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ting Korea-Japan connecti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Revisiting Korea-Japan connection

On Jan. 17, I visited a country village in Japan. Hitaka in Saitama Prefecture is about 70 kilometers (45 miles) from Tokyo Station. It’s a small farming town with a population of 57,000. Here, I took the subway and arrived at Koma Station, whose Chinese characters are the same as Goryeo.

I was curious how the area shares the name with an old Korean kingdom. One worker at the station said that in Japan, the Korean kingdom of Goguryeo is called “Koma” or “Kokori.” He also added that the kingdom of Goryeo is pronounced “Korai” in Japanese.

A pair of jangseung, or Korean totem poles, stood at the center of the square outside the station. It was nice to see the Korean village guardians in Japan. I walked down the country lane to the Koma Jinja shrin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s were forced to make shrine visits against their will, and visiting a shrine was never a pleasant experience for me. But the signboard hanging in the shrine read, “Goguryeo,” and it made me look back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In 666, two years before the Silla-Tang alliance defeated the kingdom of Goguryeo, Yak Gwang, or Jakko in Japanese, was sent to Japan as a diplomatic envoy.

Along with 1,799 Goguryeo people who could not go back to the fallen homeland, he settled in barren lands. According to the Shoku Nihongi, an ancient Japanese history text, Jakko was a member of Goguryeo’s royal family and received a family name of Koma no Kokishi from the Yamato court in 703.

In 716, the Japanese court had the Goguryeo natives scattered in the Tohoku region to move to Musashino near the Koma Shrine and established the county of Koma. Jakko became the first county chief, continuing the legacy of Goguryeo, and developed the region. In honor of his accomplishments, a shrine was established. Today, one of Jakko’s descendants is the 60th priest of the shrine.

Koma recently celebrated the 1,30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The Koma Jakko Foundation of 217 scholars of Korea and Japan,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nd the city of Hidaka are planning various events. The town hall hosts frequent Goguryeo costume-making and Goguryeo remains classes. In late April, a monument celebrating its 1,300 years will be unveiled.

Ra Jong-il, former Korean ambassador to Japan and advisor to the Koma Jakko Foundation, said that the 1,300-year relationship is a serious occasion, and the joint celebration should become a chance for the two countries - and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Japan - to be united.

The foundation’s secretary-general, Ha Jeong-yong, added, “Korea and Japan had been in bad terms, but there were times when the two countries got along. I hope to see a new era of friendship.”

The aggravated relationship is showing signs of improvement. How about President Park Geun-hye and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meet in the Goguryeo village and place a cornerstone for another 1,300 years of Korea-Japan connection?

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an. 23, Page 30

by LEE JEONG-HEON



지난 17일 일본 시골 마을을 찾았다. 도쿄역에서 약 70㎞ 떨어진 사이타마(埼玉)현 히다카(日高)시. 인구 5만7000여 명의 작은 농촌이다. 전철을 타고 히다카시 외곽 ‘고마(高麗·고려)역’에 도착했다. 역명에 담긴 ‘고려’가 호기심을 자극했다. 역무원은 “일본에선 고구려를 ‘고마(こま)’ 또는 ‘고쿠리(こうくり)’로 부른다”며 “이곳이 고구려 마을”이라고 했다. “고려 왕조는 ‘고라이(こうらい)’로 발음한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이 역 광장에 버티고 서 있었다. 일본 땅에서 만난 한국 장승은 고향 사람처럼 반갑다. 시골길을 따라 걷다 보니 고마신사의 입구가 보인다. 일제 강점기 참배를 강요당했던 우리 민족의 한을 떠올리면 신사는 결코 기분 좋은 곳이 아니다. 그러나 ‘고(高)’와 ‘려(麗)’ 사이에 작은 글씨로 ‘구(句)’를 새겨 넣어 ‘고구려’의 흔적을 남긴 신사 현판은 한반도와 일본의 과거를 새삼 되돌아보게 했다.
 나당(羅唐) 연합군이 고구려를 멸망시키기 2년 전인 666년 일본에 외교사절로 파견됐던 약광(若光). 그는 패망한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고구려 유민 1799명과 함께 척박한 땅을 개척했다. 고대 역사서인 『속일본기(續日本紀)』는 고구려 왕족인 약광이 703년 야마토(大和) 조정으로부터 ‘고려왕(高麗王)’ 성씨를 받았다고 기록했다.
 716년 일본 조정은 도호쿠(東北) 지방에 흩어져 살던 고구려인들을 지금의 고마신사 일대 무사시노(武?野)로 이주시킨 뒤 고마군(郡)을 창설했다. 약광은 초대 군장(郡長)으로 임명돼 고구려 문화를 이어가며 변방을 부흥시켰다. 주민들이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만든 사당이 고마신사다. 후손인 고마 후미야스(高麗文康·50)가 현재 60대 궁사(宮司·신사 책임자)를 맡고 있다.
 고마군이 올해 건군(建郡) 1300주년을 맞았다. 재일교포와 일본 주민, 한·일 양국의 학자 등 217명이 주축이 된 ‘고마약광회’와 동북아역사재단, 히다카시가 각종 기념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고구려 의상 제작 교실’과 ‘고구려 유적 강좌’는 수시로 마을회관에서 열린다. 4월 말엔 ‘1300년 기념비’ 제막식도 개최된다. 아키히토(明仁) 일왕의 사촌 동생인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高円宮憲仁·사망)의 미망인 히사코(久子) 여사도 왕실 대표로 제막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고마약광회 명예 고문인 라종일 전 주일대사는 “1300년의 인연은 결코 가볍지 않다. 한·일 공동의 축제를 통해 양국은 물론 일본 교포사회가 화합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하정용 사무국장도 “두 나라는 좋은 관계를 유지한 시기가 더 많았다”며 “한·일 우호의 새 시대를 기대한다”고 했다.
 악화일로를 걷던 양국 관계는 조금씩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올해 고구려 마을에서 만나 ‘새로운 한·일 1300년’을 기약하며 튼튼한 주춧돌 하나 놓는 건 어떨까.
이정헌 도쿄 특파원
[출처: 중앙일보] [글로벌 아이] 1300년 역사 간직한 일본 고구려 마을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