원이 필요하다. ‘1억원’을 직접 줄 수 없다면 양육 비용을 낮추는 수밖에 없다. 줄이지 못한다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라도 멈추도록 해야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03년 조사한 자녀 1인당 총 양육비는 1억9702만원이었는데 불과 9년 만에 3억원을 넘었다. 비싼 교육비 등으로 인해 고비용 양육 구조가 굳어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도 든다. 이를 해결하려면 다양한 제도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인구학을 전공한 KDI국제정책대학원 최슬기 교수는 “노동 시간을 줄여 부모가 직접 아이를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12일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양향자 전 삼성전자 상무가 지적한 “여성의 출산이 출세를 막고 있는 현실”도 개선해야 한다. 나아가 내 아이가 ‘흑수저’로 태어나도 성실히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줘야 한다. 올해를 정점으로 내년부터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가 준다. 절대인구가 감소하는 것도 시간문제다. 드라마 ‘응답하라1988’의 주인공인 성덕선과 친구들(당시 고2·1971년생)은 102만 명이나 태어났다. 역대 최고다. 그러나 2002년 이후 신생아 수는 40만 명대에 머물러 있다. 정부가 그동안 다양한 저출산 대책을 내놨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사실 누가 낳아주면 좋지만 꼭 내가 낳아야 할 이유는 없다, 이런 생각이 만연하면 그 사회는 파국을 맞는다. 출산율은 한국 사회의 건강성이 축약된 희망 지표다. 출산율이 오르기 위해선 출산을 가로막고 있는 여러 가지 모순과 폐습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젠 출산율을 경제성장률만큼 중요한 관리 지표로 삼을 때다. 김원배 경제부문 차장 [출처: 중앙일보] [노트북을 열며] 1억원을 주면 아이를 낳을까?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