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dos to Celltr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udos to Celltrion

Celltrion, a local biopharmaceutical company, has succeeded in penetrating the U.S. market with Inflectra, a biosimilar drug it developed. The company announced on Wednesday that Inflectra received approval for marketing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 FDA has approved an antibody biosimilar.

Inflectra — a generic drug to treat rheumatoid arthritis — has the same effect as the original drug Remicade, but the price is 30 to 40 percent cheaper. Last year, Remicade worth about 12 trillion won ($10.4 billion) was sold around the world. Pharmaceutical experts say that Celltrion can earn an annual revenue of 2 trillion won if the biosimilar takes up 10 percent of the 20 trillion won market in the U.S. alone. With the FDA’s approval, the Korean pharmaceutical company has established a solid foothold for a global takeoff.

Human failures and frustrations are worth it. The success story of Celltrion explains why. Seo Jung-Jin, CEO and founder of Celltrion, had been a promising employee at Daewoo Motors, as seen in his eye-catching promotion to board member at the age of 34. He knew nothing about the bio-industry. With a spirit of challenge, courage and ambition, he set up the company in 2002 with strong convictions that the field of healthcare will be a mainstay of our future industries. Despite all the criticism of his lack of expertise and cynical views about his possibility for success in developing biosimilars, he was never discouraged.

Seo kicked off a project to develop Inflectra after investing 400 billion won in 2006. After running out of money for research, he resorted to underground financial markets and borrowed money after depositing his shares in the company as collateral. Malicious rumors were rampant on the stock market. When stock watchers cast suspicions on his company’s ability to develop a biosimilar, he even thought of suicide, Seo said. Nevertheless, he did not surrender and moved on with the spirit of entrepreneurship. “Regardless of all the pessimistic views, I clearly saw the potential for huge success in the bio-industry,” he said. Seo’s story is similar to that of Hanmi Pharmaceutical Chairman Lim Sung-ki, who hit the jackpot after developing a drug for diabetes last year.

The message from Celltrion and Hanmi is clear. The only prescription for business success is bold entrepreneurship armed with hunger, courage, vision and perseverance. That can pull our economy from its lethargic slowdown.

JoongAng Ilbo, Apr. 8, Page 30


셀트리온이 생체의약품 복제약(바이오시밀러) 램시마로 마침내 미국 시장을 뚫었다. 셀트리온은 6일 램시마가 미국 식품이약국(FDA)의 판매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FDA가 항체 바이오시밀러에 대해 판매 승인을 내준 것은 램시마가 처음이다.
관절염 치료제 램시마는 오리지널 의약품 레미케이드와 같은 효능을 내지만 가격은 30~40% 싸다. 레미케이드는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약 12조 원어치가 팔렸다. 관련 의약품의 미국 시장 규모만 약 20조원, 10%만 차지해도 연 2조원의 매출이 가능하다고 한다. 램시마의 승인 획득으로 셀트리온은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성공의 눈으로 보면, 실패와 좌절도 아름다운 법이다. 셀트리온의 성공 스토리도 그렇다. 서정진 회장의 도전과 뚝심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34세에 대우자동차 임원이 된 서 회장은 잘나가는 샐러리맨이었지만 바이오 산업엔 문외한이었다. 2002년 '미래산업의 대세는 헬스케어'란 확신 하나로 그는 셀트리온을 설립했다. "바이오 문외한이 아무도 못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성공할 턱이 없다"는 비아냥이 쏟아졌지만 그는 버텼다.
서 회장은 2006년 램시마 개발에 착수해 4000억원의 거금을 쏟아부었다. 연구 자금이 모자라 사채시장을 전전했고 주식을 담보로 돈을 끌어쓰기도 했다고 한다. 주식 시장에는 음해성 루머가 끊이지 않았다.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만들어 낼 기술력을 의심받아 자살까지 고민했다고 한다. 그런 역경을 이겨내고 오늘의 성공 신화를 쓴 것이야말로 기업가 정신이 일궈낸 쾌거다. 서 회장은 "남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나에겐 바이오산업의 무궁무진한 성장성이 보였다"고 돌아봤다. 지난해 당뇨 치료제 개발로 대박을 터뜨린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 스토리와 닮은 꼴이다.
셀트리온과 한미약품의 성공이 던져주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용기, 미래를 내다보는 눈, 눈앞의 실패와 좌절을 두려워하지 않는 뚝심으로 무장한 기업가 정신만이 부진의 늪에 빠진 우리 경제를 건져낼 수 있다는 사실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