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a crossroads of war and peac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t a crossroads of war and peace

The Korean people are once again at the crossroads of war and peace. The emergency situation on the peninsula, ignited by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on Jan. 6 and long-range missile launch on Feb. 7, prompted the shutdow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a package of fresh UN sanctions. We are left faced with a crisis that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described as “filled with the smell of gunpowder.”

This situation was triggered by North Korea’s reasoning that the “time of decision” must not be delayed any longer. But it may have been the right timing, as South Korea and other related powers could not continue to neglect the nuclear issue. After the Cold War, North Korea isolated itself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by arming itself with nuclear weapons, it has continued to escalate tensions.

North Korea left the Communist bloc, which eventually joined the tide of globalization, and instead adhered to its own way. In the 21st century, it stuck with the utterly exceptional system — and strategy — of fearing peace more than war. The latest UN sanctions demonstrate how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the European Union and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re all pursuing a new framework to tame North Korea.

From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our visionaries and pioneers have taught us that we have to pursue both self-reliance and peace in order to maintain independence and prosperity. Korea is sandwiched between superpowers so geopolitically it must maintain peace and balance with these countries, meaning that safety and independence are prerequisites. State administration based on this fundamental understanding is the shortcut to pursuing our principles of self-reliance and a strategy for peace. If we forget this lesson and are swept up by childish heroism, the stability of our people and state system may be jeopardized all at once.

North Korea does not want to be limited by the international systems or standards set by major nations and aims to become a nuclear power in order to become an equal to the United States and other permanent members on the UN Security Council. Ultimately, it wants to become one of the G-3 together with America and China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is more reckless than bold.

First, it is the shared posi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the balance of fear among nuclear powers does not apply to the Korean Peninsula, while it is the grounds for the North’s ambition to be on par wi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the region. In that case, South Korea will be the direct target of the North’s nuclear threat, and Japan is the next target. A nuclear-armed North Korea would only encourage Seoul and Tokyo to build nuclear weapons to keep a balance of fear. China undeniably has a firm stance on such a possibility. Beijing’s sensitive reaction to the possible deployment of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in South Korea proves it.

Yet, North Korea adheres to the absurd strategy of becoming a world power through nuclear armament and does not understand the inter-Korean situation i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a divided peninsula. Now that UN sanctions are being implemented, North Korea continues to make provocative remarks, mentioning the miniaturization of nuclear warheads and their striking range that could reach Seoul, Washington and New York.

As Pyongyang’s continued risky behavior can substantially escalate the possibility of military sanctions on top of ongoing economic sanctions, we shouldn’t take the warning of being at a crossroads of war and peace lightly. Therefore, North Korea must make a drastic change and instead work toward co-existence and peaceful reunification if it wants a normal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despite escalated tensions, we can’t give up hope that one day North Korea may make the brave decision to have peace on the peninsula, because a war using nuclear weapons threatens the very existence of the Korean people. Today, most South Koreans are willing to endure a peaceful division rather than aunification by war.

While the July 4 Joint Declaration, the Inter-Korea Basic Agreement and the Denuclearization Joint Declaration are no longer effective, we still have hope and justifications. Similarly, many South Koreans also hope that Japan keeps its pacifist constitution to contribute to peace in Asia. How can we give up our vision for peace and reunification? In my Feb. 1 column on this topic, I prayed that the recent nuclear test would be a turning point for peace. I still believe in the Korean people’s desire for peace and reasonable and wise judgment.



우리민족이 다시 한 번 전쟁과 평화의 갈림길에 서게 되었다. 1월 6일의 북한 4차 핵실험과 2월 7일 장거리미사일발사로 촉발된 한반도의 위기상황은 한국의 개성공단중단 및 유엔안보리의 북한제재 결정으로 신속하게 이어졌다. 결국 “한반도에는 화약 냄새가 가득하다”는 왕이(王毅) 중국외교부장의 말대로 우리는 위기국면을 맞고 있다.

이번 한반도위기는 더 이상 ‘결단의 시간’을 늦추지 못하겠다는 북한 스스로의 사정으로 촉발된 것이지만 어차피 북한 핵문제를 계속 방치할 수 없는 한국이나 관련 강대국의 입장에선 오히려 적시에 벌어진 사태라고도 할 수 있다. 냉전이 끝난 후부터 국제사회와 세계사의 흐름으로부터 스스로 고립을 자초한 북한의 예외성은 핵무장을 추진함으로서 지속적으로 위험도를 높여왔다.

세계화의 물결에 동참한 중국, 러시아, 베트남 등 공산당통치 대열에서 이탈하여 홀로「우리식」을 주장한 북한은 21세기에 들어서서도 전쟁보다는 평화를 무서워하는 예외적인 체제와 전략을 고집하며 긴장을 고조시켜왔다. 이번 유엔의 대북제재를 계기로 미국, 중국, 러시아 및 유럽연합, 아세안 등 국제사회는 한반도문제처리를 위해 새 틀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19세기 말로부터 독립운동기를 거치며 우리민족의 선구자와 선각자들이 깨우쳐준 교훈은 나라의 독립과 번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와 평화를 함께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큰 나라들에 둘러싸인 우리의 지정학적 여건은 강대국과의, 그리고 강대국 간의 평화와 균형유지가 우리민족의 안전과 독립의 필수조건임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인식하고 국가운영에 임하는 것이 곧 자주의 원칙과 평화전략에 충실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훈을 무시하고 과대망상에 휩싸여 소아적 영웅주의에 끌려간다면 국가체제와 민족의 안전을 한꺼번에 위기로 빠뜨리게 될 것이다.

강대국들이 주도하는 국제체제나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 핵무기를 보유한 강대국이 되어 미국을 비롯한 유엔의 상임이사국(P5)과 대등한 위치에 올라가겠다는, 그리하여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선 미국과 중국의 이른바 G2가 아니라 자신을 포함한 G3시대를 지향하겠다는 북한의 목표는 대담하기 보다는 무모함에 가깝다고 하겠다.

우선 미국이나 중국과도 대등한 반열에 서겠다는 북한입장의 근거인 「핵무장국가 간의 공포의 균형」논리자체가 한반도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공통된 인식이다. 북한 핵의 직접적 위협을 받는 대상의 첫째가 한국이고 그 다음이 일본인데 공포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을 촉발하여 어찌하겠다는 것인가. 누구보다도 중국이 그러한 가능성에 대해 원천적이며 확고한 반대입장을 견지하는 것은 불문가지(不問可知)이다. 북핵에 대비한 사드의 한국배치 가능성이 촉발한 중국의 예민한 반응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분단된 한반도대결구도의 당사자인 남북관계의 현실을 뛰어넘어 핵무장한 강대국화로 단숨에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엉뚱한 전략을 고집하는 북한은 유엔제재가 집행단계로 접어드는 작금의 상황에서도 핵탄두의 경량화니, 규격화니 하며 서울은 물론 워싱턴, 뉴욕도 사정권 안에 들어있다는 등 도발적 언동을 이어가고 있다.

북한이 이렇듯 무모한 모험을 계속하는 것은 결국 경제제재를 넘어선 군사제재를 유발할 가능성을 높여갈 것이 상황의 논리이기에 한반도가 전쟁과 평화의 갈림길에 서 있다는 경종을 가볍게 흘려버릴 수 없는 것이다. 그러기에 북한은 체제의 존망을 걸면서 5차 핵실험을 기획하기보다는 평화통일로 향한 남북공존의 궤도로 복귀하며 국제사회와의 정상적 관계를 모색하는 쪽으로 과감한 방향전환을 시도해야 될 것이다.

지금처럼 긴장된 국면에서도 한반도평화, 나아가서 동아시아평화를 위한 북한의 용기 있는 결단에 한 가닥 희망을 버리지 못하는 것은 핵무기시대의 전쟁이 곧 민족의 생존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사실, 오늘의 대다수 한국국민은 전쟁을 통한 통일보다는 평화로운 분단을 감내할 용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기에 7`4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비핵화공동선언의 실효는 없어졌더라도 꿈과 명분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같은 맥락에서 동양평화에 기여하는 일본의 평화헌법이 존속되기를 한국인들은 기대하고 있다. 평화와 통일로 향한 꿈과 희망의 줄을 놓아버릴 수는 없지 않은가. 기도처럼 첨가했던 “북 핵실험이 평화로 향한 전화위복의 전기가 될 수 있을 지”라는 지난 1월30일자 칼럼의 마지막 줄은 우리민족의 평화에 대한 염원, 그리고 합리적 판단을 뒷받침하는 지혜에 대한 믿음이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