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cting the victim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Protecting the victims

“My son panics and turns pale when he hears the voices of his assailants. It doesn’t make sense that the victims and assailants receive psychological therapy at the same site.”

The mother of a school violence victim was shaking. In addition to the violence that her son had suffered, she is more frustrated that the assailants remain in school after beating her son while the victim has to get therapy.

Most schools recommend the Wee Center, a youth psychological consultation center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provide therapy for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However, the victims are often reluctant to use the Wee Center because they fear they might run into the assailants. The Wee Center operates the psychological therapy programs for both the victims and assailants of school violence. Therefore, many victims prefer private providers.

For any type of violence, the victims and assailants need to be strictly separated after the incidents. However, in case of school violence, this principle of protecting the victims is not observed.

According to a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in late 2015, the students who became victims of school violence decreased from 8.5 percent in the secondary survey in 2012 to 0.9 percent in the secondary survey in 2015. The ministry claimed that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were effective. Moreover, youth psychological consultation centers, such as the Wee Center, are expanding to help victims and assailants. However, the families of victims are skeptical. They think victims will not seek help from the Wee Center, where further risks of encountering the assailants exist.

There are only four providers exclusively serving victims in Seoul and 31 nationwide. The Haemalgeum Center in Daejeon is the only boarding facility where victims can study and get therapy without running into assailants. In contrast, there are over 400 rehabilitation centers for students who have committed viole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ponded that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re in charge of services for victims.

Maintaining the medical records of victims is also problematic. The victims often refuse psychological therapy out of concern that a history of such help could be seen unfavorably in the future. A bill that prevents the assailants from accessing victims’ medical records has been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several years. Now that the general election is approaching, the bill is likely to be discarded in this session.

Currentl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e surveying school violence conditions. The survey is necessary to make preventative plans. However, it is doubtful that it reflects the voices of school violence victims and their families.

JoongAng Ilbo, March 25, Page 33


*The author is a Metro G Team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BY JEONG HYEON-JIN


먼 발치에서 그 아이 목소리만 들려도 발이 굳고 얼굴이 창백해져요. 그런데 그 아이와 같은 장소에서 심리 치료를 받으라고요? 그게 말이 됩니까.”
학교폭력 피해자를 입은 아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어머니 안씨의 목소리는 떨렸다. 그는 아이가 학교폭력을 당했다는 사실보다 아이를 때린 가해 학생은 멀쩡히 학교를 다니는데 왜 피해를 입은 아들이 도망치듯 심리치료 기관을 전전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관계기사 3월 23일 ‘열려라공부’ 섹션 1면 ‘학교폭력 발생하면 아이 혼자 진술하게 하지 마세요’>
대부분의 학교는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심리 치료를 위해 교육청이 운영하는 청소년 심리 상담 기관인 Wee센터를 추천한다. 하지만 막상 피해 학생들은 Wee센터 이용을 꺼린다. 그곳에서 자신에게 폭력을 가한 가해 학생을 만나게 될까 두렵기 때문이다. Wee센터가 학교폭력 가·피해자 심리 치료 프로그램을 동시에 운영하다보니 생기는 결과다. 이 때문에 많은 피해학생들이 사설 심리 치료 기관을 찾는 게 현실이다.
어떤 종류의 폭력이든 발생 직후 가해자와 피해자 즉각 분리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 하지만 학교 폭력 현장에서 피해자 보호 원칙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말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012년 2차 조사에서 8.5%를 기록했다가 2015년 2차에서는 0.9%로 줄었다”며 학교폭력예방대책이 실효를 거뒀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냈다. 덧붙여 “가·피해자 심리 치료를 위해 Wee센터 등 청소년 전문 심리 치료 기관을 늘리고 있다”고도 했다. 하지만 학교폭력 피해자 가족들은 냉소적이다. 2·3차 피해가 우려되는 Wee센터에 누가 가겠냐는 반응이다.
피해학생 치유 전담기관은 서울에 단 4곳, 전국 31개에 불과하다. 피해학생이 가해 학생과 마주치지 않고 공부와 상담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기숙형 기관은 대전 ‘해맑음센터’ 뿐이다. 반면 가해학생 특별교육 기관 수는 400곳이 넘는다. 이에 대한 교육부의 입장을 물으니 “피해학생 전담기관은 각 시·도 교육청 관할”이란 답변이 전부였다.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진료 기록 관리도 문제다. 피해 학생들은 정신과 진료 기록이 있을 경우 나중에 어떤 불이익을 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정신과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피해 학생의 의료 기록을 가해 학생 측이 함부로 열람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이 국회에 상정돼있지만 수년 째 계류 중이다. 총선이 앞둔 현재로선 법안은 이번 국회에서도 폐기될 거다.
현재 전국 초·중·고에서 학교폭력실태조사가 한창이다. 학교폭력 예방대책을 위해 실태조사는 필수다. 하지만 정작 그 안에 학교폭력피해자 가족의 목소리가 녹아드는지 의문이다.
정현진 메트로G팀 기자 Jeong.hyeonji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