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ght to be forgotten onlin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right to be forgotten online

Just like a cavity or two, we all have a shameful part we want to hide. While it would have been nice to bury them in oblivion, it is no longer possible. The most shameful history can be exposed with a simple online search.

That’s what happened to Spanish attorney Mario Costeja González. In 1998, his foreclosed home was about to be auctioned, and unfortunately, the auction was published in a local newspaper. Soon, he paid his debt and saved his home, but the article on his foreclosure remained.

When his name was searched online, the article on the auction and foreclosure came up. In May 2014, he sued Google and the local newspaper to remove the article, an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ruled in favor of him. It wa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right to be forgotten” was recognized.

After the ruling, Google received 210,000 requests for removals in 10 months. So many people wished some parts of their history forgotten.
While the right to be forgotten was recognized recently, it is rapidly spreading in Europe, where the tradition of privacy is strong. On March 24, Google was fined 100,000 euros ($111,670) by the French authority as the right to be forgotten was not properly guaranteed. Recently, a software called Oblivion was developed to instantly remove all materials related to personal honor.

But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controversial. When it is overly protected, the public’s right to know may be infringed. In 2014, a British plastic surgeon wanted links on his medical procedures to be removed, and the request was accepted. However, the public outrage ended up canceling the delinking as they dealt with information on the doctor’s poor surgery skills. The removal of such information helps prevent informed decisions for medical services.

In the same year, Croatian pianist Dejan Lazic attempted a similar removal but failed. He asked the Washington Post to remove a negative review on his performance because the review was “defamatory, mean-spirited, opinionated, one-sided, offensive [and] simply irrelevant for the arts.” But his request was not accepted because he was only trying to remove a fair review by a critic.

On March 25,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released a draft of guidelines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online. According to the draft, netizens can request their own posts be blocked, with further work to be done. Korea has one of the most active online cultures in the world. As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newly introduced, it needs to be reviewed and studied thoroughly to prevent unwanted trouble.

JoongAng Ilbo, March 28,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for the JoongAng Ilbo.


남정호 논설위원
충치 하나 둘은 다 있듯, 부끄러운 과거는 누구나 있기 마련이다. 예전엔 망각 속에 묻으면 됐지만 이젠 시대가 변했다. 인터넷 검색 한방이면 치욕스런 과거가 죄다 뜨는 세상이다.
마리오 코스테자란 스페인 변호사가 그 꼴을 당했다. 1998년 빚에 몰린 그는 집을 경매처분 당할 위기에 몰린다. 더 불운했던 건 이런 사실이 지역 신문에 실렸다는 거다. 그는 얼마 후 빚을 갚아 집은 건졌지만 차압 당했다는 기사는 없어지지 않았다. 그의 이름을 검색하면 주택 압류 기사는 계속 떴다. 참다 못한 그는 신문사와 구글을 상대로 기사를 삭제해달라는 소송을 내 2014년 5월 유럽사법재판소(ECJ)에서 이긴다.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잊혀질 권리’가 인정받는 순간이었다.
이 판결 뒤 구글에는 자신과 관련된 내용을 지워달라는 요청이 10개월간 21만여 건이나 쏟아졌다. 잊혀지려는 이들이 이토록 많았던 거다. 잊혀질 권리는 최근에야 도입됐지만 사생활 중시의 전통이 강한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뿌리 내리고 있다. 지난 24일에는 잊혀질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구글이 프랑스 당국에 의해 10만 유로(1억3000만 원)의 벌금을 맞았다. 최근에는’오블리비언’이란 소프트웨어까지 개발돼 개인의 명예와 관련된 자료들을 순식간에 지워준다.
하지만 논란도 적지 않다. 잊혀질 권리만 챙기면 공익 차원의 알권리가 질식한다. 2014년 영국의 한 성형외과 의사가 자신의 수술 결과에 대한 글들을 지워달라고 요구해 관철시킨 적이 있다. 잊혀질 권리 차원에서 이뤄진 일이었다. 하지만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난이 빗발쳐 없던 일이 됐다. 삭제된 게 의사의 형편없는 수술 실력을 고발한 글들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런 정보를 없애는 건 올바른 의료 선택권을 막는 일이 된다.
같은 해 크로아티아 출신의 데잔 라직이란 피아니스트가 비슷한 일을 꾸미려다 실패했다. 그는 자신의 연주에 대한 악평이 워싱턴 포스트에 실리자 “악의에 찬 중상모략의 글”이라며 기사 삭제를 요구했었다. 이 역시 타인의 평가를 무시하려는 잘못된 태도라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난 25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온라인상의 잊혀질 권리에 대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내놨다. 일단 자신의 글만 차단할 수 있게 하고 더 들여다볼 모양이다. 다른 어디보다 사이버 공간이 활발한 나라가 한국이다. 새롭게 도입되는 잊혀질 권리인 만큼 요모조모 따져가며 정해야 뒤탈이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