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toward a new era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Working toward a new era

On Feb. 20, 1968, gunshots were fired at a club in Shimizu, in Shizuoka Prefecture, Japan. The incident resulted in the deaths of a Yakuza boss and a group member. The suspect, Kim Hyi-ro, 41, was a second-generation Korean in Japan. The Yakuza threatened him over money he had borrowed, and when they insulted his ethnicity, he snapped.

The incident appeared to have been motivated by a combination of discrimination, violence and the unfair treatment from the police he had put up with all his life.

Armed with a gun and explosives, he dodged police and hid at Fujimiya Ryokan in Sumatakyo, just 45 kilometers (28 miles) away from the crime scene, where he took the owners and its guests hostage for 88 hours. He called in reporters for interviews and conducted a live phone interview. News teams sent helicopters to broadcast the hostage situation in real time.

Today, the incident is remembered as the first “theatrical crime” in Japan, and the story was made into a movie in Korea, “Kim’s War” (1992).

Kim claimed his actions were intended to denounce discrimination against the Korean people in Japan and demanded an apology from the police.

In the end, Shizuoka Prefecture’s police chief publicly apologized, and the hostage situation came to an end as cops posed as reporters made their way inside and arrested Kim.

He was sentenced to life in prison and released on parole in 1999 after serving 31 years. Afterward, he moved to Busan, where he died in 2010 at the age of 81.

In 2006, Eiko Mochizuki met Kim in Seoul, 38 years after the incident, to tell him she forgave him.

“He was a murderer, but he didn’t harm my family. He gave 2,000 yen to each of my three children as an allowance and said he was sorry.”

In 2010, Mochizuki set up an archive of the incident in the corner of the inn. However, the number of guests to the ryokan dwindled and it eventually closed in 2012. She recently sold the building.

Half a century has passed now, and the club where the murders occurred is now gone. Discrimination has also noticeably decreased.

Yet, Koreans in Japan are still threatened by hate speech.

In Shinjuku, Tokyo, radical right-wing activists frequently hold rallies urging Koreans to go back home, and last month,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Rita Izsak-Ndiaye visited Japan and urged the government to consider laws banning hate speech. For more than three years, Anti-Discrimination Tokyo Action has fought against hate speech. Its PR manager, Yusuke Ueda, emphasized that the group was working to create a society in which discrimination is prohibited.

Crimes like the one carried out by Kim Hyi-ro should not be repeated. Discrimination leads to anger. Let’s strive for a new era of peace.

The author is the Tokyo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Feb. 20, Page 26

by LEE JEONG-HEON



1968년 2월 20일, 정확히 48년 전이다. 일본 시즈오카(靜岡)현 시미즈(淸水)시 한 클럽에서 총성이 울렸다. 야쿠자 두목과 조직원 등 두 명이 살해됐다. 엽총을 발사한 범인은 재일교포 2세 김희로(본명 권희로·당시 41세). 빌린 돈을 갚으라고 협박하던 야쿠자가 “조센징, 더러운 돼지새끼”라며 욕설을 퍼붓자 분노가 폭발했다. 그의 삶을 짓누르던 차별과 폭력, 일본 경찰의 부당한 대우 등 쓰라린 기억이 한꺼번에 솟구쳐 오른 듯했다.
 총과 다이너마이트로 무장한 김희로는 경찰의 추격을 피해 45㎞ 떨어진 스마타교(寸又峽) 후지미야 온천여관으로 숨어들었다. 주인 가족과 투숙객들을 붙잡고 88시간 동안 인질극을 벌였다. 기자들을 불러들여 회견을 하고 생방송 전화 인터뷰도 했다. 방송국 헬리콥터는 산골마을 인질극을 실시간 중계했다. 일본인들의 눈과 귀가 온통 TV에 집중됐다. 당시 사건이 일본 최초의 ‘극장형 범죄’로 기억되는 이유다. 92년 한국에선 ‘김(金)의 전쟁’이란 영화로 제작돼 극장에서 상영됐다.
 김희로는 “조선인 차별을 고발하기 위해 사건을 일으켰다”며 “조선 민족을 모욕한 경찰은 사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시즈오카현 경찰본부장이 공개 사죄했다. 인질극은 기자들 틈에 섞여 진입한 경찰의 체포작전으로 막을 내렸다. 그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31년간 옥살이를 하다 99년 가석방됐다. 부산으로 이주했고 2010년 81세로 세상을 떠났다.
 인질로 잡혔던 여관 주인 모치즈키 에이코(望月英子·77)는 38년 만인 2006년 서울에서 김희로를 만났다. “이젠 다 용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살인범이었지만 우리 식구들에게 피해를 안 끼쳤다”며 “아이 3명에게는 미안하다며 2000엔씩 용돈도 줬다”고 했다. 그는 2010년 여관 한쪽에 ‘김희로 사건 자료관’을 열었다. 하지만 투숙객이 점차 줄면서 2012년 결국 여관 문을 닫았다. 최근 건물도 매각했다
 일본 사회에 경종을 울린 ‘김의 전쟁’ 이후 반세기가 흘렀다. 사건 현장은 사라졌고 눈에 띄는 차별은 크게 줄었다. 문제는 재일 한국인들을 여전히 위협하는 헤이트스피치(특정 민족·인종에 대한 혐오 발언). 도쿄 신주쿠(新宿) 등에선 “조센징은 조선으로 돌아가라”는 극우단체 시위가 수시로 열린다. 지난달 일본을 방문한 이자크 리타 유엔 소수자문제특별보고관은 “헤이트스피치가 위험한 이유는 제노사이드(집단학살)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라며 “차별금지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3년 넘게 헤이트스피치 반대운동을 이끌어온 ‘차별반대 도쿄액션’의 일본인 홍보 담당자 우에다 유스케(植田祐介)는 “차별을 취미 활동쯤으로 여기는 우익들이 있지만, 이에 맞서 싸우는 일본인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차별을 절대 허용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희로의 불행한 삶은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된다. 차별은 분노를 낳는다. 화합의 새 시대를 기대한다.
이정헌 도쿄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