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ulatory reform now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Regulatory reform now

“In Korea, no new business can be started unless laws and regulations are created. Laws related to drones need to be legislated quickly,” an industry insider said recently.

I thought he would argue for deregulation, but he actually wanted any kind of rules. “It means that no business can be established without regulations,” said Kim Tae-yun, a public policy professor at Hanyang University, adding that companies could suffer the consequences for engaging in business without legal grounds.

In the O2O industry - convergence service connecting online and offline - companies face problems as they grow bigger.

Call Bus, a service in which users can call a bus at night via a smartphone app, was criticized for lacking legal grounds.

While the next-generation food industry has emerged as a major force, regulations have hindered creative challenges.

There are two main challenges in the field: One is that outdated regulations are interfering with the growth of new business models, and the other is the lack of new standards to apply changes.

While unnecessary regulations can be removed, necessary rules also need to be established anew. Regulation-free zones are to be designated for unrestricted drone flights, but there needs to be certain standards for commercialization.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set standards in the bio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due to health and security concerns.

Even in developed countries,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is accompanied by trouble. The timely introduction of necessary regulations and systems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Earlier this month, Park Yong-maan, chairman of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met with finance ministers and requested that the government help modify the design of systems and regulations to allow new industries to thrive.

France passed a law on drones in 2012, and Japan revised the aviation law at the end of last year to accommodate drone flights. But the discussion has just begun in Korea.

“If there are no immediate specific risks, new businesses should be allowed without restriction, and the government needs to be ready to respond promptly when problems arise,” Kim said.

It would be wise for policy makers and lawmakers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industry insiders and vested parties, and refer to the examples set by other countries. But that is not enough to transform Korea into a leading nation in new industries.

Why can’t the government draft systems and regulations quickl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are incompetent and want to avoid accountability. It is not easy for government officials to keep up with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trends. If easy permission leads to problems, then they have to take responsibility.

Now, it is not a matter of whether to go for regulatory reform. The important question today is how promptly reform can be implemented.

The author is deputy busines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Feb. 12, Page 30

by KIM WON-BAE


“우리나라는 법이나 규제를 만들지 않으면 새로운 사업을 할 수가 없어요. 빨리 드론(무인기) 관련 법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난해 통화했던 드론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규제를 없애라고 할 줄 알았는데, 뭐라도 만들어 달라고 했던 그의 얘기가 쉽게 잊히지 않았다. 김태윤 한양대 행정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무(無) 규제’란 사업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법령에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함부로 했다가는 나중에 탈이 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융합 서비스인 O2O(Online to Offline) 분야도 해당 업체가 조금 커진다 싶으면 어려움을 겪는다. 심야에 스마트폰 앱으로 버스를 부르는 ‘콜버스’ 서비스도 법적 근거가 없다는 논란에 휘말렸다.
 차세대 먹거리 산업 육성이 주요 과제로 떠올랐지만 국내 규제 환경은 창의적 도전을 막고 있는 게 현실이다.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들어보면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신산업의 성장을 막는 낡은 규제가 있다는 것과 새로 적용할 기준이 미비하다는 점이다. 불필요한 규제는 없애면 되지만 필요한 규율은 새로 만들어야 한다. 일정한 지역에서 드론을 자유롭게 날릴 수 있는 ‘규제 프리존’이 설치된다고 하지만 상용화를 위해선 무언가 기준이 필요하다. 바이오·의약산업 같이 건강이나 안전 문제가 있는 분야는 기준을 만들기가 더 어렵다. 전통산업 쪽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다.
 선진국이라고 해도 신산업의 등장엔 진통이 따른다. 그런 상황에서 필요한 제도나 규제를 빨리 도입할 수 있는 것은 그 나라의 경쟁력이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이 이달 초 경제부처 장관들을 만나 “새로운 산업의 출발점부터 경쟁국들에 뒤지지 않게 (제도·법규의) 설계를 바꾸려는 노력을 해 달라”고 요청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는 현 정부가 내세우는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프랑스는 2012년 드론법을 만들었고 일본도 지난해 말 드론 비행을 위해 항공법을 개정했다. 한국은 이제 논의 중이다. “일단 구체적 위험이 없으면 제한 없이 신사업을 하도록 하고 문제가 생기면 정부가 조속히 대책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는 게 김태윤 교수의 얘기다.
 새 제도를 만드는 사람 입장에선 업계나 이해 관계자의 얘기를 충분히 듣고, 해외 입법 사례도 참고하는 게 안전하다. 그러나 이렇게 해선 신산업을 선도하는 나라가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왜 정부는 제도나 법규를 빨리 못 만들까. 국회나 정부의 역량이 부족하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이유가 아닐까. 빠르게 변하는 기술 흐름을 부처 공무원이 바로 따라가긴 쉽지 않다. 만일 쉽게 허용을 해줬다 문제라도 생기면 책임을 떠안아야 한다. 이젠 정부가 규제개혁을 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얼마나 속도감 있게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시대가 왔다.
김원배 경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